태광 이호진, ‘차명유산’ 소송 2심도 누나에 150억여 원 승소
입력 2024.08.17 (14:51)
수정 2024.08.17 (14: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선친의 ‘차명 유산’을 두고 누나와 벌인 소송에서 2심도 승소했습니다. 다만 이 전 회장 몫으로 인정된 돈은 1심 때보다 대폭 줄었습니다.
서울고법 민사6-3부(부장판사 이경훈 김제욱 강경표)는 이 전 회장이 누나 이재훈 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재훈 씨가 이 전 회장에게 153억여 원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라고 지난 14일 판결했습니다.
남매의 분쟁은 지난 1996년 숨진 이임용 선대 회장의 유언에서 비롯됐습니다.
선대 회장은 ‘딸들을 뺀 아내와 아들들에게 재산을 나눠주고, 나머지 재산이 있으면 유언 집행자의 뜻대로 처리하라’고 유언을 남겼습니다.
이후 2010∼2011년 검찰의 태광그룹 수사와 국세청의 세무조사 과정에서 400억 원대의 차명 채권이 발견됐습니다.
태광그룹의 자금 관리인은 이 차명 채권을 재훈 씨에게 전달한 뒤 2012년 반환하라고 요청했지만 재훈 씨는 응하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이 전 회장은 2020년 재훈 씨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습니다.
이 전 회장 측은 이 채권을 단독 상속한 후 자금 관리인을 통해 재훈씨에게 잠시 맡긴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재훈 씨 측은 유언 내용이 무효라고 맞섰습니다.
1심은 누나 재훈 씨가 이 전 회장에게 400억 원 전부를 돌려줘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선대회장이 사망한 시점부터 이 전 회장이 채권을 실질적으로 점유해왔고, 다른 상속인이 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난 만큼 채권 소유자는 이 전 회장이라고 봤습니다.
2심 역시 채권이 이 전 회장 소유라고 판단했지만, 재훈 씨가 보유한 채권의 규모는 금융 거래 내역 등으로 명확하게 입증된 153억여 원 정도만 인정된다며 이 전 회장에게 돌려줄 돈도 이 액수에 그친다고 판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고법 민사6-3부(부장판사 이경훈 김제욱 강경표)는 이 전 회장이 누나 이재훈 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재훈 씨가 이 전 회장에게 153억여 원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라고 지난 14일 판결했습니다.
남매의 분쟁은 지난 1996년 숨진 이임용 선대 회장의 유언에서 비롯됐습니다.
선대 회장은 ‘딸들을 뺀 아내와 아들들에게 재산을 나눠주고, 나머지 재산이 있으면 유언 집행자의 뜻대로 처리하라’고 유언을 남겼습니다.
이후 2010∼2011년 검찰의 태광그룹 수사와 국세청의 세무조사 과정에서 400억 원대의 차명 채권이 발견됐습니다.
태광그룹의 자금 관리인은 이 차명 채권을 재훈 씨에게 전달한 뒤 2012년 반환하라고 요청했지만 재훈 씨는 응하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이 전 회장은 2020년 재훈 씨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습니다.
이 전 회장 측은 이 채권을 단독 상속한 후 자금 관리인을 통해 재훈씨에게 잠시 맡긴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재훈 씨 측은 유언 내용이 무효라고 맞섰습니다.
1심은 누나 재훈 씨가 이 전 회장에게 400억 원 전부를 돌려줘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선대회장이 사망한 시점부터 이 전 회장이 채권을 실질적으로 점유해왔고, 다른 상속인이 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난 만큼 채권 소유자는 이 전 회장이라고 봤습니다.
2심 역시 채권이 이 전 회장 소유라고 판단했지만, 재훈 씨가 보유한 채권의 규모는 금융 거래 내역 등으로 명확하게 입증된 153억여 원 정도만 인정된다며 이 전 회장에게 돌려줄 돈도 이 액수에 그친다고 판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태광 이호진, ‘차명유산’ 소송 2심도 누나에 150억여 원 승소
-
- 입력 2024-08-17 14:51:28
- 수정2024-08-17 14:52:40

이호진 전 태광그룹 회장이 선친의 ‘차명 유산’을 두고 누나와 벌인 소송에서 2심도 승소했습니다. 다만 이 전 회장 몫으로 인정된 돈은 1심 때보다 대폭 줄었습니다.
서울고법 민사6-3부(부장판사 이경훈 김제욱 강경표)는 이 전 회장이 누나 이재훈 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재훈 씨가 이 전 회장에게 153억여 원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라고 지난 14일 판결했습니다.
남매의 분쟁은 지난 1996년 숨진 이임용 선대 회장의 유언에서 비롯됐습니다.
선대 회장은 ‘딸들을 뺀 아내와 아들들에게 재산을 나눠주고, 나머지 재산이 있으면 유언 집행자의 뜻대로 처리하라’고 유언을 남겼습니다.
이후 2010∼2011년 검찰의 태광그룹 수사와 국세청의 세무조사 과정에서 400억 원대의 차명 채권이 발견됐습니다.
태광그룹의 자금 관리인은 이 차명 채권을 재훈 씨에게 전달한 뒤 2012년 반환하라고 요청했지만 재훈 씨는 응하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이 전 회장은 2020년 재훈 씨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습니다.
이 전 회장 측은 이 채권을 단독 상속한 후 자금 관리인을 통해 재훈씨에게 잠시 맡긴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재훈 씨 측은 유언 내용이 무효라고 맞섰습니다.
1심은 누나 재훈 씨가 이 전 회장에게 400억 원 전부를 돌려줘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선대회장이 사망한 시점부터 이 전 회장이 채권을 실질적으로 점유해왔고, 다른 상속인이 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난 만큼 채권 소유자는 이 전 회장이라고 봤습니다.
2심 역시 채권이 이 전 회장 소유라고 판단했지만, 재훈 씨가 보유한 채권의 규모는 금융 거래 내역 등으로 명확하게 입증된 153억여 원 정도만 인정된다며 이 전 회장에게 돌려줄 돈도 이 액수에 그친다고 판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고법 민사6-3부(부장판사 이경훈 김제욱 강경표)는 이 전 회장이 누나 이재훈 씨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재훈 씨가 이 전 회장에게 153억여 원과 지연이자를 지급하라고 지난 14일 판결했습니다.
남매의 분쟁은 지난 1996년 숨진 이임용 선대 회장의 유언에서 비롯됐습니다.
선대 회장은 ‘딸들을 뺀 아내와 아들들에게 재산을 나눠주고, 나머지 재산이 있으면 유언 집행자의 뜻대로 처리하라’고 유언을 남겼습니다.
이후 2010∼2011년 검찰의 태광그룹 수사와 국세청의 세무조사 과정에서 400억 원대의 차명 채권이 발견됐습니다.
태광그룹의 자금 관리인은 이 차명 채권을 재훈 씨에게 전달한 뒤 2012년 반환하라고 요청했지만 재훈 씨는 응하지 않았습니다.
그러자 이 전 회장은 2020년 재훈 씨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냈습니다.
이 전 회장 측은 이 채권을 단독 상속한 후 자금 관리인을 통해 재훈씨에게 잠시 맡긴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재훈 씨 측은 유언 내용이 무효라고 맞섰습니다.
1심은 누나 재훈 씨가 이 전 회장에게 400억 원 전부를 돌려줘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선대회장이 사망한 시점부터 이 전 회장이 채권을 실질적으로 점유해왔고, 다른 상속인이 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이 지난 만큼 채권 소유자는 이 전 회장이라고 봤습니다.
2심 역시 채권이 이 전 회장 소유라고 판단했지만, 재훈 씨가 보유한 채권의 규모는 금융 거래 내역 등으로 명확하게 입증된 153억여 원 정도만 인정된다며 이 전 회장에게 돌려줄 돈도 이 액수에 그친다고 판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최민영 기자 mymy@kbs.co.kr
최민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