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연장·가산점…저출생·고령화 해법 고심
입력 2024.08.26 (07:59)
수정 2024.08.26 (08:1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저출생, 고령화 문제 대응을 위해 자치단체마다 해법 찾기에 골몰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자녀 직원을 정년 이후에도 재고용하거나, 자녀를 한 명만 낳아도 승진 가산점을 주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김지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에서 하수 폐기물 운반업무를 맡고 있는 이상영 씨.
올 연말 정년 퇴직이지만, 1년 더 일할 수 있게 됐습니다.
대구시가 시와 산하 공공기관 7곳의 다자녀 공무직 직원들을 정년 이후에도 재고용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이상영/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공무직 : "정년퇴직자로서는 참 좋은 기회를 얻었다고 생각합니다. 연장이 되면 앞으로 가정에서도 많이 도움이 되고…."]
이는 광역단체 가운데 첫 시도로, 자녀가 2명인 직원은 1년, 3명인 직원은 2년간 정년 이후 재고용 할 수 있습니다.
출산율 제고는 물론, 부족한 노동 인구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게 대구시의 설명입니다.
[안중곤/대구시 경제국장 : "숙련된 근로자분들을 계속해서 활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지역 경제 전체적으로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저출생 극복 대책의 하나로 자녀를 둔 공무원에 대한 혜택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대구 달서구는 내년부터 자녀를 한 명만 낳아도 근무성적 가산점 0.3점을 주기로 했고, 구미시는 0.5점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의 공무원상' 수상자 가산점이 0.5점인 것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혜택입니다.
청송군은 산하 기관, 단체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전국 최초로 주 4.5일제, 36시간 근무를 도입했습니다.
다만, 보상 중심의 정책이 역차별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은 어떻게 보면 같은 조건에서 자발적 선택인데, 불균형적으로 대우한다 이런 비판을 야기할 수도…."]
일부 자치단체에서 시작된 저출생, 고령화 대책이 공직사회를 넘어 민간 분야로 확산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지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저출생, 고령화 문제 대응을 위해 자치단체마다 해법 찾기에 골몰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자녀 직원을 정년 이후에도 재고용하거나, 자녀를 한 명만 낳아도 승진 가산점을 주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김지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에서 하수 폐기물 운반업무를 맡고 있는 이상영 씨.
올 연말 정년 퇴직이지만, 1년 더 일할 수 있게 됐습니다.
대구시가 시와 산하 공공기관 7곳의 다자녀 공무직 직원들을 정년 이후에도 재고용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이상영/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공무직 : "정년퇴직자로서는 참 좋은 기회를 얻었다고 생각합니다. 연장이 되면 앞으로 가정에서도 많이 도움이 되고…."]
이는 광역단체 가운데 첫 시도로, 자녀가 2명인 직원은 1년, 3명인 직원은 2년간 정년 이후 재고용 할 수 있습니다.
출산율 제고는 물론, 부족한 노동 인구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게 대구시의 설명입니다.
[안중곤/대구시 경제국장 : "숙련된 근로자분들을 계속해서 활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지역 경제 전체적으로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저출생 극복 대책의 하나로 자녀를 둔 공무원에 대한 혜택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대구 달서구는 내년부터 자녀를 한 명만 낳아도 근무성적 가산점 0.3점을 주기로 했고, 구미시는 0.5점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의 공무원상' 수상자 가산점이 0.5점인 것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혜택입니다.
청송군은 산하 기관, 단체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전국 최초로 주 4.5일제, 36시간 근무를 도입했습니다.
다만, 보상 중심의 정책이 역차별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은 어떻게 보면 같은 조건에서 자발적 선택인데, 불균형적으로 대우한다 이런 비판을 야기할 수도…."]
일부 자치단체에서 시작된 저출생, 고령화 대책이 공직사회를 넘어 민간 분야로 확산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지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고용 연장·가산점…저출생·고령화 해법 고심
-
- 입력 2024-08-26 07:59:01
- 수정2024-08-26 08:19:43
[앵커]
저출생, 고령화 문제 대응을 위해 자치단체마다 해법 찾기에 골몰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자녀 직원을 정년 이후에도 재고용하거나, 자녀를 한 명만 낳아도 승진 가산점을 주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김지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에서 하수 폐기물 운반업무를 맡고 있는 이상영 씨.
올 연말 정년 퇴직이지만, 1년 더 일할 수 있게 됐습니다.
대구시가 시와 산하 공공기관 7곳의 다자녀 공무직 직원들을 정년 이후에도 재고용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이상영/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공무직 : "정년퇴직자로서는 참 좋은 기회를 얻었다고 생각합니다. 연장이 되면 앞으로 가정에서도 많이 도움이 되고…."]
이는 광역단체 가운데 첫 시도로, 자녀가 2명인 직원은 1년, 3명인 직원은 2년간 정년 이후 재고용 할 수 있습니다.
출산율 제고는 물론, 부족한 노동 인구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게 대구시의 설명입니다.
[안중곤/대구시 경제국장 : "숙련된 근로자분들을 계속해서 활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지역 경제 전체적으로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저출생 극복 대책의 하나로 자녀를 둔 공무원에 대한 혜택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대구 달서구는 내년부터 자녀를 한 명만 낳아도 근무성적 가산점 0.3점을 주기로 했고, 구미시는 0.5점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의 공무원상' 수상자 가산점이 0.5점인 것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혜택입니다.
청송군은 산하 기관, 단체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전국 최초로 주 4.5일제, 36시간 근무를 도입했습니다.
다만, 보상 중심의 정책이 역차별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은 어떻게 보면 같은 조건에서 자발적 선택인데, 불균형적으로 대우한다 이런 비판을 야기할 수도…."]
일부 자치단체에서 시작된 저출생, 고령화 대책이 공직사회를 넘어 민간 분야로 확산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지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저출생, 고령화 문제 대응을 위해 자치단체마다 해법 찾기에 골몰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자녀 직원을 정년 이후에도 재고용하거나, 자녀를 한 명만 낳아도 승진 가산점을 주는 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김지훈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에서 하수 폐기물 운반업무를 맡고 있는 이상영 씨.
올 연말 정년 퇴직이지만, 1년 더 일할 수 있게 됐습니다.
대구시가 시와 산하 공공기관 7곳의 다자녀 공무직 직원들을 정년 이후에도 재고용하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이상영/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공무직 : "정년퇴직자로서는 참 좋은 기회를 얻었다고 생각합니다. 연장이 되면 앞으로 가정에서도 많이 도움이 되고…."]
이는 광역단체 가운데 첫 시도로, 자녀가 2명인 직원은 1년, 3명인 직원은 2년간 정년 이후 재고용 할 수 있습니다.
출산율 제고는 물론, 부족한 노동 인구 해소에도 도움이 될 것이란 게 대구시의 설명입니다.
[안중곤/대구시 경제국장 : "숙련된 근로자분들을 계속해서 활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지역 경제 전체적으로 상당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저출생 극복 대책의 하나로 자녀를 둔 공무원에 대한 혜택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대구 달서구는 내년부터 자녀를 한 명만 낳아도 근무성적 가산점 0.3점을 주기로 했고, 구미시는 0.5점을 주고 있습니다.
'올해의 공무원상' 수상자 가산점이 0.5점인 것을 감안하면 파격적인 혜택입니다.
청송군은 산하 기관, 단체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전국 최초로 주 4.5일제, 36시간 근무를 도입했습니다.
다만, 보상 중심의 정책이 역차별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정재훈/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것은 어떻게 보면 같은 조건에서 자발적 선택인데, 불균형적으로 대우한다 이런 비판을 야기할 수도…."]
일부 자치단체에서 시작된 저출생, 고령화 대책이 공직사회를 넘어 민간 분야로 확산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김지훈입니다.
촬영기자:신상응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