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피폭 삼성전자 직원 2명, 기준치 최대 188배 피폭
입력 2024.08.26 (14:48)
수정 2024.08.26 (14: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5월 경기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발생한 작업자 2명의 방사선 피폭 사건과 관련해 기준치를 최대 188배 웃도는 방사선 피폭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원안위는 오늘(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 업무보고를 통해 이런 중간 조사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조사 현황에 따르면 피폭자 2명은 손 부위에 부종과 홍조, 박리 등이 있어서 치료 및 추적 관찰 중입니다.
원안위가 개인별 피폭 시나리오를 분석해 재현 실험과 선량평가 등을 수행한 결과 두 사람 모두 피부(손)에 대한 피폭 정도를 나타내는 등가선량이 안전 기준치를 뜻하는 선량한도인 연간 0.5 시버트(㏜)를 크게 초과한 94㏜, 28㏜로 나타났습니다.
작업종사자의 경우 1년에 최대 0.5㏜까지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를 각각 188배, 56배 초과한 것입니다.
손에 28㏜가 피폭된 1명은 인체 전체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전신 유효 선량이 130m㏜로 나타나 기준치인 연간 50밀리시버트(m㏜)를 초과했습니다. 다른 한 명은 유효 선량이 15m㏜로 분석됐습니다.
피폭자 2명에 대한 혈액과 염색체(DNA) 이상 여부 검사에서는 정상 결과가 나왔으나 지속해 추적 관찰할 계획이라고 원안위는 밝혔습니다.
원안위는 기흥사업장 내 최근 3년간 정비 이력을 가진 사람에 대해 혈액 검사 등 건강진단을 해 정상임을 확인했으며, 사건 당시 현장 인근에 있던 일반 작업자도 건강진단 결과 정상 판정이 나왔습니다.
또 최근 이들 대상 비정상 작업 유무와 작업 기간, 방법 등을 조사한 결과 피폭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 적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원안위는 피폭 사고 후 조사에서 안전장치(인터락) 배선 연결 오류가 확인된 사고 장비는 사용중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삼성전자에 대한 방사선안전관리 특별점검도 9월 말까지 진행해 기흥사업장의 방사선 안전관리 준수 여부와 삼성전자 모든 사업장의 방사선 발생장치 인터락 작동 여부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원안위는 점검결과 등을 토대로 재발방지대책이 마련되면 9월 말 조사 결과를 최종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원안위는 오늘(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 업무보고를 통해 이런 중간 조사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조사 현황에 따르면 피폭자 2명은 손 부위에 부종과 홍조, 박리 등이 있어서 치료 및 추적 관찰 중입니다.
원안위가 개인별 피폭 시나리오를 분석해 재현 실험과 선량평가 등을 수행한 결과 두 사람 모두 피부(손)에 대한 피폭 정도를 나타내는 등가선량이 안전 기준치를 뜻하는 선량한도인 연간 0.5 시버트(㏜)를 크게 초과한 94㏜, 28㏜로 나타났습니다.
작업종사자의 경우 1년에 최대 0.5㏜까지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를 각각 188배, 56배 초과한 것입니다.
손에 28㏜가 피폭된 1명은 인체 전체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전신 유효 선량이 130m㏜로 나타나 기준치인 연간 50밀리시버트(m㏜)를 초과했습니다. 다른 한 명은 유효 선량이 15m㏜로 분석됐습니다.
피폭자 2명에 대한 혈액과 염색체(DNA) 이상 여부 검사에서는 정상 결과가 나왔으나 지속해 추적 관찰할 계획이라고 원안위는 밝혔습니다.
원안위는 기흥사업장 내 최근 3년간 정비 이력을 가진 사람에 대해 혈액 검사 등 건강진단을 해 정상임을 확인했으며, 사건 당시 현장 인근에 있던 일반 작업자도 건강진단 결과 정상 판정이 나왔습니다.
또 최근 이들 대상 비정상 작업 유무와 작업 기간, 방법 등을 조사한 결과 피폭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 적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원안위는 피폭 사고 후 조사에서 안전장치(인터락) 배선 연결 오류가 확인된 사고 장비는 사용중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삼성전자에 대한 방사선안전관리 특별점검도 9월 말까지 진행해 기흥사업장의 방사선 안전관리 준수 여부와 삼성전자 모든 사업장의 방사선 발생장치 인터락 작동 여부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원안위는 점검결과 등을 토대로 재발방지대책이 마련되면 9월 말 조사 결과를 최종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사선 피폭 삼성전자 직원 2명, 기준치 최대 188배 피폭
-
- 입력 2024-08-26 14:48:24
- 수정2024-08-26 14:55:51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5월 경기 용인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발생한 작업자 2명의 방사선 피폭 사건과 관련해 기준치를 최대 188배 웃도는 방사선 피폭이 확인됐다고 밝혔습니다.
원안위는 오늘(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 업무보고를 통해 이런 중간 조사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조사 현황에 따르면 피폭자 2명은 손 부위에 부종과 홍조, 박리 등이 있어서 치료 및 추적 관찰 중입니다.
원안위가 개인별 피폭 시나리오를 분석해 재현 실험과 선량평가 등을 수행한 결과 두 사람 모두 피부(손)에 대한 피폭 정도를 나타내는 등가선량이 안전 기준치를 뜻하는 선량한도인 연간 0.5 시버트(㏜)를 크게 초과한 94㏜, 28㏜로 나타났습니다.
작업종사자의 경우 1년에 최대 0.5㏜까지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를 각각 188배, 56배 초과한 것입니다.
손에 28㏜가 피폭된 1명은 인체 전체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전신 유효 선량이 130m㏜로 나타나 기준치인 연간 50밀리시버트(m㏜)를 초과했습니다. 다른 한 명은 유효 선량이 15m㏜로 분석됐습니다.
피폭자 2명에 대한 혈액과 염색체(DNA) 이상 여부 검사에서는 정상 결과가 나왔으나 지속해 추적 관찰할 계획이라고 원안위는 밝혔습니다.
원안위는 기흥사업장 내 최근 3년간 정비 이력을 가진 사람에 대해 혈액 검사 등 건강진단을 해 정상임을 확인했으며, 사건 당시 현장 인근에 있던 일반 작업자도 건강진단 결과 정상 판정이 나왔습니다.
또 최근 이들 대상 비정상 작업 유무와 작업 기간, 방법 등을 조사한 결과 피폭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 적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원안위는 피폭 사고 후 조사에서 안전장치(인터락) 배선 연결 오류가 확인된 사고 장비는 사용중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삼성전자에 대한 방사선안전관리 특별점검도 9월 말까지 진행해 기흥사업장의 방사선 안전관리 준수 여부와 삼성전자 모든 사업장의 방사선 발생장치 인터락 작동 여부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원안위는 점검결과 등을 토대로 재발방지대책이 마련되면 9월 말 조사 결과를 최종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원안위는 오늘(26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 업무보고를 통해 이런 중간 조사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조사 현황에 따르면 피폭자 2명은 손 부위에 부종과 홍조, 박리 등이 있어서 치료 및 추적 관찰 중입니다.
원안위가 개인별 피폭 시나리오를 분석해 재현 실험과 선량평가 등을 수행한 결과 두 사람 모두 피부(손)에 대한 피폭 정도를 나타내는 등가선량이 안전 기준치를 뜻하는 선량한도인 연간 0.5 시버트(㏜)를 크게 초과한 94㏜, 28㏜로 나타났습니다.
작업종사자의 경우 1년에 최대 0.5㏜까지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는데, 이를 각각 188배, 56배 초과한 것입니다.
손에 28㏜가 피폭된 1명은 인체 전체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는 전신 유효 선량이 130m㏜로 나타나 기준치인 연간 50밀리시버트(m㏜)를 초과했습니다. 다른 한 명은 유효 선량이 15m㏜로 분석됐습니다.
피폭자 2명에 대한 혈액과 염색체(DNA) 이상 여부 검사에서는 정상 결과가 나왔으나 지속해 추적 관찰할 계획이라고 원안위는 밝혔습니다.
원안위는 기흥사업장 내 최근 3년간 정비 이력을 가진 사람에 대해 혈액 검사 등 건강진단을 해 정상임을 확인했으며, 사건 당시 현장 인근에 있던 일반 작업자도 건강진단 결과 정상 판정이 나왔습니다.
또 최근 이들 대상 비정상 작업 유무와 작업 기간, 방법 등을 조사한 결과 피폭과 같은 상황이 발생한 적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원안위는 피폭 사고 후 조사에서 안전장치(인터락) 배선 연결 오류가 확인된 사고 장비는 사용중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삼성전자에 대한 방사선안전관리 특별점검도 9월 말까지 진행해 기흥사업장의 방사선 안전관리 준수 여부와 삼성전자 모든 사업장의 방사선 발생장치 인터락 작동 여부도 점검하기로 했습니다.
원안위는 점검결과 등을 토대로 재발방지대책이 마련되면 9월 말 조사 결과를 최종 공개하기로 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지형철 기자 ican@kbs.co.kr
지형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