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북한 비핵화, 한미일 3국의 견고한 합의”
입력 2024.08.28 (11:29)
수정 2024.08.28 (11: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오늘(28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는 한미일 3국의 견고한 합의”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장관은 오늘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통일부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공동 주최한 ‘캠프 데이비드 1년과 8·15 통일 독트린’ 포럼 환영사를 통해 “최근 미 대선 후보들의 정강 정책을 두고 설왕설래가 있다”면서도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3국 간의 협력은 정치 리더십의 변화와 관계없이 변함없이 유지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의 새 정강에 ‘북한 비핵화’와 관련된 문구가 빠진 것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한 발언으로 풀이됩니다.
이어 김 장관은 “세계 안보와 번영의 진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한미일은 변함없는 의지로 함께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지난 광복절에 발표된 ‘8.15 통일 독트린’에 대해서도 “캠프 데이비드 정상선언과 함께 한반도 통일의 양대 헌장”이라며 “캠프 데이비드 선언에서 보여준 한미일 3국의 굳건한 연대가 8.15 통일 독트린의 구현에서 가장 든든한 토대가 되어줄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랄프 코사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퍼시픽포럼 명예회장도 기조연설을 통해 “한미일 3국의 협력 노력을 제도화할 필요성에 대한 절박함이 커지고 있다”며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동맹관리 전술과 정책이 크게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안보 위협에 맞서기 위해 중국을 움직일 것을 강조하며 “한미일은 각각 중국과의 거래에서 개척하지 않았거나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 레버리지를 갖고 있는바, 이를 검토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대만’을 언급하며 “지난해 대만의 동남아시아에 대한 직접 투자가 중국에 대한 직접 투자를 넘어섰는데 이는 경제적, 정치적 고려에 따른 주요한 변화”라며 “일본과 한국 기업들도 이러한 변화에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이는 중국이 대만 문제에 민감한 만큼 이를 활용해 중국의 대북 정책 변화를 촉구해야 한단 취지로 해석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장관은 오늘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통일부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공동 주최한 ‘캠프 데이비드 1년과 8·15 통일 독트린’ 포럼 환영사를 통해 “최근 미 대선 후보들의 정강 정책을 두고 설왕설래가 있다”면서도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3국 간의 협력은 정치 리더십의 변화와 관계없이 변함없이 유지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의 새 정강에 ‘북한 비핵화’와 관련된 문구가 빠진 것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한 발언으로 풀이됩니다.
이어 김 장관은 “세계 안보와 번영의 진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한미일은 변함없는 의지로 함께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지난 광복절에 발표된 ‘8.15 통일 독트린’에 대해서도 “캠프 데이비드 정상선언과 함께 한반도 통일의 양대 헌장”이라며 “캠프 데이비드 선언에서 보여준 한미일 3국의 굳건한 연대가 8.15 통일 독트린의 구현에서 가장 든든한 토대가 되어줄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랄프 코사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퍼시픽포럼 명예회장도 기조연설을 통해 “한미일 3국의 협력 노력을 제도화할 필요성에 대한 절박함이 커지고 있다”며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동맹관리 전술과 정책이 크게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안보 위협에 맞서기 위해 중국을 움직일 것을 강조하며 “한미일은 각각 중국과의 거래에서 개척하지 않았거나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 레버리지를 갖고 있는바, 이를 검토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대만’을 언급하며 “지난해 대만의 동남아시아에 대한 직접 투자가 중국에 대한 직접 투자를 넘어섰는데 이는 경제적, 정치적 고려에 따른 주요한 변화”라며 “일본과 한국 기업들도 이러한 변화에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이는 중국이 대만 문제에 민감한 만큼 이를 활용해 중국의 대북 정책 변화를 촉구해야 한단 취지로 해석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김영호 “북한 비핵화, 한미일 3국의 견고한 합의”
-
- 입력 2024-08-28 11:29:24
- 수정2024-08-28 11:30:58
김영호 통일부 장관은 오늘(28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는 한미일 3국의 견고한 합의”라고 강조했습니다.
김 장관은 오늘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통일부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공동 주최한 ‘캠프 데이비드 1년과 8·15 통일 독트린’ 포럼 환영사를 통해 “최근 미 대선 후보들의 정강 정책을 두고 설왕설래가 있다”면서도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3국 간의 협력은 정치 리더십의 변화와 관계없이 변함없이 유지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의 새 정강에 ‘북한 비핵화’와 관련된 문구가 빠진 것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한 발언으로 풀이됩니다.
이어 김 장관은 “세계 안보와 번영의 진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한미일은 변함없는 의지로 함께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지난 광복절에 발표된 ‘8.15 통일 독트린’에 대해서도 “캠프 데이비드 정상선언과 함께 한반도 통일의 양대 헌장”이라며 “캠프 데이비드 선언에서 보여준 한미일 3국의 굳건한 연대가 8.15 통일 독트린의 구현에서 가장 든든한 토대가 되어줄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랄프 코사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퍼시픽포럼 명예회장도 기조연설을 통해 “한미일 3국의 협력 노력을 제도화할 필요성에 대한 절박함이 커지고 있다”며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동맹관리 전술과 정책이 크게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안보 위협에 맞서기 위해 중국을 움직일 것을 강조하며 “한미일은 각각 중국과의 거래에서 개척하지 않았거나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 레버리지를 갖고 있는바, 이를 검토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대만’을 언급하며 “지난해 대만의 동남아시아에 대한 직접 투자가 중국에 대한 직접 투자를 넘어섰는데 이는 경제적, 정치적 고려에 따른 주요한 변화”라며 “일본과 한국 기업들도 이러한 변화에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이는 중국이 대만 문제에 민감한 만큼 이를 활용해 중국의 대북 정책 변화를 촉구해야 한단 취지로 해석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김 장관은 오늘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통일부와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공동 주최한 ‘캠프 데이비드 1년과 8·15 통일 독트린’ 포럼 환영사를 통해 “최근 미 대선 후보들의 정강 정책을 두고 설왕설래가 있다”면서도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3국 간의 협력은 정치 리더십의 변화와 관계없이 변함없이 유지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의 새 정강에 ‘북한 비핵화’와 관련된 문구가 빠진 것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한 발언으로 풀이됩니다.
이어 김 장관은 “세계 안보와 번영의 진전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 한미일은 변함없는 의지로 함께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지난 광복절에 발표된 ‘8.15 통일 독트린’에 대해서도 “캠프 데이비드 정상선언과 함께 한반도 통일의 양대 헌장”이라며 “캠프 데이비드 선언에서 보여준 한미일 3국의 굳건한 연대가 8.15 통일 독트린의 구현에서 가장 든든한 토대가 되어줄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랄프 코사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퍼시픽포럼 명예회장도 기조연설을 통해 “한미일 3국의 협력 노력을 제도화할 필요성에 대한 절박함이 커지고 있다”며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동맹관리 전술과 정책이 크게 변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북한의 안보 위협에 맞서기 위해 중국을 움직일 것을 강조하며 “한미일은 각각 중국과의 거래에서 개척하지 않았거나 충분히 활용되지 않는 레버리지를 갖고 있는바, 이를 검토하고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 구체적인 예로는 ‘대만’을 언급하며 “지난해 대만의 동남아시아에 대한 직접 투자가 중국에 대한 직접 투자를 넘어섰는데 이는 경제적, 정치적 고려에 따른 주요한 변화”라며 “일본과 한국 기업들도 이러한 변화에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는데, 이는 중국이 대만 문제에 민감한 만큼 이를 활용해 중국의 대북 정책 변화를 촉구해야 한단 취지로 해석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