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만수대창작사 작품 중국에서 판매…대북제재 위반 가능성”
입력 2024.08.31 (10:04)
수정 2024.08.31 (10:1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칭다오에 있는 북한 미술품 상설 전시장에서 유엔 대북제재 대상인 북한 만수대 창작사 작품이 판매되고 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습니다.
지난해 9월 문을 연 ‘백두봉예술공간’의 SNS에 게시된 동영상을 보면, 김기만, 김성근 등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 최소 20명의 작품이 전시장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만수대창작사는 북한의 대표적 미술 창작 집단입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만수대창작사가 벌어들인 외화가 북한의 핵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며 대북제재 명단에 올린 바 있습니다.
탈북민 단체 NK지식인연대는 RFA에 “백두봉예술공간을 직접 방문한 중국 현지인을 통해 확인한 결과 현재 전시된 작품 중에 만수대창작사 부사장인 김성민이 2018년 제작한 작품과 만수대창작사 소속 리철, 지순희 작가가 각각 2018년, 2021년에 제작된 작품이 포함된 사실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곳에서 판매 중인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들의 작품은 모두 대북제재 지정 이후에 발표된 것이며 7천 위안∼30만 위안(약 130만원∼5천666만원) 사이의 가격에 판매 중이라고 NK지식인연대는 설명했습니다.
한편, RFA는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식 후원사인 중국 스포츠용품업체 인랑체육회사가 전날 SNS에 국가대표 한광성이 자사 로고가 달린 유니폼을 입고 있는 사진을 올렸습니다.
인랑체육회사의 북한 축구대표팀 후원도 대북 제재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 2016년 3월 채택한 대북 제재 결의 2270호는 스포츠 장비를 북한으로 이전을 금지한 사치품으로 분류했기 때문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더우인 캡처]
지난해 9월 문을 연 ‘백두봉예술공간’의 SNS에 게시된 동영상을 보면, 김기만, 김성근 등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 최소 20명의 작품이 전시장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만수대창작사는 북한의 대표적 미술 창작 집단입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만수대창작사가 벌어들인 외화가 북한의 핵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며 대북제재 명단에 올린 바 있습니다.
탈북민 단체 NK지식인연대는 RFA에 “백두봉예술공간을 직접 방문한 중국 현지인을 통해 확인한 결과 현재 전시된 작품 중에 만수대창작사 부사장인 김성민이 2018년 제작한 작품과 만수대창작사 소속 리철, 지순희 작가가 각각 2018년, 2021년에 제작된 작품이 포함된 사실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곳에서 판매 중인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들의 작품은 모두 대북제재 지정 이후에 발표된 것이며 7천 위안∼30만 위안(약 130만원∼5천666만원) 사이의 가격에 판매 중이라고 NK지식인연대는 설명했습니다.
한편, RFA는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식 후원사인 중국 스포츠용품업체 인랑체육회사가 전날 SNS에 국가대표 한광성이 자사 로고가 달린 유니폼을 입고 있는 사진을 올렸습니다.
인랑체육회사의 북한 축구대표팀 후원도 대북 제재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 2016년 3월 채택한 대북 제재 결의 2270호는 스포츠 장비를 북한으로 이전을 금지한 사치품으로 분류했기 때문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더우인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한 만수대창작사 작품 중국에서 판매…대북제재 위반 가능성”
-
- 입력 2024-08-31 10:04:05
- 수정2024-08-31 10:14:03

중국 칭다오에 있는 북한 미술품 상설 전시장에서 유엔 대북제재 대상인 북한 만수대 창작사 작품이 판매되고 있다고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보도했습니다.
지난해 9월 문을 연 ‘백두봉예술공간’의 SNS에 게시된 동영상을 보면, 김기만, 김성근 등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 최소 20명의 작품이 전시장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만수대창작사는 북한의 대표적 미술 창작 집단입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만수대창작사가 벌어들인 외화가 북한의 핵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며 대북제재 명단에 올린 바 있습니다.
탈북민 단체 NK지식인연대는 RFA에 “백두봉예술공간을 직접 방문한 중국 현지인을 통해 확인한 결과 현재 전시된 작품 중에 만수대창작사 부사장인 김성민이 2018년 제작한 작품과 만수대창작사 소속 리철, 지순희 작가가 각각 2018년, 2021년에 제작된 작품이 포함된 사실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곳에서 판매 중인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들의 작품은 모두 대북제재 지정 이후에 발표된 것이며 7천 위안∼30만 위안(약 130만원∼5천666만원) 사이의 가격에 판매 중이라고 NK지식인연대는 설명했습니다.
한편, RFA는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식 후원사인 중국 스포츠용품업체 인랑체육회사가 전날 SNS에 국가대표 한광성이 자사 로고가 달린 유니폼을 입고 있는 사진을 올렸습니다.
인랑체육회사의 북한 축구대표팀 후원도 대북 제재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 2016년 3월 채택한 대북 제재 결의 2270호는 스포츠 장비를 북한으로 이전을 금지한 사치품으로 분류했기 때문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더우인 캡처]
지난해 9월 문을 연 ‘백두봉예술공간’의 SNS에 게시된 동영상을 보면, 김기만, 김성근 등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 최소 20명의 작품이 전시장에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만수대창작사는 북한의 대표적 미술 창작 집단입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만수대창작사가 벌어들인 외화가 북한의 핵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며 대북제재 명단에 올린 바 있습니다.
탈북민 단체 NK지식인연대는 RFA에 “백두봉예술공간을 직접 방문한 중국 현지인을 통해 확인한 결과 현재 전시된 작품 중에 만수대창작사 부사장인 김성민이 2018년 제작한 작품과 만수대창작사 소속 리철, 지순희 작가가 각각 2018년, 2021년에 제작된 작품이 포함된 사실도 확인했다”고 말했습니다.
이 곳에서 판매 중인 만수대창작사 소속 작가들의 작품은 모두 대북제재 지정 이후에 발표된 것이며 7천 위안∼30만 위안(약 130만원∼5천666만원) 사이의 가격에 판매 중이라고 NK지식인연대는 설명했습니다.
한편, RFA는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의 공식 후원사인 중국 스포츠용품업체 인랑체육회사가 전날 SNS에 국가대표 한광성이 자사 로고가 달린 유니폼을 입고 있는 사진을 올렸습니다.
인랑체육회사의 북한 축구대표팀 후원도 대북 제재 위반 소지가 있습니다. 2016년 3월 채택한 대북 제재 결의 2270호는 스포츠 장비를 북한으로 이전을 금지한 사치품으로 분류했기 때문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더우인 캡처]
-
-
송금한 기자 email@kbs.co.kr
송금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