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 지역에 댐을 짓나요”…선정 근거 ‘미공개’ 이유는?

입력 2024.10.07 (18:18) 수정 2024.10.07 (18: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8월 30일, 단양군 단양읍 일대에서 열린 ‘단양천 댐 반대 범군민 궐기대회’지난 8월 30일, 단양군 단양읍 일대에서 열린 ‘단양천 댐 반대 범군민 궐기대회’

■ "단양천 댐 결사반대"… 관광 명소 곳곳에 내걸린 현수막

충북 단양군은 천혜의 자연을 자랑하는 소백산 국립공원과 '단양 8경'을 품은 대표적인 관광 도시입니다. 최근 단양군 단성면 등 이곳 관광 명소 곳곳에 '댐 반대 현수막'이 연이어 걸렸습니다.

지난 7월 말 환경부가 극한 가뭄이나 홍수 등의 기후 위기와 국가 전략산업 지원에 필요한 미래 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른바 '기후위기대응댐' 후보지를 발표한 뒤, 이 지역은 발칵 뒤집혔습니다.

전국의 댐 후보지 14곳 가운데 '단양천'이 포함됐기 때문입니다. 지역 주민들과 단양군은 '댐 건설 반대 투쟁위원회'까지 결성하며 댐 백지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들이 반대 투쟁에 나선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단양 주민들은 40여 년 전에도 수몰의 아픔을 겪었습니다. 옛 군청 소재지였던 단양군 단성면 일대 552만여 ㎡가 1985년, 충주댐 건설로 물에 잠겼습니다.

주민들은 지금의 단양읍(신 단양)으로 삶의 터전을 옮겨야 했습니다. 이런 단양에 또 댐이 들어선다는 소식에 주민들은 크게 분노하고 있습니다.

KBS 취재진에게 댐 반대 이유를 설명하고 있는 이종범 단양천 댐 반대건설투쟁위원장.KBS 취재진에게 댐 반대 이유를 설명하고 있는 이종범 단양천 댐 반대건설투쟁위원장.

■ 환경부 "댐 후보지 보류… 반대 주민과 소통하겠다"

하지만 최근 들어 거센 반발 기류는 관망세로 바뀌는 분위기입니다. 환경부가 반대가 심했던 단양천 댐을 비롯한 일부 댐 후보지들은 다음 달 용역으로 수립할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후보지로 담지 않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사실상 후보지 확정을 보류한 건데요.

이번에 처음으로 수립되는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은 수자원법에 따라 한강과 낙동강, 금강 등 유역별로 수자원을 통합 개발하거나 홍수 예방 등을 위한 계획입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이 물 분야의 최상위 계획으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면, 이 수자원관리계획은 미래 물 수요와 공급 등의 더 구체적인 계획을 담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이번 결정을 내리면서 아직 주민설명회를 하지 못한 댐 반대 후보지 지역 주민들과 더 소통한 뒤에 계획에 반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잠정 보류 결정에 단양천 댐 건설반대투쟁위원회는 조만간 환경부를 방문해 댐 후보지와 관련해 자세한 설명을 듣겠다는 입장입니다.

충북 단양군 단성면 소선암 유원지로 이어지는 단양천 일대 (댐 건설에 따른 예상 수몰지)충북 단양군 단성면 소선암 유원지로 이어지는 단양천 일대 (댐 건설에 따른 예상 수몰지)

■ 댐 후보지 선정 근거 미공개… "부동산 투기 우려"

단양 주민들과 단양군은 여전히 의구심을 제기합니다. 단양천이 댐 후보지로 선정된 구체적인 근거나 이유에 대해 정부가 명확한 내용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윤석 단양군 안전건설과장은 "환경부에 댐 건설 목적과 위치, 규모, 수몰 면적과 가구 등의 자료를 요청했지만 한 달 넘게 답변을 듣지 못하고 있다"면서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싶어도 지금은 추정만 할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8월 8일, 환경부가 단양군 단성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연 비공식 주민설명회에서 "댐 후보지로 도출한 근거, 즉 물 부족량 등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해 평가했다"는 언급에 대한 자료가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습니다.

대략적인 수몰 범위와 댐 위치, 규모를 설명해 주기로 한 '공식 주민설명회'도 잠정 연기된 상태인데요.

환경부의 입장은 간단합니다. 말 그대로 댐 후보지로서 언제든 위치와 규모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확정적이지 않아 자세한 자료는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KBS에 "한강권역의 미래 물 수요를 반영한 모의 공급 실험(시뮬레이션)을 했다는 자료에는 댐 위치와 수몰 지역을 포함했거나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어 부동산 투기 등이 우려된다"고 해명했습니다.

또 "현재는 '의견 수렴' 단계로 댐 건설 기본 계획 고시 전까지는 댐 계획도 유동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단양천 댐을 비롯한 기후위기대응댐 후보지 14곳의 총저수 용량은 약 3억 2천만 톤, 추정되는 사업비는 수조 원대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찬반 의견이 첨예한 댐 선정 논란, 이번 환경부 국정 감사에서도 주요 쟁점으로 다뤄질 전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왜 우리 지역에 댐을 짓나요”…선정 근거 ‘미공개’ 이유는?
    • 입력 2024-10-07 18:18:01
    • 수정2024-10-07 18:21:08
    심층K
지난 8월 30일, 단양군 단양읍 일대에서 열린 ‘단양천 댐 반대 범군민 궐기대회’
■ "단양천 댐 결사반대"… 관광 명소 곳곳에 내걸린 현수막

충북 단양군은 천혜의 자연을 자랑하는 소백산 국립공원과 '단양 8경'을 품은 대표적인 관광 도시입니다. 최근 단양군 단성면 등 이곳 관광 명소 곳곳에 '댐 반대 현수막'이 연이어 걸렸습니다.

지난 7월 말 환경부가 극한 가뭄이나 홍수 등의 기후 위기와 국가 전략산업 지원에 필요한 미래 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이른바 '기후위기대응댐' 후보지를 발표한 뒤, 이 지역은 발칵 뒤집혔습니다.

전국의 댐 후보지 14곳 가운데 '단양천'이 포함됐기 때문입니다. 지역 주민들과 단양군은 '댐 건설 반대 투쟁위원회'까지 결성하며 댐 백지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들이 반대 투쟁에 나선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단양 주민들은 40여 년 전에도 수몰의 아픔을 겪었습니다. 옛 군청 소재지였던 단양군 단성면 일대 552만여 ㎡가 1985년, 충주댐 건설로 물에 잠겼습니다.

주민들은 지금의 단양읍(신 단양)으로 삶의 터전을 옮겨야 했습니다. 이런 단양에 또 댐이 들어선다는 소식에 주민들은 크게 분노하고 있습니다.

KBS 취재진에게 댐 반대 이유를 설명하고 있는 이종범 단양천 댐 반대건설투쟁위원장.
■ 환경부 "댐 후보지 보류… 반대 주민과 소통하겠다"

하지만 최근 들어 거센 반발 기류는 관망세로 바뀌는 분위기입니다. 환경부가 반대가 심했던 단양천 댐을 비롯한 일부 댐 후보지들은 다음 달 용역으로 수립할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후보지로 담지 않기로 했기 때문입니다. 사실상 후보지 확정을 보류한 건데요.

이번에 처음으로 수립되는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은 수자원법에 따라 한강과 낙동강, 금강 등 유역별로 수자원을 통합 개발하거나 홍수 예방 등을 위한 계획입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이 물 분야의 최상위 계획으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면, 이 수자원관리계획은 미래 물 수요와 공급 등의 더 구체적인 계획을 담고 있습니다.

환경부는 이번 결정을 내리면서 아직 주민설명회를 하지 못한 댐 반대 후보지 지역 주민들과 더 소통한 뒤에 계획에 반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잠정 보류 결정에 단양천 댐 건설반대투쟁위원회는 조만간 환경부를 방문해 댐 후보지와 관련해 자세한 설명을 듣겠다는 입장입니다.

충북 단양군 단성면 소선암 유원지로 이어지는 단양천 일대 (댐 건설에 따른 예상 수몰지)
■ 댐 후보지 선정 근거 미공개… "부동산 투기 우려"

단양 주민들과 단양군은 여전히 의구심을 제기합니다. 단양천이 댐 후보지로 선정된 구체적인 근거나 이유에 대해 정부가 명확한 내용을 제시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윤석 단양군 안전건설과장은 "환경부에 댐 건설 목적과 위치, 규모, 수몰 면적과 가구 등의 자료를 요청했지만 한 달 넘게 답변을 듣지 못하고 있다"면서 "주민들에게 설명하고 싶어도 지금은 추정만 할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지난 8월 8일, 환경부가 단양군 단성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연 비공식 주민설명회에서 "댐 후보지로 도출한 근거, 즉 물 부족량 등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해 평가했다"는 언급에 대한 자료가 아직 공개되지 않고 있습니다.

대략적인 수몰 범위와 댐 위치, 규모를 설명해 주기로 한 '공식 주민설명회'도 잠정 연기된 상태인데요.

환경부의 입장은 간단합니다. 말 그대로 댐 후보지로서 언제든 위치와 규모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확정적이지 않아 자세한 자료는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KBS에 "한강권역의 미래 물 수요를 반영한 모의 공급 실험(시뮬레이션)을 했다는 자료에는 댐 위치와 수몰 지역을 포함했거나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 있어 부동산 투기 등이 우려된다"고 해명했습니다.

또 "현재는 '의견 수렴' 단계로 댐 건설 기본 계획 고시 전까지는 댐 계획도 유동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단양천 댐을 비롯한 기후위기대응댐 후보지 14곳의 총저수 용량은 약 3억 2천만 톤, 추정되는 사업비는 수조 원대에 이를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찬반 의견이 첨예한 댐 선정 논란, 이번 환경부 국정 감사에서도 주요 쟁점으로 다뤄질 전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