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상레포츠센터 운영자 입찰 또 ‘유찰’…서울시 “5차 재공고”
입력 2024.10.08 (10:56)
수정 2024.10.08 (10: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난지한강공원에 서울 최대 규모 공용 계류장, 마리나를 조성했지만 석 달째 시설을 운영할 사업자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늘(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전날까지 서울수상레포츠센터 사용 허가(운영사업자 선정) 4차 재입찰을 진행했으나 참여 업체가 없어 또다시 유찰됐습니다.
올해 6월 준공한 센터는 시민들이 한강에서 개인 수상레저기구를 즐길 수 있도록 난지한강공원 난지캠핑장 인근 월드컵대교 하류에 조성한 친수복합시설로,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 사업인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와 ‘한강 수상 활성화 종합계획’의 하나로 조성됐습니다.
해당 센터는 수상계류장, 육상계류장, 지원센터, 부유식 방파제 등을 갖추고 있으며, 155척의 선박을 댈 수 있습니다.
당초 센터는 8월부터 정식 운영할 계획이었으나 이번에도 사업자를 찾지 못하면서 정상 운영이 어렵게 된 겁니다.
앞서 올해 5월 진행된 첫 입찰에서는 A사가 운영권을 따냈는데, 이 업체는 7월 말까지 1차 사용료를 납부하지 못해 결국 낙찰 결정이 취소됐습니다.
당시 시는 1년 사용료 예정가격을 11억 8천여만원으로 제시했고, A사는 16억 2천800만 원을 써내며 단독 입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가격대가 너무 높게 형성됐다는 평가가 나왔고 서울시는 예정 가격을 임의로 정할 수 없으며, 전문법인에 의뢰해 감정평가를 받은 가격을 토대로 가격을 제시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낙찰이 취소된 이후 시는 4차례나 추가로 입찰을 진행했지만 모두 유찰됐으며, 4차 재공고에서 제시한 예정 가격은 9억 4천여만원이었습니다.
서울시는 처음 제시한 예정가격의 70% 수준(8억 2천여만원)으로 가격대를 낮춰 다시 한번 입찰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시 제공]
오늘(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전날까지 서울수상레포츠센터 사용 허가(운영사업자 선정) 4차 재입찰을 진행했으나 참여 업체가 없어 또다시 유찰됐습니다.
올해 6월 준공한 센터는 시민들이 한강에서 개인 수상레저기구를 즐길 수 있도록 난지한강공원 난지캠핑장 인근 월드컵대교 하류에 조성한 친수복합시설로,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 사업인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와 ‘한강 수상 활성화 종합계획’의 하나로 조성됐습니다.
해당 센터는 수상계류장, 육상계류장, 지원센터, 부유식 방파제 등을 갖추고 있으며, 155척의 선박을 댈 수 있습니다.
당초 센터는 8월부터 정식 운영할 계획이었으나 이번에도 사업자를 찾지 못하면서 정상 운영이 어렵게 된 겁니다.
앞서 올해 5월 진행된 첫 입찰에서는 A사가 운영권을 따냈는데, 이 업체는 7월 말까지 1차 사용료를 납부하지 못해 결국 낙찰 결정이 취소됐습니다.
당시 시는 1년 사용료 예정가격을 11억 8천여만원으로 제시했고, A사는 16억 2천800만 원을 써내며 단독 입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가격대가 너무 높게 형성됐다는 평가가 나왔고 서울시는 예정 가격을 임의로 정할 수 없으며, 전문법인에 의뢰해 감정평가를 받은 가격을 토대로 가격을 제시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낙찰이 취소된 이후 시는 4차례나 추가로 입찰을 진행했지만 모두 유찰됐으며, 4차 재공고에서 제시한 예정 가격은 9억 4천여만원이었습니다.
서울시는 처음 제시한 예정가격의 70% 수준(8억 2천여만원)으로 가격대를 낮춰 다시 한번 입찰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시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 수상레포츠센터 운영자 입찰 또 ‘유찰’…서울시 “5차 재공고”
-
- 입력 2024-10-08 10:56:45
- 수정2024-10-08 10:58:23
서울시가 난지한강공원에 서울 최대 규모 공용 계류장, 마리나를 조성했지만 석 달째 시설을 운영할 사업자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오늘(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전날까지 서울수상레포츠센터 사용 허가(운영사업자 선정) 4차 재입찰을 진행했으나 참여 업체가 없어 또다시 유찰됐습니다.
올해 6월 준공한 센터는 시민들이 한강에서 개인 수상레저기구를 즐길 수 있도록 난지한강공원 난지캠핑장 인근 월드컵대교 하류에 조성한 친수복합시설로,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 사업인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와 ‘한강 수상 활성화 종합계획’의 하나로 조성됐습니다.
해당 센터는 수상계류장, 육상계류장, 지원센터, 부유식 방파제 등을 갖추고 있으며, 155척의 선박을 댈 수 있습니다.
당초 센터는 8월부터 정식 운영할 계획이었으나 이번에도 사업자를 찾지 못하면서 정상 운영이 어렵게 된 겁니다.
앞서 올해 5월 진행된 첫 입찰에서는 A사가 운영권을 따냈는데, 이 업체는 7월 말까지 1차 사용료를 납부하지 못해 결국 낙찰 결정이 취소됐습니다.
당시 시는 1년 사용료 예정가격을 11억 8천여만원으로 제시했고, A사는 16억 2천800만 원을 써내며 단독 입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가격대가 너무 높게 형성됐다는 평가가 나왔고 서울시는 예정 가격을 임의로 정할 수 없으며, 전문법인에 의뢰해 감정평가를 받은 가격을 토대로 가격을 제시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낙찰이 취소된 이후 시는 4차례나 추가로 입찰을 진행했지만 모두 유찰됐으며, 4차 재공고에서 제시한 예정 가격은 9억 4천여만원이었습니다.
서울시는 처음 제시한 예정가격의 70% 수준(8억 2천여만원)으로 가격대를 낮춰 다시 한번 입찰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시 제공]
오늘(8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전날까지 서울수상레포츠센터 사용 허가(운영사업자 선정) 4차 재입찰을 진행했으나 참여 업체가 없어 또다시 유찰됐습니다.
올해 6월 준공한 센터는 시민들이 한강에서 개인 수상레저기구를 즐길 수 있도록 난지한강공원 난지캠핑장 인근 월드컵대교 하류에 조성한 친수복합시설로,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 사업인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와 ‘한강 수상 활성화 종합계획’의 하나로 조성됐습니다.
해당 센터는 수상계류장, 육상계류장, 지원센터, 부유식 방파제 등을 갖추고 있으며, 155척의 선박을 댈 수 있습니다.
당초 센터는 8월부터 정식 운영할 계획이었으나 이번에도 사업자를 찾지 못하면서 정상 운영이 어렵게 된 겁니다.
앞서 올해 5월 진행된 첫 입찰에서는 A사가 운영권을 따냈는데, 이 업체는 7월 말까지 1차 사용료를 납부하지 못해 결국 낙찰 결정이 취소됐습니다.
당시 시는 1년 사용료 예정가격을 11억 8천여만원으로 제시했고, A사는 16억 2천800만 원을 써내며 단독 입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가격대가 너무 높게 형성됐다는 평가가 나왔고 서울시는 예정 가격을 임의로 정할 수 없으며, 전문법인에 의뢰해 감정평가를 받은 가격을 토대로 가격을 제시했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낙찰이 취소된 이후 시는 4차례나 추가로 입찰을 진행했지만 모두 유찰됐으며, 4차 재공고에서 제시한 예정 가격은 9억 4천여만원이었습니다.
서울시는 처음 제시한 예정가격의 70% 수준(8억 2천여만원)으로 가격대를 낮춰 다시 한번 입찰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시 제공]
-
-
박민경 기자 pmg@kbs.co.kr
박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