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 빠진 독에 사람 붓기’…기상 연구 위기

입력 2024.10.10 (19:26) 수정 2024.10.10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폭염과 집중호우 같은 기후 위기가 현실화하면서 기상·기후 연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핵심 기상·기후 연구기관인 국립기상과학원은 인력난을 겪고 있습니다.

어찌 된 일인지 이세흠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978년 기상연구소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기상·기후 연구의 중추를 맡고 있는 기상청 소속 국립기상과학원입니다.

기후변화 예측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상 예보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일하는 공무직 연구원의 정원은 125명.

하지만 올해 8월 기준 인원은 92명으로, 충원율이 70%대에 그칩니다.

연구원을 꾸준히 뽑고 있지만 나가는 사람이 더 많은 탓입니다.

3년 전 17명을 채용했지만 같은 해 18명이 퇴사했고, 12명을 뽑은 이듬해에도 13명이 나갔습니다.

지난해 채용 인원을 25명으로 크게 늘렸는데, 퇴사자 수도 비슷한 수준인 21명으로 같이 늘어났습니다.

이러다 보니 홈페이지엔 채용 공고가 틈날 때마다 올라옵니다.

[김성우/국립기상과학원 기획운영과장 : "제한된 인력으로 연구를 최대한 수행하고 있으나, 연구원 인원수가 정원 대비 3/4 수준으로 연구 부담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민간 연구소나 기업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또, 서울 등 수도권 근무를 희망하는 퇴직자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상과학원은 당초 서울에 있다가 2014년 제주로 이전했습니다.

[임이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 "높은 이직률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수를 좀 더 높게 책정해야 하고 또 여러 가지 생활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개선해야 합니다."]

기상청과 기상과학원은 아직 뾰족한 해법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기상·기후 연구 역량이 저하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촬영기자:강재윤 최원석/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최창준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밑 빠진 독에 사람 붓기’…기상 연구 위기
    • 입력 2024-10-10 19:26:22
    • 수정2024-10-10 19:45:24
    뉴스 7
[앵커]

폭염과 집중호우 같은 기후 위기가 현실화하면서 기상·기후 연구의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의 핵심 기상·기후 연구기관인 국립기상과학원은 인력난을 겪고 있습니다.

어찌 된 일인지 이세흠 기상전문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1978년 기상연구소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기상·기후 연구의 중추를 맡고 있는 기상청 소속 국립기상과학원입니다.

기후변화 예측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기상 예보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일하는 공무직 연구원의 정원은 125명.

하지만 올해 8월 기준 인원은 92명으로, 충원율이 70%대에 그칩니다.

연구원을 꾸준히 뽑고 있지만 나가는 사람이 더 많은 탓입니다.

3년 전 17명을 채용했지만 같은 해 18명이 퇴사했고, 12명을 뽑은 이듬해에도 13명이 나갔습니다.

지난해 채용 인원을 25명으로 크게 늘렸는데, 퇴사자 수도 비슷한 수준인 21명으로 같이 늘어났습니다.

이러다 보니 홈페이지엔 채용 공고가 틈날 때마다 올라옵니다.

[김성우/국립기상과학원 기획운영과장 : "제한된 인력으로 연구를 최대한 수행하고 있으나, 연구원 인원수가 정원 대비 3/4 수준으로 연구 부담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민간 연구소나 기업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보수가 원인으로 꼽힙니다.

또, 서울 등 수도권 근무를 희망하는 퇴직자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상과학원은 당초 서울에 있다가 2014년 제주로 이전했습니다.

[임이자/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 "높은 이직률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수를 좀 더 높게 책정해야 하고 또 여러 가지 생활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개선해야 합니다."]

기상청과 기상과학원은 아직 뾰족한 해법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기상·기후 연구 역량이 저하될 거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세흠입니다.

촬영기자:강재윤 최원석/영상편집:이상미/그래픽:최창준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