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살림비도 지원”…서울시, 저출생 극복 위해 6조 7천억 원 투자
입력 2024.10.29 (10:46)
수정 2024.10.29 (10: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는 저출생 극복을 위해 내년부터 2년 동안 총 87개 사업에 6조 7천억 원을 투입하는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를 추진한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는 서울시가 2022년 발표한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의 확장판 개념으로 올해 2월 도입됐습니다.
청년·신혼부부·난임부부 같은 예비 양육자를 지원 대상에 포함하고 출산·육아·돌봄뿐 아니라 주거나 일·생활 균형 같은 근본적 문제까지 전방위 지원하는 것이 핵심으로 합니다.
우선 서울시는 내년부터 2026년까지 기존 예산 두 배에 가까운 6조 7천억 원을 투자해 2개 분야(탄생응원, 육아응원) 52개 사업을 돌봄·주거, 양육친화·일생활균형, 만남·출산 등 3개 분야 87개 사업으로 확대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신혼부부를 위해 이른바 ‘스드메’(사진 촬영 스튜디오, 웨딩드레스 예약, 신부 메이크업) 등 결혼 준비와 혼인 살림 장만에 쓸 수 있도록 내년부터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합니다.
내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를 한 1년 내 신혼부부(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가 대상이며, 내년에 2만 가구 이상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필수 육아용품을 최대 반값에 구매할 수 있는 ‘탄생응원몰’도 내년 3월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서울형 키즈카페는 동마다 1곳씩 2026년까지 400곳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또 영유아·초등학생 자녀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1시간 단위로 맡길 수 있는 ‘서울형 시간제 전문 어린이집’과 등교 전 아침 시간대 초등학생을 돌봐주고 등교까지 시켜주는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를 각각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내년 1월부터 아이가 태어난 무주택 가구에 월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고 내년부터 1인 자영업자나 프리랜서도 본인 또는 배우자 출산 시 출산휴가를 갈 수 있도록 전국 최초로 출산·휴가 급여 지원할 방침입니다.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등 임산부 본인에게는 90만 원의 출산 급여를, 임산부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등에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80만 원을 지원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서울 출생아 수는 작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고 혼인 건수도 작년 동기보다 23.5% 증가했습니다.
특히 서울의 출생아 수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것은 12년 만으로, 서울시는 저출생 반등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시 제공]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는 서울시가 2022년 발표한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의 확장판 개념으로 올해 2월 도입됐습니다.
청년·신혼부부·난임부부 같은 예비 양육자를 지원 대상에 포함하고 출산·육아·돌봄뿐 아니라 주거나 일·생활 균형 같은 근본적 문제까지 전방위 지원하는 것이 핵심으로 합니다.
우선 서울시는 내년부터 2026년까지 기존 예산 두 배에 가까운 6조 7천억 원을 투자해 2개 분야(탄생응원, 육아응원) 52개 사업을 돌봄·주거, 양육친화·일생활균형, 만남·출산 등 3개 분야 87개 사업으로 확대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신혼부부를 위해 이른바 ‘스드메’(사진 촬영 스튜디오, 웨딩드레스 예약, 신부 메이크업) 등 결혼 준비와 혼인 살림 장만에 쓸 수 있도록 내년부터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합니다.
내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를 한 1년 내 신혼부부(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가 대상이며, 내년에 2만 가구 이상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필수 육아용품을 최대 반값에 구매할 수 있는 ‘탄생응원몰’도 내년 3월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서울형 키즈카페는 동마다 1곳씩 2026년까지 400곳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또 영유아·초등학생 자녀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1시간 단위로 맡길 수 있는 ‘서울형 시간제 전문 어린이집’과 등교 전 아침 시간대 초등학생을 돌봐주고 등교까지 시켜주는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를 각각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내년 1월부터 아이가 태어난 무주택 가구에 월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고 내년부터 1인 자영업자나 프리랜서도 본인 또는 배우자 출산 시 출산휴가를 갈 수 있도록 전국 최초로 출산·휴가 급여 지원할 방침입니다.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등 임산부 본인에게는 90만 원의 출산 급여를, 임산부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등에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80만 원을 지원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서울 출생아 수는 작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고 혼인 건수도 작년 동기보다 23.5% 증가했습니다.
특히 서울의 출생아 수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것은 12년 만으로, 서울시는 저출생 반등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시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결혼 살림비도 지원”…서울시, 저출생 극복 위해 6조 7천억 원 투자
-
- 입력 2024-10-29 10:46:27
- 수정2024-10-29 10:50:43
서울시는 저출생 극복을 위해 내년부터 2년 동안 총 87개 사업에 6조 7천억 원을 투입하는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 시즌2’를 추진한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는 서울시가 2022년 발표한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의 확장판 개념으로 올해 2월 도입됐습니다.
청년·신혼부부·난임부부 같은 예비 양육자를 지원 대상에 포함하고 출산·육아·돌봄뿐 아니라 주거나 일·생활 균형 같은 근본적 문제까지 전방위 지원하는 것이 핵심으로 합니다.
우선 서울시는 내년부터 2026년까지 기존 예산 두 배에 가까운 6조 7천억 원을 투자해 2개 분야(탄생응원, 육아응원) 52개 사업을 돌봄·주거, 양육친화·일생활균형, 만남·출산 등 3개 분야 87개 사업으로 확대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신혼부부를 위해 이른바 ‘스드메’(사진 촬영 스튜디오, 웨딩드레스 예약, 신부 메이크업) 등 결혼 준비와 혼인 살림 장만에 쓸 수 있도록 내년부터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합니다.
내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를 한 1년 내 신혼부부(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가 대상이며, 내년에 2만 가구 이상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필수 육아용품을 최대 반값에 구매할 수 있는 ‘탄생응원몰’도 내년 3월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서울형 키즈카페는 동마다 1곳씩 2026년까지 400곳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또 영유아·초등학생 자녀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1시간 단위로 맡길 수 있는 ‘서울형 시간제 전문 어린이집’과 등교 전 아침 시간대 초등학생을 돌봐주고 등교까지 시켜주는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를 각각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내년 1월부터 아이가 태어난 무주택 가구에 월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고 내년부터 1인 자영업자나 프리랜서도 본인 또는 배우자 출산 시 출산휴가를 갈 수 있도록 전국 최초로 출산·휴가 급여 지원할 방침입니다.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등 임산부 본인에게는 90만 원의 출산 급여를, 임산부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등에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80만 원을 지원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서울 출생아 수는 작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고 혼인 건수도 작년 동기보다 23.5% 증가했습니다.
특히 서울의 출생아 수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것은 12년 만으로, 서울시는 저출생 반등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시 제공]
탄생응원 서울 프로젝트는 서울시가 2022년 발표한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의 확장판 개념으로 올해 2월 도입됐습니다.
청년·신혼부부·난임부부 같은 예비 양육자를 지원 대상에 포함하고 출산·육아·돌봄뿐 아니라 주거나 일·생활 균형 같은 근본적 문제까지 전방위 지원하는 것이 핵심으로 합니다.
우선 서울시는 내년부터 2026년까지 기존 예산 두 배에 가까운 6조 7천억 원을 투자해 2개 분야(탄생응원, 육아응원) 52개 사업을 돌봄·주거, 양육친화·일생활균형, 만남·출산 등 3개 분야 87개 사업으로 확대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우선 신혼부부를 위해 이른바 ‘스드메’(사진 촬영 스튜디오, 웨딩드레스 예약, 신부 메이크업) 등 결혼 준비와 혼인 살림 장만에 쓸 수 있도록 내년부터 최대 100만 원을 지원합니다.
내년 1월 1일 이후 혼인신고를 한 1년 내 신혼부부(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가 대상이며, 내년에 2만 가구 이상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필수 육아용품을 최대 반값에 구매할 수 있는 ‘탄생응원몰’도 내년 3월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서울형 키즈카페는 동마다 1곳씩 2026년까지 400곳을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또 영유아·초등학생 자녀의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1시간 단위로 맡길 수 있는 ‘서울형 시간제 전문 어린이집’과 등교 전 아침 시간대 초등학생을 돌봐주고 등교까지 시켜주는 ‘서울형 아침돌봄 키움센터’를 각각 25개 전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와 함께 내년 1월부터 아이가 태어난 무주택 가구에 월 30만 원씩 2년간 총 720만 원의 주거비를 지원하고 내년부터 1인 자영업자나 프리랜서도 본인 또는 배우자 출산 시 출산휴가를 갈 수 있도록 전국 최초로 출산·휴가 급여 지원할 방침입니다.
1인 자영업자 및 프리랜서 등 임산부 본인에게는 90만 원의 출산 급여를, 임산부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등에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80만 원을 지원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서울 출생아 수는 작년 동기 대비 6.6% 증가했고 혼인 건수도 작년 동기보다 23.5% 증가했습니다.
특히 서울의 출생아 수가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간 것은 12년 만으로, 서울시는 저출생 반등 흐름을 이어가기 위해 대대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서울시 제공]
-
-
박민경 기자 pmg@kbs.co.kr
박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