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도래지, 저어새 주목해야”

입력 2024.10.30 (10:43) 수정 2024.10.30 (13:2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제2공항 환경영향평가를 앞두고 쟁점들을 짚어 보는 순서입니다.

제2공항 예정부지 인근에는 4곳의 철새도래지와 이곳을 찾는 멸종위기종 철새가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매년 이곳을 찾는 저어새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의 시간인 환경영향평가에선 무엇을 더 들여야 봐야 하는지 취재했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2공항 사업 예정지 인근에 있는 철새도래지.

멸종위기종 1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저어새 무리가 올해도 제주를 찾았습니다.

종달리에선 먹이를 분주하게 찾고 쉬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전 세계에 6~7천 마리 밖에 남지 않은 저어새.

이 중 90% 이상이 우리나라 서해안 무인도 등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해안을 포함해 일부 중국과 러시아에서 번식한 저어새 등 상당수가 매년 월동지나 기착점으로 제주 하도리와 종달리 철새도래지를 찾고 있습니다.

[이우신/서울대 명예교수/한국의 새 저자 : "(저어새)30~40마리가 월동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굉장히 드문 일이고 경관 자체가 화산암 지대, 습지가 되어서 상당히 전 세계적으로도 독특한 곳이기 때문에."]

하지만, 이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엔 이곳 하도리 철새도래지의 기능과 이곳을 찾는 저어새 등 법정보호종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국토부는 법정보호종이 번식해 항공기와 충돌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공항 공사가 진행되면 자연스럽게 다른 곳으로 떠날 것이라며 점검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실상 제주에서 월동하는 저어새를 볼 수 없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이우신/서울대 명예교수/한국의 새 저자 : "저어새가 서식하는 곳을 대체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에 방해 요인에 의해서 결국 이동할 가능성이 좀 높죠. 제주도로서는 보존해야 할 우리 유산을 멀리 보내버리는 상황이 되는 거죠."]

환경영향평가에서 쟁점이 될 조류 충돌과 대체서식지 문제.

항공 공학적 접근만이 아닌 다양한 시각으로 검증해야 할 이유입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그래픽:조하연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철새도래지, 저어새 주목해야”
    • 입력 2024-10-30 10:43:25
    • 수정2024-10-30 13:25:45
    930뉴스(제주)
[앵커]

제2공항 환경영향평가를 앞두고 쟁점들을 짚어 보는 순서입니다.

제2공항 예정부지 인근에는 4곳의 철새도래지와 이곳을 찾는 멸종위기종 철새가 있는데요.

전문가들은 매년 이곳을 찾는 저어새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제주도의 시간인 환경영향평가에선 무엇을 더 들여야 봐야 하는지 취재했습니다.

강인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제2공항 사업 예정지 인근에 있는 철새도래지.

멸종위기종 1급이자 천연기념물인 저어새 무리가 올해도 제주를 찾았습니다.

종달리에선 먹이를 분주하게 찾고 쉬는 모습도 포착됐습니다.

전 세계에 6~7천 마리 밖에 남지 않은 저어새.

이 중 90% 이상이 우리나라 서해안 무인도 등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해안을 포함해 일부 중국과 러시아에서 번식한 저어새 등 상당수가 매년 월동지나 기착점으로 제주 하도리와 종달리 철새도래지를 찾고 있습니다.

[이우신/서울대 명예교수/한국의 새 저자 : "(저어새)30~40마리가 월동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굉장히 드문 일이고 경관 자체가 화산암 지대, 습지가 되어서 상당히 전 세계적으로도 독특한 곳이기 때문에."]

하지만, 이 제2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엔 이곳 하도리 철새도래지의 기능과 이곳을 찾는 저어새 등 법정보호종의 중요성에 대한 설명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국토부는 법정보호종이 번식해 항공기와 충돌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공항 공사가 진행되면 자연스럽게 다른 곳으로 떠날 것이라며 점검 계획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실상 제주에서 월동하는 저어새를 볼 수 없게 된다는 얘기입니다.

[이우신/서울대 명예교수/한국의 새 저자 : "저어새가 서식하는 곳을 대체하는 게 쉽지 않기 때문에 방해 요인에 의해서 결국 이동할 가능성이 좀 높죠. 제주도로서는 보존해야 할 우리 유산을 멀리 보내버리는 상황이 되는 거죠."]

환경영향평가에서 쟁점이 될 조류 충돌과 대체서식지 문제.

항공 공학적 접근만이 아닌 다양한 시각으로 검증해야 할 이유입니다.

KBS 뉴스 강인희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그래픽:조하연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제주-주요뉴스

더보기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