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다부동 전투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현충원 안장

입력 2024.11.01 (14:31) 수정 2024.11.01 (14:3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전쟁에 참전해 전사한 경찰관의 유해가 74년 만에 확인돼 현충원에 안장됐습니다.

경찰청은 오늘(1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고 임진원 경사의 유해 안장식을 엄수했다고 밝혔습니다. 유해는 유족의 뜻에 따라 국립서울현충원 경찰묘역에 안장됐습니다.

안장식에는 조지호 경찰청장과 권대일 국립서울현충원장,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등 100여 명이 참석했고, 유가족 거주지인 동두천시에서부터 서울 현충원으로 이동하는 길에 경찰관이 동행하고 1계급 특진을 추서하는 등 예를 갖췄습니다.

임 경사는 1950년 6·25전쟁 때 경북 칠곡에서 치러진 '다부동 전투'에 참여했다가 전사했습니다.

당시 칠곡 유학산 일대는 대구 점령을 방어하기 위한 치열한 전투가 치러졌고, 한 달여간의 전투를 통해 2개 사단의 공격을 격퇴하고 방어선을 확보함으로써 대구 점령을 막아 북한에 반격의 실마리를 마련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임 경사의 유해는 고향인 전북 김제 땅이 아닌 칠곡 유학산 일대에서 지난 2000년 발견됐고 올해 유가족 DNA의 시료 분석을 거쳐 신원이 최종 확인됐습니다.

고인은 3·1운동 민족대표 48인 중 한 명인 독립운동가 임규의 조카이자 백마고지 전투의 영웅인 고 임익순 대령의 당숙이기도 합니다.

유가족은 "사진 한 장 남아있지 않은 아버지를 평생 그리워하며 살았는데 머나먼 타향 땅에 묻혀 계시던 아버지를 이제라도 서울 현충원에 모실 수 있어 더할 나위 없이 기쁘다"며 "앞으로도 국가가 지속해서 전사 경찰관들에 대한 현양 사업에 신경 써줬으면 한다"고 전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6·25전쟁에는 총 6만 3,427명의 경찰관이 참전해 다부동 전투를 비롯한 전국의 전장에서 활약했습니다. 전쟁 중에 희생된 구국 경찰은 사망자 3,131명, 실종자 7,084명으로 추정됩니다.

경찰청 관계자는 "6·25전쟁 당시 국가와 국민을 수호하다 장렬히 산화한 전사 경찰관들을 빠짐없이 찾아내고 그 공훈을 기리기 위해 유해 발굴 사업, 현충 시설 정비사업 등의 노력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25 다부동 전투 전사 경찰관, 74년 만에 현충원 안장
    • 입력 2024-11-01 14:31:02
    • 수정2024-11-01 14:32:41
    사회
한국전쟁에 참전해 전사한 경찰관의 유해가 74년 만에 확인돼 현충원에 안장됐습니다.

경찰청은 오늘(1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에서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고 임진원 경사의 유해 안장식을 엄수했다고 밝혔습니다. 유해는 유족의 뜻에 따라 국립서울현충원 경찰묘역에 안장됐습니다.

안장식에는 조지호 경찰청장과 권대일 국립서울현충원장,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등 100여 명이 참석했고, 유가족 거주지인 동두천시에서부터 서울 현충원으로 이동하는 길에 경찰관이 동행하고 1계급 특진을 추서하는 등 예를 갖췄습니다.

임 경사는 1950년 6·25전쟁 때 경북 칠곡에서 치러진 '다부동 전투'에 참여했다가 전사했습니다.

당시 칠곡 유학산 일대는 대구 점령을 방어하기 위한 치열한 전투가 치러졌고, 한 달여간의 전투를 통해 2개 사단의 공격을 격퇴하고 방어선을 확보함으로써 대구 점령을 막아 북한에 반격의 실마리를 마련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임 경사의 유해는 고향인 전북 김제 땅이 아닌 칠곡 유학산 일대에서 지난 2000년 발견됐고 올해 유가족 DNA의 시료 분석을 거쳐 신원이 최종 확인됐습니다.

고인은 3·1운동 민족대표 48인 중 한 명인 독립운동가 임규의 조카이자 백마고지 전투의 영웅인 고 임익순 대령의 당숙이기도 합니다.

유가족은 "사진 한 장 남아있지 않은 아버지를 평생 그리워하며 살았는데 머나먼 타향 땅에 묻혀 계시던 아버지를 이제라도 서울 현충원에 모실 수 있어 더할 나위 없이 기쁘다"며 "앞으로도 국가가 지속해서 전사 경찰관들에 대한 현양 사업에 신경 써줬으면 한다"고 전했습니다.

경찰에 따르면 6·25전쟁에는 총 6만 3,427명의 경찰관이 참전해 다부동 전투를 비롯한 전국의 전장에서 활약했습니다. 전쟁 중에 희생된 구국 경찰은 사망자 3,131명, 실종자 7,084명으로 추정됩니다.

경찰청 관계자는 "6·25전쟁 당시 국가와 국민을 수호하다 장렬히 산화한 전사 경찰관들을 빠짐없이 찾아내고 그 공훈을 기리기 위해 유해 발굴 사업, 현충 시설 정비사업 등의 노력도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대선특집페이지 대선특집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