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솜방망이 징계’ 손질…마약·음주운전 비위 경찰관 징계 강화
입력 2024.11.19 (17:25)
수정 2024.11.19 (17: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주운전과 마약 범죄, 스토킹, 디지털 성범죄 등에 연루된 경찰에 대한 징계처분이 대폭 강화됩니다.
오늘(19일) 경찰청에 따르면 국가경찰위원회는 어제(18일) 주요 비위에 대한 징계양정 기준을 대폭 강화한 '경찰공무원 징계령 세부 시행규칙'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을 보면 우선 마약류 비위에 대한 징계 규정이 신설됐습니다.
비위 정도나 유형에 따라 최소 파면, 최대 해임 조치가 내려집니다. 경찰 내 마약범죄 척결을 위해 무조건 경찰관 신분을 박탈한다는 게 징계 수위 강화의 배경입니다.
파면과 해임은 경찰관 신분이 박탈된다는 점에선 차이가 없지만, 재임용 제한 기간과 퇴직금 수령액에 차이가 있습니다.
음주운전에 대한 징계양정 기준도 강화돼 2회 이상 음주운전, 무면허 음주운전은 즉각 파면 또는 해임됩니다.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면허취소 수준인 0.08% 이상인 경우엔 최대 파면에서 최소 강등 처분이 이뤄집니다. 0.08% 미만인 경우에는 강등∼정직이 가능합니다.
기존에는 0.08%∼0.2% 미만이면 강등∼정직 처분이, 0.08% 미만이면 정직∼감봉 처분이 기준이었습니다.
음주운전 방조 행위에 대한 징계 규정도 신설돼, 부서장 및 관리자는 강등∼정직 처분이, 일반 직원은 정직∼감봉 처분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술자리에 차량을 갖고 참석했다가 음주운전이 적발된 경우에는 징계를 한 단계 가중하는 규정도 마련했습니다.
경찰청은 "사실상 음주운전 예비행위로 간주해 경찰에서 퇴출하겠다는 의도"라고 밝혔습니다.
스토킹이나 디지털 성범죄도 별도 유형으로 분류해 징계해, 비위 정도가 약하거나 경과실 범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파면 또는 해임이 이뤄지게 됩니다.
이 밖에도 '성폭력 범죄'로 한정했던 비위 유형을 '성폭력'으로 바꿔 수사 여부와 상관없이 성폭력 행위만 인정돼도 징계가 가능하게 했고, 중요 수사·단속 정보 누설 행위도 최소 강등 이상 처분이 가능해집니다.
경찰청 관계자는 "더욱 강력한 경각심을 갖기 위한 규칙 개정"이라며 "국민을 실망시키는 일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경찰청 제공]
오늘(19일) 경찰청에 따르면 국가경찰위원회는 어제(18일) 주요 비위에 대한 징계양정 기준을 대폭 강화한 '경찰공무원 징계령 세부 시행규칙'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을 보면 우선 마약류 비위에 대한 징계 규정이 신설됐습니다.
비위 정도나 유형에 따라 최소 파면, 최대 해임 조치가 내려집니다. 경찰 내 마약범죄 척결을 위해 무조건 경찰관 신분을 박탈한다는 게 징계 수위 강화의 배경입니다.
파면과 해임은 경찰관 신분이 박탈된다는 점에선 차이가 없지만, 재임용 제한 기간과 퇴직금 수령액에 차이가 있습니다.
음주운전에 대한 징계양정 기준도 강화돼 2회 이상 음주운전, 무면허 음주운전은 즉각 파면 또는 해임됩니다.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면허취소 수준인 0.08% 이상인 경우엔 최대 파면에서 최소 강등 처분이 이뤄집니다. 0.08% 미만인 경우에는 강등∼정직이 가능합니다.
기존에는 0.08%∼0.2% 미만이면 강등∼정직 처분이, 0.08% 미만이면 정직∼감봉 처분이 기준이었습니다.
음주운전 방조 행위에 대한 징계 규정도 신설돼, 부서장 및 관리자는 강등∼정직 처분이, 일반 직원은 정직∼감봉 처분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술자리에 차량을 갖고 참석했다가 음주운전이 적발된 경우에는 징계를 한 단계 가중하는 규정도 마련했습니다.
경찰청은 "사실상 음주운전 예비행위로 간주해 경찰에서 퇴출하겠다는 의도"라고 밝혔습니다.
스토킹이나 디지털 성범죄도 별도 유형으로 분류해 징계해, 비위 정도가 약하거나 경과실 범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파면 또는 해임이 이뤄지게 됩니다.
이 밖에도 '성폭력 범죄'로 한정했던 비위 유형을 '성폭력'으로 바꿔 수사 여부와 상관없이 성폭력 행위만 인정돼도 징계가 가능하게 했고, 중요 수사·단속 정보 누설 행위도 최소 강등 이상 처분이 가능해집니다.
경찰청 관계자는 "더욱 강력한 경각심을 갖기 위한 규칙 개정"이라며 "국민을 실망시키는 일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경찰청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솜방망이 징계’ 손질…마약·음주운전 비위 경찰관 징계 강화
-
- 입력 2024-11-19 17:25:57
- 수정2024-11-19 17:27:48
음주운전과 마약 범죄, 스토킹, 디지털 성범죄 등에 연루된 경찰에 대한 징계처분이 대폭 강화됩니다.
오늘(19일) 경찰청에 따르면 국가경찰위원회는 어제(18일) 주요 비위에 대한 징계양정 기준을 대폭 강화한 '경찰공무원 징계령 세부 시행규칙'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을 보면 우선 마약류 비위에 대한 징계 규정이 신설됐습니다.
비위 정도나 유형에 따라 최소 파면, 최대 해임 조치가 내려집니다. 경찰 내 마약범죄 척결을 위해 무조건 경찰관 신분을 박탈한다는 게 징계 수위 강화의 배경입니다.
파면과 해임은 경찰관 신분이 박탈된다는 점에선 차이가 없지만, 재임용 제한 기간과 퇴직금 수령액에 차이가 있습니다.
음주운전에 대한 징계양정 기준도 강화돼 2회 이상 음주운전, 무면허 음주운전은 즉각 파면 또는 해임됩니다.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면허취소 수준인 0.08% 이상인 경우엔 최대 파면에서 최소 강등 처분이 이뤄집니다. 0.08% 미만인 경우에는 강등∼정직이 가능합니다.
기존에는 0.08%∼0.2% 미만이면 강등∼정직 처분이, 0.08% 미만이면 정직∼감봉 처분이 기준이었습니다.
음주운전 방조 행위에 대한 징계 규정도 신설돼, 부서장 및 관리자는 강등∼정직 처분이, 일반 직원은 정직∼감봉 처분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술자리에 차량을 갖고 참석했다가 음주운전이 적발된 경우에는 징계를 한 단계 가중하는 규정도 마련했습니다.
경찰청은 "사실상 음주운전 예비행위로 간주해 경찰에서 퇴출하겠다는 의도"라고 밝혔습니다.
스토킹이나 디지털 성범죄도 별도 유형으로 분류해 징계해, 비위 정도가 약하거나 경과실 범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파면 또는 해임이 이뤄지게 됩니다.
이 밖에도 '성폭력 범죄'로 한정했던 비위 유형을 '성폭력'으로 바꿔 수사 여부와 상관없이 성폭력 행위만 인정돼도 징계가 가능하게 했고, 중요 수사·단속 정보 누설 행위도 최소 강등 이상 처분이 가능해집니다.
경찰청 관계자는 "더욱 강력한 경각심을 갖기 위한 규칙 개정"이라며 "국민을 실망시키는 일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경찰청 제공]
오늘(19일) 경찰청에 따르면 국가경찰위원회는 어제(18일) 주요 비위에 대한 징계양정 기준을 대폭 강화한 '경찰공무원 징계령 세부 시행규칙' 개정안을 의결했습니다.
이번 개정안을 보면 우선 마약류 비위에 대한 징계 규정이 신설됐습니다.
비위 정도나 유형에 따라 최소 파면, 최대 해임 조치가 내려집니다. 경찰 내 마약범죄 척결을 위해 무조건 경찰관 신분을 박탈한다는 게 징계 수위 강화의 배경입니다.
파면과 해임은 경찰관 신분이 박탈된다는 점에선 차이가 없지만, 재임용 제한 기간과 퇴직금 수령액에 차이가 있습니다.
음주운전에 대한 징계양정 기준도 강화돼 2회 이상 음주운전, 무면허 음주운전은 즉각 파면 또는 해임됩니다.
혈중알코올농도 수치가 면허취소 수준인 0.08% 이상인 경우엔 최대 파면에서 최소 강등 처분이 이뤄집니다. 0.08% 미만인 경우에는 강등∼정직이 가능합니다.
기존에는 0.08%∼0.2% 미만이면 강등∼정직 처분이, 0.08% 미만이면 정직∼감봉 처분이 기준이었습니다.
음주운전 방조 행위에 대한 징계 규정도 신설돼, 부서장 및 관리자는 강등∼정직 처분이, 일반 직원은 정직∼감봉 처분이 내려질 수 있습니다.
술자리에 차량을 갖고 참석했다가 음주운전이 적발된 경우에는 징계를 한 단계 가중하는 규정도 마련했습니다.
경찰청은 "사실상 음주운전 예비행위로 간주해 경찰에서 퇴출하겠다는 의도"라고 밝혔습니다.
스토킹이나 디지털 성범죄도 별도 유형으로 분류해 징계해, 비위 정도가 약하거나 경과실 범죄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파면 또는 해임이 이뤄지게 됩니다.
이 밖에도 '성폭력 범죄'로 한정했던 비위 유형을 '성폭력'으로 바꿔 수사 여부와 상관없이 성폭력 행위만 인정돼도 징계가 가능하게 했고, 중요 수사·단속 정보 누설 행위도 최소 강등 이상 처분이 가능해집니다.
경찰청 관계자는 "더욱 강력한 경각심을 갖기 위한 규칙 개정"이라며 "국민을 실망시키는 일이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경찰청 제공]
-
-
우한솔 기자 pine@kbs.co.kr
우한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