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업 생성형 AI 지출 19조 원…지난해 6배
입력 2024.11.21 (11:28)
수정 2024.11.21 (11: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올해 미국 기업들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 지출이 지난해의 6배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C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벤처캐피털 기업 멘로벤처스는 현지 시각 2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기업들의 생성형 AI에 대한 지출이 2023년 23억 달러(우리 돈 약 3조 2천100억 원)에서 올해 138억 달러(약 19조3천억원)로 500%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분야 시장 점유율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챗GPT 개발업체 오픈AI가 작년 50%에서 올해 34%로 하락한 반면 아마존의 지원을 받는 앤스로픽은 12%에서 24%로 늘었습니다.
이 조사는 직원 50명 이상 기업의 IT 분야 책임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나온 것입니다.
멘로벤처스의 팀 툴리는 이런 점유율 변화는 앤스로픽의 챗봇 모델인 클로드 3.5가 발전했고 많은 기업에서 3개 이상의 대형 AI 모델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오픈AI와 앤스로픽이 기업 AI 시장을 지배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여러 모델을 바꾸어가며 사용하는 습관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메타의 시장 점유율은 16%에 머물렀고 코히어 점유율도 3%를 유지했습니다. 구글이 7%에서 12%로 상승했고, 미스트랄은 6%에서 5%로 하락했습니다.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제미나이, 앤스로픽의 클로드 등과 같은 기초 모델이 여전히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대규모언어모델(LLM)이 65억달러의 기업 투자를 받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C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벤처캐피털 기업 멘로벤처스는 현지 시각 2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기업들의 생성형 AI에 대한 지출이 2023년 23억 달러(우리 돈 약 3조 2천100억 원)에서 올해 138억 달러(약 19조3천억원)로 500%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분야 시장 점유율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챗GPT 개발업체 오픈AI가 작년 50%에서 올해 34%로 하락한 반면 아마존의 지원을 받는 앤스로픽은 12%에서 24%로 늘었습니다.
이 조사는 직원 50명 이상 기업의 IT 분야 책임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나온 것입니다.
멘로벤처스의 팀 툴리는 이런 점유율 변화는 앤스로픽의 챗봇 모델인 클로드 3.5가 발전했고 많은 기업에서 3개 이상의 대형 AI 모델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오픈AI와 앤스로픽이 기업 AI 시장을 지배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여러 모델을 바꾸어가며 사용하는 습관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메타의 시장 점유율은 16%에 머물렀고 코히어 점유율도 3%를 유지했습니다. 구글이 7%에서 12%로 상승했고, 미스트랄은 6%에서 5%로 하락했습니다.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제미나이, 앤스로픽의 클로드 등과 같은 기초 모델이 여전히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대규모언어모델(LLM)이 65억달러의 기업 투자를 받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기업 생성형 AI 지출 19조 원…지난해 6배
-
- 입력 2024-11-21 11:28:31
- 수정2024-11-21 11:30:01

올해 미국 기업들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분야 지출이 지난해의 6배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C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벤처캐피털 기업 멘로벤처스는 현지 시각 2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기업들의 생성형 AI에 대한 지출이 2023년 23억 달러(우리 돈 약 3조 2천100억 원)에서 올해 138억 달러(약 19조3천억원)로 500%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분야 시장 점유율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챗GPT 개발업체 오픈AI가 작년 50%에서 올해 34%로 하락한 반면 아마존의 지원을 받는 앤스로픽은 12%에서 24%로 늘었습니다.
이 조사는 직원 50명 이상 기업의 IT 분야 책임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나온 것입니다.
멘로벤처스의 팀 툴리는 이런 점유율 변화는 앤스로픽의 챗봇 모델인 클로드 3.5가 발전했고 많은 기업에서 3개 이상의 대형 AI 모델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오픈AI와 앤스로픽이 기업 AI 시장을 지배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여러 모델을 바꾸어가며 사용하는 습관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메타의 시장 점유율은 16%에 머물렀고 코히어 점유율도 3%를 유지했습니다. 구글이 7%에서 12%로 상승했고, 미스트랄은 6%에서 5%로 하락했습니다.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제미나이, 앤스로픽의 클로드 등과 같은 기초 모델이 여전히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대규모언어모델(LLM)이 65억달러의 기업 투자를 받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C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벤처캐피털 기업 멘로벤처스는 현지 시각 20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기업들의 생성형 AI에 대한 지출이 2023년 23억 달러(우리 돈 약 3조 2천100억 원)에서 올해 138억 달러(약 19조3천억원)로 500%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분야 시장 점유율에도 변화가 있었습니다.
챗GPT 개발업체 오픈AI가 작년 50%에서 올해 34%로 하락한 반면 아마존의 지원을 받는 앤스로픽은 12%에서 24%로 늘었습니다.
이 조사는 직원 50명 이상 기업의 IT 분야 책임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나온 것입니다.
멘로벤처스의 팀 툴리는 이런 점유율 변화는 앤스로픽의 챗봇 모델인 클로드 3.5가 발전했고 많은 기업에서 3개 이상의 대형 AI 모델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오픈AI와 앤스로픽이 기업 AI 시장을 지배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여러 모델을 바꾸어가며 사용하는 습관이 있다"고 말했습니다.
메타의 시장 점유율은 16%에 머물렀고 코히어 점유율도 3%를 유지했습니다. 구글이 7%에서 12%로 상승했고, 미스트랄은 6%에서 5%로 하락했습니다.
오픈AI의 챗GPT와 구글의 제미나이, 앤스로픽의 클로드 등과 같은 기초 모델이 여전히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대규모언어모델(LLM)이 65억달러의 기업 투자를 받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
우수경 기자 swoo@kbs.co.kr
우수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