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 주요 방산업체들이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무기 수요 급증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화그룹·한국항공우주산업·LIG넥스원·현대로템 등 4개 업체 매출이 전년 대비 39% 증가한 110억 달러, 우리 돈 약 15조 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순위로 보면 한화가 전년보다 42단계 뛴 24위에 이름을 올린 것을 비롯해 KAI 56위, LIG넥스원 76위, 현대로템 87위 등으로 4개 기업 모두 세계 100대 방산기업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전년에는 현대로템을 제외한 3곳이었습니다.
특히 SIPRI 집계 기준 러시아의 40% 증가에 이어 매출 증가율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또 4곳 업체 합산 매출은 100대 기업에 포함된 일본 업체 5곳의 합산 매출인 100억 달러도 추월했습니다.
보고서는 “한국과 일본의 무기 매출이 급증한 것은 역내 위협 확대에 따른 군비증강의 큰 그림을 반영한다”며 “한국 기업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유럽 내 수요를 비롯해 글로벌 무기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화그룹·한국항공우주산업·LIG넥스원·현대로템 등 4개 업체 매출이 전년 대비 39% 증가한 110억 달러, 우리 돈 약 15조 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순위로 보면 한화가 전년보다 42단계 뛴 24위에 이름을 올린 것을 비롯해 KAI 56위, LIG넥스원 76위, 현대로템 87위 등으로 4개 기업 모두 세계 100대 방산기업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전년에는 현대로템을 제외한 3곳이었습니다.
특히 SIPRI 집계 기준 러시아의 40% 증가에 이어 매출 증가율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또 4곳 업체 합산 매출은 100대 기업에 포함된 일본 업체 5곳의 합산 매출인 100억 달러도 추월했습니다.
보고서는 “한국과 일본의 무기 매출이 급증한 것은 역내 위협 확대에 따른 군비증강의 큰 그림을 반영한다”며 “한국 기업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유럽 내 수요를 비롯해 글로벌 무기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국 방산업체 4곳, ‘매출 톱100’ 포함…성장률 세계 2위
-
- 입력 2024-12-02 20:26:56
지난해 한국 주요 방산업체들이 우크라이나 전쟁 등에 따른 무기 수요 급증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화그룹·한국항공우주산업·LIG넥스원·현대로템 등 4개 업체 매출이 전년 대비 39% 증가한 110억 달러, 우리 돈 약 15조 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순위로 보면 한화가 전년보다 42단계 뛴 24위에 이름을 올린 것을 비롯해 KAI 56위, LIG넥스원 76위, 현대로템 87위 등으로 4개 기업 모두 세계 100대 방산기업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전년에는 현대로템을 제외한 3곳이었습니다.
특히 SIPRI 집계 기준 러시아의 40% 증가에 이어 매출 증가율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또 4곳 업체 합산 매출은 100대 기업에 포함된 일본 업체 5곳의 합산 매출인 100억 달러도 추월했습니다.
보고서는 “한국과 일본의 무기 매출이 급증한 것은 역내 위협 확대에 따른 군비증강의 큰 그림을 반영한다”며 “한국 기업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유럽 내 수요를 비롯해 글로벌 무기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스웨덴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화그룹·한국항공우주산업·LIG넥스원·현대로템 등 4개 업체 매출이 전년 대비 39% 증가한 110억 달러, 우리 돈 약 15조 4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순위로 보면 한화가 전년보다 42단계 뛴 24위에 이름을 올린 것을 비롯해 KAI 56위, LIG넥스원 76위, 현대로템 87위 등으로 4개 기업 모두 세계 100대 방산기업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전년에는 현대로템을 제외한 3곳이었습니다.
특히 SIPRI 집계 기준 러시아의 40% 증가에 이어 매출 증가율이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또 4곳 업체 합산 매출은 100대 기업에 포함된 일본 업체 5곳의 합산 매출인 100억 달러도 추월했습니다.
보고서는 “한국과 일본의 무기 매출이 급증한 것은 역내 위협 확대에 따른 군비증강의 큰 그림을 반영한다”며 “한국 기업들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유럽 내 수요를 비롯해 글로벌 무기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이려 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
-
위재천 기자 wee@kbs.co.kr
위재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