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 만점자 11명…“쉬웠던 국영수, 탐구가 변수”
입력 2024.12.05 (21:53)
수정 2024.12.05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2025학년도 수능시험에서 11명의 만점자가 나왔습니다.
국어와 수학 등 전반적으로 지난해보다 쉬운 수능이었단 결과가 나왔는데요.
최상위권 변별력이 확보될 수 있을지 우려도 나옵니다.
이유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평가원이 밝힌 올해 수능 전 과목 만점자는 모두 11명입니다.
2022년 문·이과 통합수능 도입 이후 가장 많은 인원입니다.
재수생 등 이른바 'N수생'이 20년 만에 가장 많이 응시했는데, 만점자 중에서도 7명이 'N수생'이었습니다.
비교적 쉬운 수능이었다는 건 채점 결과로도 확인됩니다.
쉬울수록 낮아지는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은 국어와 수학 모두 지난해 대비 각각 11점과 8점 떨어졌습니다.
만점자 수도 국어는 16배, 수학은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절대평가인 영어도 1등급 비율이 6.2%로 지난해 4%대보다 늘었습니다.
당장 변별력이 없을 거란 우려가 나왔는데, 평가원은 난도 관리가 잘 됐다며 반박했습니다.
[오승걸/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국어, 수학 만점자가) 0.2%, 0.3% 수준이기 때문에 충분히 변별되고, 종합적으로 의대생이 늘어났다 하더라도 충분히 변별력을 확보했다…."]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까다로웠던 탐구 영역이 정시 당락을 가를 주요 변수가 될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정제원/숭의여고 교사/EBS 입시 대표강사 : "국·영·수에서 변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탐구 선택 과목 점수에 의해서 당락이 좌우될 수 있을 만큼 변별력이 여기서 확보가…."]
의대 증원과 무전공 입학 확대 변수 속에, 수능 변별력마저 약화되면서 수험생들의 정시 경쟁은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성일
2025학년도 수능시험에서 11명의 만점자가 나왔습니다.
국어와 수학 등 전반적으로 지난해보다 쉬운 수능이었단 결과가 나왔는데요.
최상위권 변별력이 확보될 수 있을지 우려도 나옵니다.
이유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평가원이 밝힌 올해 수능 전 과목 만점자는 모두 11명입니다.
2022년 문·이과 통합수능 도입 이후 가장 많은 인원입니다.
재수생 등 이른바 'N수생'이 20년 만에 가장 많이 응시했는데, 만점자 중에서도 7명이 'N수생'이었습니다.
비교적 쉬운 수능이었다는 건 채점 결과로도 확인됩니다.
쉬울수록 낮아지는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은 국어와 수학 모두 지난해 대비 각각 11점과 8점 떨어졌습니다.
만점자 수도 국어는 16배, 수학은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절대평가인 영어도 1등급 비율이 6.2%로 지난해 4%대보다 늘었습니다.
당장 변별력이 없을 거란 우려가 나왔는데, 평가원은 난도 관리가 잘 됐다며 반박했습니다.
[오승걸/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국어, 수학 만점자가) 0.2%, 0.3% 수준이기 때문에 충분히 변별되고, 종합적으로 의대생이 늘어났다 하더라도 충분히 변별력을 확보했다…."]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까다로웠던 탐구 영역이 정시 당락을 가를 주요 변수가 될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정제원/숭의여고 교사/EBS 입시 대표강사 : "국·영·수에서 변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탐구 선택 과목 점수에 의해서 당락이 좌우될 수 있을 만큼 변별력이 여기서 확보가…."]
의대 증원과 무전공 입학 확대 변수 속에, 수능 변별력마저 약화되면서 수험생들의 정시 경쟁은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성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올해 수능 만점자 11명…“쉬웠던 국영수, 탐구가 변수”
-
- 입력 2024-12-05 21:53:48
- 수정2024-12-05 22:02:28
![](/data/news/2024/12/05/20241205_EmBUCJ.jpg)
[앵커]
2025학년도 수능시험에서 11명의 만점자가 나왔습니다.
국어와 수학 등 전반적으로 지난해보다 쉬운 수능이었단 결과가 나왔는데요.
최상위권 변별력이 확보될 수 있을지 우려도 나옵니다.
이유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평가원이 밝힌 올해 수능 전 과목 만점자는 모두 11명입니다.
2022년 문·이과 통합수능 도입 이후 가장 많은 인원입니다.
재수생 등 이른바 'N수생'이 20년 만에 가장 많이 응시했는데, 만점자 중에서도 7명이 'N수생'이었습니다.
비교적 쉬운 수능이었다는 건 채점 결과로도 확인됩니다.
쉬울수록 낮아지는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은 국어와 수학 모두 지난해 대비 각각 11점과 8점 떨어졌습니다.
만점자 수도 국어는 16배, 수학은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절대평가인 영어도 1등급 비율이 6.2%로 지난해 4%대보다 늘었습니다.
당장 변별력이 없을 거란 우려가 나왔는데, 평가원은 난도 관리가 잘 됐다며 반박했습니다.
[오승걸/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국어, 수학 만점자가) 0.2%, 0.3% 수준이기 때문에 충분히 변별되고, 종합적으로 의대생이 늘어났다 하더라도 충분히 변별력을 확보했다…."]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까다로웠던 탐구 영역이 정시 당락을 가를 주요 변수가 될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정제원/숭의여고 교사/EBS 입시 대표강사 : "국·영·수에서 변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탐구 선택 과목 점수에 의해서 당락이 좌우될 수 있을 만큼 변별력이 여기서 확보가…."]
의대 증원과 무전공 입학 확대 변수 속에, 수능 변별력마저 약화되면서 수험생들의 정시 경쟁은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성일
2025학년도 수능시험에서 11명의 만점자가 나왔습니다.
국어와 수학 등 전반적으로 지난해보다 쉬운 수능이었단 결과가 나왔는데요.
최상위권 변별력이 확보될 수 있을지 우려도 나옵니다.
이유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평가원이 밝힌 올해 수능 전 과목 만점자는 모두 11명입니다.
2022년 문·이과 통합수능 도입 이후 가장 많은 인원입니다.
재수생 등 이른바 'N수생'이 20년 만에 가장 많이 응시했는데, 만점자 중에서도 7명이 'N수생'이었습니다.
비교적 쉬운 수능이었다는 건 채점 결과로도 확인됩니다.
쉬울수록 낮아지는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은 국어와 수학 모두 지난해 대비 각각 11점과 8점 떨어졌습니다.
만점자 수도 국어는 16배, 수학은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절대평가인 영어도 1등급 비율이 6.2%로 지난해 4%대보다 늘었습니다.
당장 변별력이 없을 거란 우려가 나왔는데, 평가원은 난도 관리가 잘 됐다며 반박했습니다.
[오승걸/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 : "(국어, 수학 만점자가) 0.2%, 0.3% 수준이기 때문에 충분히 변별되고, 종합적으로 의대생이 늘어났다 하더라도 충분히 변별력을 확보했다…."]
전문가들은 상대적으로 까다로웠던 탐구 영역이 정시 당락을 가를 주요 변수가 될 거라고 분석했습니다.
[정제원/숭의여고 교사/EBS 입시 대표강사 : "국·영·수에서 변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탐구 선택 과목 점수에 의해서 당락이 좌우될 수 있을 만큼 변별력이 여기서 확보가…."]
의대 증원과 무전공 입학 확대 변수 속에, 수능 변별력마저 약화되면서 수험생들의 정시 경쟁은 치열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이유민입니다.
촬영기자:김현태/영상편집:이현모/그래픽:김성일
-
-
이유민 기자 reason@kbs.co.kr
이유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