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민원서비스 개선 우수사례 9건 발표
입력 2024.12.16 (07:17)
수정 2024.12.16 (07: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실시한 '조기폐차 지원기준 변경 및 절차 간소화'(대기정책과)가 올해 시의 최우수 민원 개선 사례로 꼽혔습니다.
서울시는 오늘(1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민원 서비스 개선 우수 사례 9건을 발표했습니다.
최우수 사례인 조기폐차 지원기준 변경 및 절차 간소화는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금을 취약계층에 먼저 지급하는 게 핵심입니다.
그동안 노후차 조기폐차 지원금은 신청 방법이 복잡하고 선착순으로 지급돼 대부분 중고차 매매업체가 그 혜택을 받았습니다.
시는 차를 이용해 생계를 꾸려나가는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에게 지원금을 우선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절차도 간소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법인에 지원되는 규모는 2023년 2천808대에서 올해 268대로 줄었고, 취약계층은 2023년 3천325대에서 올해 3천693대로 늘었습니다.
이와 함께 공영주차장 다자녀 가족 주차요금 자동 감면(서울시설공단), 공유 모빌리티 불법 주·정차 신고시스템 구축(강남구), 70년간의 집단 공동 소유로 운영되던 토지를 정리한 정책(중구) 등이 우수 사례로 꼽혔습니다.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서면·대면 심사를 거쳐 우수 사례를 선정했습니다. 순위는 시민들이 참여한 온라인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종합해 확정했습니다. 우수사례 선정 부서(기관)에는 상금과 상장이 수여됩니다.
민원 서비스 우수기관 15개소도 선정됐습니다. 최우수 민원응대기관은 강동소방서로, 민원 행정 서비스와 전화 민원 응대 친절도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시는 오늘(1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민원 서비스 개선 우수 사례 9건을 발표했습니다.
최우수 사례인 조기폐차 지원기준 변경 및 절차 간소화는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금을 취약계층에 먼저 지급하는 게 핵심입니다.
그동안 노후차 조기폐차 지원금은 신청 방법이 복잡하고 선착순으로 지급돼 대부분 중고차 매매업체가 그 혜택을 받았습니다.
시는 차를 이용해 생계를 꾸려나가는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에게 지원금을 우선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절차도 간소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법인에 지원되는 규모는 2023년 2천808대에서 올해 268대로 줄었고, 취약계층은 2023년 3천325대에서 올해 3천693대로 늘었습니다.
이와 함께 공영주차장 다자녀 가족 주차요금 자동 감면(서울시설공단), 공유 모빌리티 불법 주·정차 신고시스템 구축(강남구), 70년간의 집단 공동 소유로 운영되던 토지를 정리한 정책(중구) 등이 우수 사례로 꼽혔습니다.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서면·대면 심사를 거쳐 우수 사례를 선정했습니다. 순위는 시민들이 참여한 온라인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종합해 확정했습니다. 우수사례 선정 부서(기관)에는 상금과 상장이 수여됩니다.
민원 서비스 우수기관 15개소도 선정됐습니다. 최우수 민원응대기관은 강동소방서로, 민원 행정 서비스와 전화 민원 응대 친절도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울시, 민원서비스 개선 우수사례 9건 발표
-
- 입력 2024-12-16 07:17:29
- 수정2024-12-16 07:41:25

서울시가 전국 최초로 실시한 '조기폐차 지원기준 변경 및 절차 간소화'(대기정책과)가 올해 시의 최우수 민원 개선 사례로 꼽혔습니다.
서울시는 오늘(1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민원 서비스 개선 우수 사례 9건을 발표했습니다.
최우수 사례인 조기폐차 지원기준 변경 및 절차 간소화는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금을 취약계층에 먼저 지급하는 게 핵심입니다.
그동안 노후차 조기폐차 지원금은 신청 방법이 복잡하고 선착순으로 지급돼 대부분 중고차 매매업체가 그 혜택을 받았습니다.
시는 차를 이용해 생계를 꾸려나가는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에게 지원금을 우선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절차도 간소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법인에 지원되는 규모는 2023년 2천808대에서 올해 268대로 줄었고, 취약계층은 2023년 3천325대에서 올해 3천693대로 늘었습니다.
이와 함께 공영주차장 다자녀 가족 주차요금 자동 감면(서울시설공단), 공유 모빌리티 불법 주·정차 신고시스템 구축(강남구), 70년간의 집단 공동 소유로 운영되던 토지를 정리한 정책(중구) 등이 우수 사례로 꼽혔습니다.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서면·대면 심사를 거쳐 우수 사례를 선정했습니다. 순위는 시민들이 참여한 온라인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종합해 확정했습니다. 우수사례 선정 부서(기관)에는 상금과 상장이 수여됩니다.
민원 서비스 우수기관 15개소도 선정됐습니다. 최우수 민원응대기관은 강동소방서로, 민원 행정 서비스와 전화 민원 응대 친절도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서울시는 오늘(1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4년 민원 서비스 개선 우수 사례 9건을 발표했습니다.
최우수 사례인 조기폐차 지원기준 변경 및 절차 간소화는 노후 경유차 조기폐차 지원금을 취약계층에 먼저 지급하는 게 핵심입니다.
그동안 노후차 조기폐차 지원금은 신청 방법이 복잡하고 선착순으로 지급돼 대부분 중고차 매매업체가 그 혜택을 받았습니다.
시는 차를 이용해 생계를 꾸려나가는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에게 지원금을 우선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절차도 간소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법인에 지원되는 규모는 2023년 2천808대에서 올해 268대로 줄었고, 취약계층은 2023년 3천325대에서 올해 3천693대로 늘었습니다.
이와 함께 공영주차장 다자녀 가족 주차요금 자동 감면(서울시설공단), 공유 모빌리티 불법 주·정차 신고시스템 구축(강남구), 70년간의 집단 공동 소유로 운영되던 토지를 정리한 정책(중구) 등이 우수 사례로 꼽혔습니다.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회가 서면·대면 심사를 거쳐 우수 사례를 선정했습니다. 순위는 시민들이 참여한 온라인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종합해 확정했습니다. 우수사례 선정 부서(기관)에는 상금과 상장이 수여됩니다.
민원 서비스 우수기관 15개소도 선정됐습니다. 최우수 민원응대기관은 강동소방서로, 민원 행정 서비스와 전화 민원 응대 친절도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민경 기자 mkdream@kbs.co.kr
김민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