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역성장에 집값 떨어지면 대출 연체 가구 2.5%→5.1%”
입력 2024.12.24 (11:40)
수정 2024.12.24 (11: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경제가 역성장 등의 심각한 충격을 받을 경우 자영업과 일용직, 고령 가구를 중심으로 대출 연체 비중이 약 두 배로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4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를 보면, 최근 몇 년 사이 가계부채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분할 상환 방식 대출 비중이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2021년 말 56%에서 올해 3분기 말 61.9%로, 고정금리는 29.4%에서 45.3%로, 분할 상환은 31.8%에서 39.3%로 각각 비중이 늘었습니다.
약정 만기 30년 초과 주택담보대출은 25.1%에서 41.0%로, 60대 이상 고령층 대출은 18.5%에서 20.0%로 비중이 커졌습니다.
하위 20% 저소득자의 담보인정비율(LTV)이 360.3%로 전체 평균 235.1%를 크게 웃도는 점도 특징으로 꼽혔습니다.
한은은 이런 가계부채 구조 변화 영향을 건전성 측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거시경제 충격으로 가계소득이 줄고 자산 가격이 떨어지는 시나리오를 가정해 대출 상환 위험을 추정했습니다.
‘경제성장률 1.8%·실업률 2.7%·주택 가격 전년동기대비 0.9% 상승’을 기본 조건으로 상정하고, 상황이 악화하거나 심각해지는 경우에는 성장률이 각 1.1%, -0.5%로 떨어지고 실업률은 3.0%, 3.6%로 뛰며 주택 가격은 1.7%, 5.4% 뒷걸음치는 것으로 설정했습니다.
분석 결과, 경제 상황이 악화하거나 심각해질 경우 대출 가구 중 연체 가구의 비중은 2026년을 기준으로 각 4.1%, 5.1%까지 뛰었습니다.
지난해 연체 가구 비율 2.5%보다 각 1.6%p, 2.6%p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자영업·일용직·고령 가구일수록 연체 비중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그만큼 경제 충격을 감내할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아울러 변동금리·비은행·기타 대출(신용대출 등) 보유 가구가 고정금리·은행·주택담보대출 보유 가구보다 거시 경제적 충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특히 저소득층의 부채 의존도가 커지면 소비가 제약될 우려가 있다”며 “고령층 위주로 부채 축소가 지연돼 은퇴 등으로 소득이 감소하면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고 위험 요소를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경제 타격에 연체 가구가 늘더라도 은행·비은행의 자본 비율은 여전히 규제 수준을 웃돌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은은 “연체 가구 증가가 금융 시스템의 위험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오늘(24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를 보면, 최근 몇 년 사이 가계부채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분할 상환 방식 대출 비중이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2021년 말 56%에서 올해 3분기 말 61.9%로, 고정금리는 29.4%에서 45.3%로, 분할 상환은 31.8%에서 39.3%로 각각 비중이 늘었습니다.
약정 만기 30년 초과 주택담보대출은 25.1%에서 41.0%로, 60대 이상 고령층 대출은 18.5%에서 20.0%로 비중이 커졌습니다.
하위 20% 저소득자의 담보인정비율(LTV)이 360.3%로 전체 평균 235.1%를 크게 웃도는 점도 특징으로 꼽혔습니다.
한은은 이런 가계부채 구조 변화 영향을 건전성 측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거시경제 충격으로 가계소득이 줄고 자산 가격이 떨어지는 시나리오를 가정해 대출 상환 위험을 추정했습니다.
‘경제성장률 1.8%·실업률 2.7%·주택 가격 전년동기대비 0.9% 상승’을 기본 조건으로 상정하고, 상황이 악화하거나 심각해지는 경우에는 성장률이 각 1.1%, -0.5%로 떨어지고 실업률은 3.0%, 3.6%로 뛰며 주택 가격은 1.7%, 5.4% 뒷걸음치는 것으로 설정했습니다.
분석 결과, 경제 상황이 악화하거나 심각해질 경우 대출 가구 중 연체 가구의 비중은 2026년을 기준으로 각 4.1%, 5.1%까지 뛰었습니다.
지난해 연체 가구 비율 2.5%보다 각 1.6%p, 2.6%p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자영업·일용직·고령 가구일수록 연체 비중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그만큼 경제 충격을 감내할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아울러 변동금리·비은행·기타 대출(신용대출 등) 보유 가구가 고정금리·은행·주택담보대출 보유 가구보다 거시 경제적 충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특히 저소득층의 부채 의존도가 커지면 소비가 제약될 우려가 있다”며 “고령층 위주로 부채 축소가 지연돼 은퇴 등으로 소득이 감소하면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고 위험 요소를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경제 타격에 연체 가구가 늘더라도 은행·비은행의 자본 비율은 여전히 규제 수준을 웃돌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은은 “연체 가구 증가가 금융 시스템의 위험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은 “역성장에 집값 떨어지면 대출 연체 가구 2.5%→5.1%”
-
- 입력 2024-12-24 11:40:33
- 수정2024-12-24 11:44:28
한국 경제가 역성장 등의 심각한 충격을 받을 경우 자영업과 일용직, 고령 가구를 중심으로 대출 연체 비중이 약 두 배로 늘어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4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를 보면, 최근 몇 년 사이 가계부채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분할 상환 방식 대출 비중이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2021년 말 56%에서 올해 3분기 말 61.9%로, 고정금리는 29.4%에서 45.3%로, 분할 상환은 31.8%에서 39.3%로 각각 비중이 늘었습니다.
약정 만기 30년 초과 주택담보대출은 25.1%에서 41.0%로, 60대 이상 고령층 대출은 18.5%에서 20.0%로 비중이 커졌습니다.
하위 20% 저소득자의 담보인정비율(LTV)이 360.3%로 전체 평균 235.1%를 크게 웃도는 점도 특징으로 꼽혔습니다.
한은은 이런 가계부채 구조 변화 영향을 건전성 측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거시경제 충격으로 가계소득이 줄고 자산 가격이 떨어지는 시나리오를 가정해 대출 상환 위험을 추정했습니다.
‘경제성장률 1.8%·실업률 2.7%·주택 가격 전년동기대비 0.9% 상승’을 기본 조건으로 상정하고, 상황이 악화하거나 심각해지는 경우에는 성장률이 각 1.1%, -0.5%로 떨어지고 실업률은 3.0%, 3.6%로 뛰며 주택 가격은 1.7%, 5.4% 뒷걸음치는 것으로 설정했습니다.
분석 결과, 경제 상황이 악화하거나 심각해질 경우 대출 가구 중 연체 가구의 비중은 2026년을 기준으로 각 4.1%, 5.1%까지 뛰었습니다.
지난해 연체 가구 비율 2.5%보다 각 1.6%p, 2.6%p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자영업·일용직·고령 가구일수록 연체 비중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그만큼 경제 충격을 감내할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아울러 변동금리·비은행·기타 대출(신용대출 등) 보유 가구가 고정금리·은행·주택담보대출 보유 가구보다 거시 경제적 충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특히 저소득층의 부채 의존도가 커지면 소비가 제약될 우려가 있다”며 “고령층 위주로 부채 축소가 지연돼 은퇴 등으로 소득이 감소하면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고 위험 요소를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경제 타격에 연체 가구가 늘더라도 은행·비은행의 자본 비율은 여전히 규제 수준을 웃돌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은은 “연체 가구 증가가 금융 시스템의 위험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오늘(24일) 발표한 금융안정 보고서를 보면, 최근 몇 년 사이 가계부채 가운데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 분할 상환 방식 대출 비중이 늘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2021년 말 56%에서 올해 3분기 말 61.9%로, 고정금리는 29.4%에서 45.3%로, 분할 상환은 31.8%에서 39.3%로 각각 비중이 늘었습니다.
약정 만기 30년 초과 주택담보대출은 25.1%에서 41.0%로, 60대 이상 고령층 대출은 18.5%에서 20.0%로 비중이 커졌습니다.
하위 20% 저소득자의 담보인정비율(LTV)이 360.3%로 전체 평균 235.1%를 크게 웃도는 점도 특징으로 꼽혔습니다.
한은은 이런 가계부채 구조 변화 영향을 건전성 측면에서 평가하기 위해, 거시경제 충격으로 가계소득이 줄고 자산 가격이 떨어지는 시나리오를 가정해 대출 상환 위험을 추정했습니다.
‘경제성장률 1.8%·실업률 2.7%·주택 가격 전년동기대비 0.9% 상승’을 기본 조건으로 상정하고, 상황이 악화하거나 심각해지는 경우에는 성장률이 각 1.1%, -0.5%로 떨어지고 실업률은 3.0%, 3.6%로 뛰며 주택 가격은 1.7%, 5.4% 뒷걸음치는 것으로 설정했습니다.
분석 결과, 경제 상황이 악화하거나 심각해질 경우 대출 가구 중 연체 가구의 비중은 2026년을 기준으로 각 4.1%, 5.1%까지 뛰었습니다.
지난해 연체 가구 비율 2.5%보다 각 1.6%p, 2.6%p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자영업·일용직·고령 가구일수록 연체 비중이 더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그만큼 경제 충격을 감내할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아울러 변동금리·비은행·기타 대출(신용대출 등) 보유 가구가 고정금리·은행·주택담보대출 보유 가구보다 거시 경제적 충격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특히 저소득층의 부채 의존도가 커지면 소비가 제약될 우려가 있다”며 “고령층 위주로 부채 축소가 지연돼 은퇴 등으로 소득이 감소하면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있다”고 위험 요소를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경제 타격에 연체 가구가 늘더라도 은행·비은행의 자본 비율은 여전히 규제 수준을 웃돌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한은은 “연체 가구 증가가 금융 시스템의 위험으로 전이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최유경 기자 60@kbs.co.kr
최유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