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유행…일주일 새 2.3배 증가
입력 2024.12.26 (18:51)
수정 2024.12.26 (18: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감 유행이 시작된 가운데 일주일 새 독감 환자가 2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질병관리청이 전국 300개 병원을 대상으로 표본 감시한 결과, 지난주(12월 15일~21일) 독감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천 명당 31.3명으로 전주(13.6명) 대비 2.3배 늘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13~18세 청소년이 외래환자 천 명당 74.6명으로 가장 많았고, 7~12세 어린이(62.4명), 19~49세 청장년(37.6명)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질병청은 최근 유행 중인 독감 바이러스가 변이가 없는 A형 독감이 대부분이라며 백신접종으로 예방효과가 충분하다고 밝혔습니다.
질병청은 독감 유행이 더 커질 가능성에 대비해 아직 백신을 맞지 않은 고위험군(소아, 임신부, 출산 2주 이내 산모,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등)은 예방접종을 서둘러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기간에는 소아나 65세 이상 어르신 등 고위험군이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을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질병관리청이 전국 300개 병원을 대상으로 표본 감시한 결과, 지난주(12월 15일~21일) 독감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천 명당 31.3명으로 전주(13.6명) 대비 2.3배 늘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13~18세 청소년이 외래환자 천 명당 74.6명으로 가장 많았고, 7~12세 어린이(62.4명), 19~49세 청장년(37.6명)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질병청은 최근 유행 중인 독감 바이러스가 변이가 없는 A형 독감이 대부분이라며 백신접종으로 예방효과가 충분하다고 밝혔습니다.
질병청은 독감 유행이 더 커질 가능성에 대비해 아직 백신을 맞지 않은 고위험군(소아, 임신부, 출산 2주 이내 산모,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등)은 예방접종을 서둘러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기간에는 소아나 65세 이상 어르신 등 고위험군이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을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독감 유행…일주일 새 2.3배 증가
-
- 입력 2024-12-26 18:51:33
- 수정2024-12-26 18:52:33
독감 유행이 시작된 가운데 일주일 새 독감 환자가 2배 넘게 증가했습니다.
질병관리청이 전국 300개 병원을 대상으로 표본 감시한 결과, 지난주(12월 15일~21일) 독감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천 명당 31.3명으로 전주(13.6명) 대비 2.3배 늘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13~18세 청소년이 외래환자 천 명당 74.6명으로 가장 많았고, 7~12세 어린이(62.4명), 19~49세 청장년(37.6명)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질병청은 최근 유행 중인 독감 바이러스가 변이가 없는 A형 독감이 대부분이라며 백신접종으로 예방효과가 충분하다고 밝혔습니다.
질병청은 독감 유행이 더 커질 가능성에 대비해 아직 백신을 맞지 않은 고위험군(소아, 임신부, 출산 2주 이내 산모,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등)은 예방접종을 서둘러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기간에는 소아나 65세 이상 어르신 등 고위험군이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을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질병관리청이 전국 300개 병원을 대상으로 표본 감시한 결과, 지난주(12월 15일~21일) 독감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천 명당 31.3명으로 전주(13.6명) 대비 2.3배 늘었습니다.
연령별로 보면 13~18세 청소년이 외래환자 천 명당 74.6명으로 가장 많았고, 7~12세 어린이(62.4명), 19~49세 청장년(37.6명) 순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질병청은 최근 유행 중인 독감 바이러스가 변이가 없는 A형 독감이 대부분이라며 백신접종으로 예방효과가 충분하다고 밝혔습니다.
질병청은 독감 유행이 더 커질 가능성에 대비해 아직 백신을 맞지 않은 고위험군(소아, 임신부, 출산 2주 이내 산모, 65세 이상, 면역저하자, 기저질환자 등)은 예방접종을 서둘러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독감 유행주의보 발령 기간에는 소아나 65세 이상 어르신 등 고위험군이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받을 경우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
-
박광식 기자 doctor@kbs.co.kr
박광식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