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자가보유율 60.7%…연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 전국 6.3배

입력 2024.12.27 (06:03) 수정 2024.12.27 (09:5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표본 가구를 대상으로 2023년 주거실태를 조사한 결과, 자가보유율은 60.7%로 2022년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부는 전국 표본 6만 1천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오늘(27일) 발표했습니다. 주거실태조사는 주거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고, 주택정책 수립 등에 참고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3년 자가보유 가구 비율 60.7%…2022년보다 0.6%p 감소

지난해 전국에서 자가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비율은 60.7%로 2022년(61.3%)에 비해 0.6%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는 도지역(68.6%), 광역시 등(62.3%), 수도권(55.1%) 순서로 조사됐습니다.

자가에서 거주하고 있는 가구 비율을 말하는 자가점유율의 경우 지난해 전국 57.4%로 2022년(57.5%) 대비 0.1%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점유형태는 자가 57.4%, 임차 38.8%, 무상 3.7%로 조사됐습니다.

지역별 임차가구 비율을 보면 수도권이 45.2%로 가장 높았고, 광역시 등 37.8%, 도지역이 29.3%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비싼 집값의 영향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 전국 6.3배…수도권 8.5배

자가가구의 연소득(세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자가가구 PIR)은 전국 6.3배로 2022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는 2022년 대비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는데, 지난해 집값이 하락한 영향으로 보입니다.

수도권은 2022년 9.3배에서 지난해 8.5배로, 광역시 등은 2022년 6.8배에서 지난해 6.3배로, 도지역은 2022년 4.3배에서 지난해 3.8배로 PIR이 줄었습니다.

서울 PIR도 15.2배에서 13배로 하락했습니다.

2022년보다 낮아졌지만 여전히 서울에서는 13년동안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최초 주택을 마련하기까지 소요된 연수는 7.7년으로 2022년(7.4년) 대비 약 4개월 늘어났습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지속적 감소…그래도 3.6%

최저주거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가구 비율은 지난해 3.6%로 2022년(3.9%) 대비 0.3%p 감소했습니다.

최저주거 기준이란 가구 구성별 최소 주거면적 및 용도별 방의 개수, 필수적인 설비의 기준 등을 말합니다.

국토부는 평균 가구원수 감소와 주택의 주거면적 증가, 물리적인 시설 개선 등으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외에도 주거실태조사를 통해 주택보유 의식, 주거정책 평가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청년·신혼·고령 등에 따른 주거수준과 주거비 부담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조사는 국토교통부가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6만 1천 가구를 대상으로 1:1 개별 면접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연구보고서는 오늘부터 국토교통 통게누리에 공개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2023년 자가보유율 60.7%…연소득 대비 주택가격비율 전국 6.3배
    • 입력 2024-12-27 06:03:23
    • 수정2024-12-27 09:54:11
    경제
국토교통부가 표본 가구를 대상으로 2023년 주거실태를 조사한 결과, 자가보유율은 60.7%로 2022년보다 소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토부는 전국 표본 6만 1천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오늘(27일) 발표했습니다. 주거실태조사는 주거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고, 주택정책 수립 등에 참고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고 있습니다.

■2023년 자가보유 가구 비율 60.7%…2022년보다 0.6%p 감소

지난해 전국에서 자가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의 비율은 60.7%로 2022년(61.3%)에 비해 0.6%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는 도지역(68.6%), 광역시 등(62.3%), 수도권(55.1%) 순서로 조사됐습니다.

자가에서 거주하고 있는 가구 비율을 말하는 자가점유율의 경우 지난해 전국 57.4%로 2022년(57.5%) 대비 0.1%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점유형태는 자가 57.4%, 임차 38.8%, 무상 3.7%로 조사됐습니다.

지역별 임차가구 비율을 보면 수도권이 45.2%로 가장 높았고, 광역시 등 37.8%, 도지역이 29.3%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비싼 집값의 영향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 전국 6.3배…수도권 8.5배

자가가구의 연소득(세후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자가가구 PIR)은 전국 6.3배로 2022년과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지역별로는 2022년 대비 모든 지역에서 감소했는데, 지난해 집값이 하락한 영향으로 보입니다.

수도권은 2022년 9.3배에서 지난해 8.5배로, 광역시 등은 2022년 6.8배에서 지난해 6.3배로, 도지역은 2022년 4.3배에서 지난해 3.8배로 PIR이 줄었습니다.

서울 PIR도 15.2배에서 13배로 하락했습니다.

2022년보다 낮아졌지만 여전히 서울에서는 13년동안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야 집을 살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가구주가 된 이후 생애최초 주택을 마련하기까지 소요된 연수는 7.7년으로 2022년(7.4년) 대비 약 4개월 늘어났습니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지속적 감소…그래도 3.6%

최저주거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가구 비율은 지난해 3.6%로 2022년(3.9%) 대비 0.3%p 감소했습니다.

최저주거 기준이란 가구 구성별 최소 주거면적 및 용도별 방의 개수, 필수적인 설비의 기준 등을 말합니다.

국토부는 평균 가구원수 감소와 주택의 주거면적 증가, 물리적인 시설 개선 등으로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외에도 주거실태조사를 통해 주택보유 의식, 주거정책 평가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청년·신혼·고령 등에 따른 주거수준과 주거비 부담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조사는 국토교통부가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6만 1천 가구를 대상으로 1:1 개별 면접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연구보고서는 오늘부터 국토교통 통게누리에 공개합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