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여파 제주까지…총리 부재로 4·3 중앙위원회 차질
입력 2025.01.07 (19:03)
수정 2025.01.07 (19:4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무총리를 비롯해 여러 장관직이 권한대행 체제에 들어갔는데요.
이 같은 대행 체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총리가 위원장을 맡은 4·3중앙위원회 운영에도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4·3 희생자와 유족을 결정하고, 명예 회복과 보상 관련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구인 4·3중앙위원회.
4·3특별법에 따라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는데, 대면 회의는 2022년이 마지막이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2022년 : "위원회가 구성된 지 22년 만에 처음으로 제주에서 회의를 개최한다는 점에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이후 지난해 11월 서면회의를 끝으로 회의 개최 일정이 안갯속에 빠졌습니다.
위원장을 맡은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회에서 탄핵 소추되면서 직무가 정지됐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4·3중앙위 당연직 위원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까지 사퇴하거나 직무가 정지된 상태입니다.
위원장 등의 공백으로 4·3중앙위원회가 열리지 않으면 추가 희생자와 유족 결정도 늦춰지게 됩니다.
[양성주/제주4·3희생자유족회 부회장 : "(4·3) 희생자로 결정돼야 보상도 신청할 수 있는 거고요. 또 희생자로 결정돼야 직권 재심을 받을 수 있는 희생자분들이 계십니다. 이 절차가 늦어지게 되면 그런 부분에서 우려하고 있고요."]
제주도는 4·3중앙위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행정안전부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홍호진/제주도 4·3지원과장 : "상반기 내 (중앙위 개최가) 이뤄지지 않을 땐 문제가 있을 것 같지만. 그 안에 정상적으로 운영이 되면. 정상적으로 간다고 그러면 큰 문제는 없을 걸로 보입니다."]
행정안전부는 국무총리가 직무 정지된 상황에서의 4·3중앙위원회 소집에 대한 명문화된 법 조항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회의 소집 권한에 대한 업무 전결 규정을 살펴보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8차 4·3 희생자와 유족 신고자 만 9천여 명 가운데 중앙위까지 절차가 마무리된 경우는 절반 수준인 9천 8백여 명.
만 명 가까이는 2년 전 신고를 마친 뒤 기약 없는 기다림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그래픽:고준용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무총리를 비롯해 여러 장관직이 권한대행 체제에 들어갔는데요.
이 같은 대행 체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총리가 위원장을 맡은 4·3중앙위원회 운영에도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4·3 희생자와 유족을 결정하고, 명예 회복과 보상 관련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구인 4·3중앙위원회.
4·3특별법에 따라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는데, 대면 회의는 2022년이 마지막이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2022년 : "위원회가 구성된 지 22년 만에 처음으로 제주에서 회의를 개최한다는 점에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이후 지난해 11월 서면회의를 끝으로 회의 개최 일정이 안갯속에 빠졌습니다.
위원장을 맡은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회에서 탄핵 소추되면서 직무가 정지됐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4·3중앙위 당연직 위원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까지 사퇴하거나 직무가 정지된 상태입니다.
위원장 등의 공백으로 4·3중앙위원회가 열리지 않으면 추가 희생자와 유족 결정도 늦춰지게 됩니다.
[양성주/제주4·3희생자유족회 부회장 : "(4·3) 희생자로 결정돼야 보상도 신청할 수 있는 거고요. 또 희생자로 결정돼야 직권 재심을 받을 수 있는 희생자분들이 계십니다. 이 절차가 늦어지게 되면 그런 부분에서 우려하고 있고요."]
제주도는 4·3중앙위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행정안전부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홍호진/제주도 4·3지원과장 : "상반기 내 (중앙위 개최가) 이뤄지지 않을 땐 문제가 있을 것 같지만. 그 안에 정상적으로 운영이 되면. 정상적으로 간다고 그러면 큰 문제는 없을 걸로 보입니다."]
행정안전부는 국무총리가 직무 정지된 상황에서의 4·3중앙위원회 소집에 대한 명문화된 법 조항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회의 소집 권한에 대한 업무 전결 규정을 살펴보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8차 4·3 희생자와 유족 신고자 만 9천여 명 가운데 중앙위까지 절차가 마무리된 경우는 절반 수준인 9천 8백여 명.
만 명 가까이는 2년 전 신고를 마친 뒤 기약 없는 기다림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그래픽:고준용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탄핵 여파 제주까지…총리 부재로 4·3 중앙위원회 차질
-
- 입력 2025-01-07 19:03:34
- 수정2025-01-07 19:41:31

[앵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무총리를 비롯해 여러 장관직이 권한대행 체제에 들어갔는데요.
이 같은 대행 체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총리가 위원장을 맡은 4·3중앙위원회 운영에도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4·3 희생자와 유족을 결정하고, 명예 회복과 보상 관련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구인 4·3중앙위원회.
4·3특별법에 따라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는데, 대면 회의는 2022년이 마지막이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2022년 : "위원회가 구성된 지 22년 만에 처음으로 제주에서 회의를 개최한다는 점에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이후 지난해 11월 서면회의를 끝으로 회의 개최 일정이 안갯속에 빠졌습니다.
위원장을 맡은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회에서 탄핵 소추되면서 직무가 정지됐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4·3중앙위 당연직 위원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까지 사퇴하거나 직무가 정지된 상태입니다.
위원장 등의 공백으로 4·3중앙위원회가 열리지 않으면 추가 희생자와 유족 결정도 늦춰지게 됩니다.
[양성주/제주4·3희생자유족회 부회장 : "(4·3) 희생자로 결정돼야 보상도 신청할 수 있는 거고요. 또 희생자로 결정돼야 직권 재심을 받을 수 있는 희생자분들이 계십니다. 이 절차가 늦어지게 되면 그런 부분에서 우려하고 있고요."]
제주도는 4·3중앙위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행정안전부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홍호진/제주도 4·3지원과장 : "상반기 내 (중앙위 개최가) 이뤄지지 않을 땐 문제가 있을 것 같지만. 그 안에 정상적으로 운영이 되면. 정상적으로 간다고 그러면 큰 문제는 없을 걸로 보입니다."]
행정안전부는 국무총리가 직무 정지된 상황에서의 4·3중앙위원회 소집에 대한 명문화된 법 조항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회의 소집 권한에 대한 업무 전결 규정을 살펴보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8차 4·3 희생자와 유족 신고자 만 9천여 명 가운데 중앙위까지 절차가 마무리된 경우는 절반 수준인 9천 8백여 명.
만 명 가까이는 2년 전 신고를 마친 뒤 기약 없는 기다림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그래픽:고준용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무총리를 비롯해 여러 장관직이 권한대행 체제에 들어갔는데요.
이 같은 대행 체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총리가 위원장을 맡은 4·3중앙위원회 운영에도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임연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4·3 희생자와 유족을 결정하고, 명예 회복과 보상 관련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구인 4·3중앙위원회.
4·3특별법에 따라 국무총리가 위원장을 맡는데, 대면 회의는 2022년이 마지막이었습니다.
[한덕수/국무총리/2022년 : "위원회가 구성된 지 22년 만에 처음으로 제주에서 회의를 개최한다는 점에 매우 뜻깊게 생각합니다."]
이후 지난해 11월 서면회의를 끝으로 회의 개최 일정이 안갯속에 빠졌습니다.
위원장을 맡은 한덕수 국무총리가 국회에서 탄핵 소추되면서 직무가 정지됐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4·3중앙위 당연직 위원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박성재 법무부 장관까지 사퇴하거나 직무가 정지된 상태입니다.
위원장 등의 공백으로 4·3중앙위원회가 열리지 않으면 추가 희생자와 유족 결정도 늦춰지게 됩니다.
[양성주/제주4·3희생자유족회 부회장 : "(4·3) 희생자로 결정돼야 보상도 신청할 수 있는 거고요. 또 희생자로 결정돼야 직권 재심을 받을 수 있는 희생자분들이 계십니다. 이 절차가 늦어지게 되면 그런 부분에서 우려하고 있고요."]
제주도는 4·3중앙위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행정안전부와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홍호진/제주도 4·3지원과장 : "상반기 내 (중앙위 개최가) 이뤄지지 않을 땐 문제가 있을 것 같지만. 그 안에 정상적으로 운영이 되면. 정상적으로 간다고 그러면 큰 문제는 없을 걸로 보입니다."]
행정안전부는 국무총리가 직무 정지된 상황에서의 4·3중앙위원회 소집에 대한 명문화된 법 조항은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회의 소집 권한에 대한 업무 전결 규정을 살펴보며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제8차 4·3 희생자와 유족 신고자 만 9천여 명 가운데 중앙위까지 절차가 마무리된 경우는 절반 수준인 9천 8백여 명.
만 명 가까이는 2년 전 신고를 마친 뒤 기약 없는 기다림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임연희입니다.
촬영기자:고아람/그래픽:고준용
-
-
임연희 기자 yhlim@kbs.co.kr
임연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