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항공청, “차세대발사체 재사용방안 등 민간주도 가속화”
입력 2025.01.21 (14:15)
수정 2025.01.21 (14: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5/01/21/20250121_sCiAK0.jpg)
우주항공청이 2030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차세대발사체 재사용 방안을 마련하고 민간 재사용발사체 기술개발에도 나서는 등 민간 주도 우주 개발에 속도를 냅니다.
우주청은 오늘(21일) 이런 내용이 포함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올해 우주청은 차세대발사체 재사용 방안과 민간 재사용발사체 핵심 기술개발 등이 포함된 재사용발사체 확보 전략을 수립합니다.
또 올해 4분기 예정된 민간기업 주관 제작 누리호 4차 발사에도 주력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까지 누리호 기술이전과 차세대발사체 지식재산권 이전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간 이견 해소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위성 분야에서는 우주기술 검증용 차세대 중형위성 3호를 4분기 발사하고 하반기 중 한반도 정밀 관측용 다목적 실용위성 6호와 7호도 발사합니다.
민간 주도 위성개발 지원을 위해 검증용 위성개발 로드맵을 올해 8월 제시하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지상시스템 구축 방안도 마련합니다.
우주과학 탐사 분야에는 한국 주도 국제 탐사 임무를 적극 발굴하고, NASA와 공동 개발해 3차원 우주 지도를 만드는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를 2월 발사할 예정입니다.
화성탐사 임무를 발굴해 2035년 화성 궤도선, 2045년 화성 착륙선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 전략도 마련합니다.
항공 분야에서는 미래형 항공기체(AAV) 등 새로운 항공교통체계 도입에 맞춰 도심과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저소음 항공기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기획하고, 4분기 중 성층권 장기 체공 드론 시험비행에 나섭니다.
이와 함께 미국 트럼프 정부와 협력을 확대하고 인도와 우주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유럽, 일본, 중동 등과도 협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올해는 우주항공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가 간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기회를 선점하고 나아가 세계 우주항공 산업을 선도하도록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우주항공 5대 강국을 향한 본격적인 비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우주청은 오늘(21일) 이런 내용이 포함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올해 우주청은 차세대발사체 재사용 방안과 민간 재사용발사체 핵심 기술개발 등이 포함된 재사용발사체 확보 전략을 수립합니다.
또 올해 4분기 예정된 민간기업 주관 제작 누리호 4차 발사에도 주력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까지 누리호 기술이전과 차세대발사체 지식재산권 이전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간 이견 해소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위성 분야에서는 우주기술 검증용 차세대 중형위성 3호를 4분기 발사하고 하반기 중 한반도 정밀 관측용 다목적 실용위성 6호와 7호도 발사합니다.
민간 주도 위성개발 지원을 위해 검증용 위성개발 로드맵을 올해 8월 제시하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지상시스템 구축 방안도 마련합니다.
우주과학 탐사 분야에는 한국 주도 국제 탐사 임무를 적극 발굴하고, NASA와 공동 개발해 3차원 우주 지도를 만드는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를 2월 발사할 예정입니다.
화성탐사 임무를 발굴해 2035년 화성 궤도선, 2045년 화성 착륙선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 전략도 마련합니다.
항공 분야에서는 미래형 항공기체(AAV) 등 새로운 항공교통체계 도입에 맞춰 도심과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저소음 항공기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기획하고, 4분기 중 성층권 장기 체공 드론 시험비행에 나섭니다.
이와 함께 미국 트럼프 정부와 협력을 확대하고 인도와 우주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유럽, 일본, 중동 등과도 협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올해는 우주항공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가 간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기회를 선점하고 나아가 세계 우주항공 산업을 선도하도록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우주항공 5대 강국을 향한 본격적인 비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우주항공청, “차세대발사체 재사용방안 등 민간주도 가속화”
-
- 입력 2025-01-21 14:15:30
- 수정2025-01-21 14:17:03
![](/data/news/2025/01/21/20250121_sCiAK0.jpg)
우주항공청이 2030년 발사를 목표로 개발 중인 차세대발사체 재사용 방안을 마련하고 민간 재사용발사체 기술개발에도 나서는 등 민간 주도 우주 개발에 속도를 냅니다.
우주청은 오늘(21일) 이런 내용이 포함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올해 우주청은 차세대발사체 재사용 방안과 민간 재사용발사체 핵심 기술개발 등이 포함된 재사용발사체 확보 전략을 수립합니다.
또 올해 4분기 예정된 민간기업 주관 제작 누리호 4차 발사에도 주력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까지 누리호 기술이전과 차세대발사체 지식재산권 이전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간 이견 해소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위성 분야에서는 우주기술 검증용 차세대 중형위성 3호를 4분기 발사하고 하반기 중 한반도 정밀 관측용 다목적 실용위성 6호와 7호도 발사합니다.
민간 주도 위성개발 지원을 위해 검증용 위성개발 로드맵을 올해 8월 제시하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지상시스템 구축 방안도 마련합니다.
우주과학 탐사 분야에는 한국 주도 국제 탐사 임무를 적극 발굴하고, NASA와 공동 개발해 3차원 우주 지도를 만드는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를 2월 발사할 예정입니다.
화성탐사 임무를 발굴해 2035년 화성 궤도선, 2045년 화성 착륙선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 전략도 마련합니다.
항공 분야에서는 미래형 항공기체(AAV) 등 새로운 항공교통체계 도입에 맞춰 도심과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저소음 항공기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기획하고, 4분기 중 성층권 장기 체공 드론 시험비행에 나섭니다.
이와 함께 미국 트럼프 정부와 협력을 확대하고 인도와 우주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유럽, 일본, 중동 등과도 협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올해는 우주항공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가 간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기회를 선점하고 나아가 세계 우주항공 산업을 선도하도록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우주항공 5대 강국을 향한 본격적인 비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우주청은 오늘(21일) 이런 내용이 포함된 2025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우선 올해 우주청은 차세대발사체 재사용 방안과 민간 재사용발사체 핵심 기술개발 등이 포함된 재사용발사체 확보 전략을 수립합니다.
또 올해 4분기 예정된 민간기업 주관 제작 누리호 4차 발사에도 주력할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최근까지 누리호 기술이전과 차세대발사체 지식재산권 이전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간 이견 해소도 지원할 계획입니다.
위성 분야에서는 우주기술 검증용 차세대 중형위성 3호를 4분기 발사하고 하반기 중 한반도 정밀 관측용 다목적 실용위성 6호와 7호도 발사합니다.
민간 주도 위성개발 지원을 위해 검증용 위성개발 로드맵을 올해 8월 제시하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지상시스템 구축 방안도 마련합니다.
우주과학 탐사 분야에는 한국 주도 국제 탐사 임무를 적극 발굴하고, NASA와 공동 개발해 3차원 우주 지도를 만드는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SPHEREx)를 2월 발사할 예정입니다.
화성탐사 임무를 발굴해 2035년 화성 궤도선, 2045년 화성 착륙선 개발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 전략도 마련합니다.
항공 분야에서는 미래형 항공기체(AAV) 등 새로운 항공교통체계 도입에 맞춰 도심과 지역에서 활용할 수 있는 친환경·저소음 항공기 핵심기술 개발사업을 기획하고, 4분기 중 성층권 장기 체공 드론 시험비행에 나섭니다.
이와 함께 미국 트럼프 정부와 협력을 확대하고 인도와 우주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는 등 유럽, 일본, 중동 등과도 협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입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올해는 우주항공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가 간 경쟁이 어느 때보다 치열한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기회를 선점하고 나아가 세계 우주항공 산업을 선도하도록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우주항공 5대 강국을 향한 본격적인 비상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