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첫 날 중국 겨냥 행정명령 없어…중국 “관계발전 함께”

입력 2025.01.21 (21:39) 수정 2025.01.21 (21: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언과 달리 취임 첫날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하지 않자 중국은 오늘(21일) 양국 관계 발전을 함께 추동하기를 바란다며 유화 제스처를 취했습니다.

중국은 우선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후보자에 대해 2020년 부과한 제재를 해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마코 루비오가 트럼프 행정부 국무장관으로 인준됐는데, 중국은 그에 대한 제재 해제를 고려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중국은 흔들림 없이 국가 이익을 수호할 것”이라면서 “동시에 중미 양국 고위급 당국자는 적당한 방식으로 접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연방 상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20일(현지시간) 루비오 후보자의 인준안을 만장일치로 가결 처리했습니다.

이에 연방 상원의원(플로리다주) 출신인 루비오 후보자는 미국 우선주의를 바탕으로 ‘힘을 통한 평화’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외 정책을 기반으로 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 정책을 총괄하게 됐습니다.

그는 미 의회에서 더 강력한 중국 제재 필요성에 목소리를 높여온 인물로, 신장위구르자치구 소수민족 인권 문제 등을 비판하다 2020년 중국 제재 대상에 올랐습니다.

이날 궈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예상과 달리 중국에 대한 신규 ‘관세 폭탄’ 조치를 내놓지 않은 것에 관해서는 원론적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이 중국과 마주 보고 중미 경제·무역 관계의 안정적이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함께 추동하기를 희망한다”는 뜻을 나타낸 것입니다.

궈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보를) 긍정적 신호로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중미 간에 이견과 마찰이 있더라도 양국 공동이익과 협력 공간은 거대하고, 양국은 이에 관해 대화와 협상을 강화할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당시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60%의 관세를 메기겠다고 공약했습니다. 또 펜타닐 미국 내 유입에 대한 책임을 물어 취임 첫날 10%의 추가 관세를 물리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약속대로 대중 관세를 60%까지 인상할 경우 중국 수출 물량은 약 3% 감소하고 GDP는 약 0.5%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트럼프 취임 첫날 대중 관세가 부과되지 않은 것을 두고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이 뜻하지 않게 숨통을 트일 수 있게 됐다”고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으로부터 ‘초청’을 받았다며 연내 방중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중국은 미중 관계 진전 의지도 재차 밝혔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취재진에게 ‘올해 중국을 방문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받은 뒤 “그럴 수도 있다(could be). 나는 초청을 받았다”고 답했습니다.

앞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8일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100일 안에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날 의향을 보도한 바 있는데,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연내 방중이 성사될 수 있다고 말한 것입니다.

궈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 언급에 관한 취재진 질문이 나오자 별도로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중국은 미국 새 정부와 함께, 양국 정상의 전략적 지도 아래 상호존중·평화공존·협력·호혜 원칙에 근거해 소통 유지와 협력 강화, 이견의 적절한 통제를 하고 중미 관계가 새로운 출발점에서 더 큰 진전을 얻도록 추동할 용의가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파리기후변화협정과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탈퇴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을 두고는 우려의 뜻을 표했습니다.

궈 대변인은 “기후변화는 전 인류가 직면한 공동의 도전으로 몸을 뺄 수 있는 국가도, 자기만 생각할 수 있는 국가도 없다”면서 “WHO의 역할은 강화돼야지 약해져선 안 되고, 중국은 언제나처럼 WHO의 직무를 지지하면서 국제 공중보건 협력을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 취임 첫 날 중국 겨냥 행정명령 없어…중국 “관계발전 함께”
    • 입력 2025-01-21 21:39:02
    • 수정2025-01-21 21:49:39
    국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언과 달리 취임 첫날 중국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과하지 않자 중국은 오늘(21일) 양국 관계 발전을 함께 추동하기를 바란다며 유화 제스처를 취했습니다.

중국은 우선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후보자에 대해 2020년 부과한 제재를 해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마코 루비오가 트럼프 행정부 국무장관으로 인준됐는데, 중국은 그에 대한 제재 해제를 고려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중국은 흔들림 없이 국가 이익을 수호할 것”이라면서 “동시에 중미 양국 고위급 당국자는 적당한 방식으로 접촉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연방 상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20일(현지시간) 루비오 후보자의 인준안을 만장일치로 가결 처리했습니다.

이에 연방 상원의원(플로리다주) 출신인 루비오 후보자는 미국 우선주의를 바탕으로 ‘힘을 통한 평화’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대외 정책을 기반으로 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 정책을 총괄하게 됐습니다.

그는 미 의회에서 더 강력한 중국 제재 필요성에 목소리를 높여온 인물로, 신장위구르자치구 소수민족 인권 문제 등을 비판하다 2020년 중국 제재 대상에 올랐습니다.

이날 궈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예상과 달리 중국에 대한 신규 ‘관세 폭탄’ 조치를 내놓지 않은 것에 관해서는 원론적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미국이 중국과 마주 보고 중미 경제·무역 관계의 안정적이고 건강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함께 추동하기를 희망한다”는 뜻을 나타낸 것입니다.

궈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보를) 긍정적 신호로 보는가”라는 질문에는 “중미 간에 이견과 마찰이 있더라도 양국 공동이익과 협력 공간은 거대하고, 양국은 이에 관해 대화와 협상을 강화할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당시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60%의 관세를 메기겠다고 공약했습니다. 또 펜타닐 미국 내 유입에 대한 책임을 물어 취임 첫날 10%의 추가 관세를 물리겠다고 공언했습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트럼프 행정부가 약속대로 대중 관세를 60%까지 인상할 경우 중국 수출 물량은 약 3% 감소하고 GDP는 약 0.5% 줄어들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트럼프 취임 첫날 대중 관세가 부과되지 않은 것을 두고 블룸버그통신은 “중국이 뜻하지 않게 숨통을 트일 수 있게 됐다”고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으로부터 ‘초청’을 받았다며 연내 방중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중국은 미중 관계 진전 의지도 재차 밝혔습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취재진에게 ‘올해 중국을 방문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받은 뒤 “그럴 수도 있다(could be). 나는 초청을 받았다”고 답했습니다.

앞서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 18일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100일 안에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날 의향을 보도한 바 있는데,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연내 방중이 성사될 수 있다고 말한 것입니다.

궈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초청’ 언급에 관한 취재진 질문이 나오자 별도로 부인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중국은 미국 새 정부와 함께, 양국 정상의 전략적 지도 아래 상호존중·평화공존·협력·호혜 원칙에 근거해 소통 유지와 협력 강화, 이견의 적절한 통제를 하고 중미 관계가 새로운 출발점에서 더 큰 진전을 얻도록 추동할 용의가 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파리기후변화협정과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탈퇴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을 두고는 우려의 뜻을 표했습니다.

궈 대변인은 “기후변화는 전 인류가 직면한 공동의 도전으로 몸을 뺄 수 있는 국가도, 자기만 생각할 수 있는 국가도 없다”면서 “WHO의 역할은 강화돼야지 약해져선 안 되고, 중국은 언제나처럼 WHO의 직무를 지지하면서 국제 공중보건 협력을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EPA=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