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1/5로 줄어든 일자리…여수산단 고용 불안 확산
입력 2025.01.23 (19:10)
수정 2025.01.23 (20:2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처럼 석유화학 업계가 심각한 보릿고개를 지나면서 여수산단의 고용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 대기업마저 근로자들이 일터를 옮긴데다 일용직 시장은 5분의 1로 줄어 일감 구하기조차 만만치 않다고 합니다.
손준수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일부 공정 가동이 중단된 롯데케미칼 여수 2공장입니다.
이 공장에서 일하던 원하청 직원 백여명이 다른 공장으로 전환 배치됐습니다.
특히 하청 소속의 직원 15명 가운데 8명은 퇴사했습니다.
갑작스런 전환 배치에 새로운 업무 적응이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차원/롯데케미칼 사내하청 여수지회장 : "(한 달이라는) 짧은 기간 만에 공정을 없애버린 거죠. 하시던 일들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기다 보니까 결국에는 나갈 수밖에 없는, 내가 이 회사에서 10년 넘는 시간동안 일을 했지만 퇴사할 수밖에 없는..."]
여수산단의 공장 가동률이 크게 낮아지면서 협력업체들은 물론 일용직 고용시장의 상황은 더욱 심각합니다.
이번 달 투입된 산단 내일용직 노동자들은 지난해 대비 1/5수준에 불과합니다.
신규 설비 증설은 커녕 공장 유지 보수 일감마저 줄어서입니다.
[강태검/용접노동자 : "인력사무소 같은데 의뢰도 많이 하고 주변 분들한테도 하루하루 전화를 해서 '혹시라도 자리가 있다고 하면 객지든, 해외든 가리지 않고 가겠다' 이렇게 연락해 놓은 상태인데 그 역시도 전화가 오지 않고..."]
산단 고용불안이 지역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상황.
고용유지지원금이나 실직자 지원을 위한 정부 차원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주종섭/전남도의원 : "조선업이 불황이었을 때는 몇 년간 위기 대응 지역으로 지정해서 정부에서 특별지원을 했던 적이 있었거든요. 여수국가산단의 위기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로) 파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거죠."]
여수산단 불황 극복을 위한 골든타임마저 놓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속에 산업통상자원부는 다음 달 여수를 방문해 기업들과 간담회를 갖고 현장 상황과 건의 사항 등을 청취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이처럼 석유화학 업계가 심각한 보릿고개를 지나면서 여수산단의 고용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 대기업마저 근로자들이 일터를 옮긴데다 일용직 시장은 5분의 1로 줄어 일감 구하기조차 만만치 않다고 합니다.
손준수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일부 공정 가동이 중단된 롯데케미칼 여수 2공장입니다.
이 공장에서 일하던 원하청 직원 백여명이 다른 공장으로 전환 배치됐습니다.
특히 하청 소속의 직원 15명 가운데 8명은 퇴사했습니다.
갑작스런 전환 배치에 새로운 업무 적응이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차원/롯데케미칼 사내하청 여수지회장 : "(한 달이라는) 짧은 기간 만에 공정을 없애버린 거죠. 하시던 일들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기다 보니까 결국에는 나갈 수밖에 없는, 내가 이 회사에서 10년 넘는 시간동안 일을 했지만 퇴사할 수밖에 없는..."]
여수산단의 공장 가동률이 크게 낮아지면서 협력업체들은 물론 일용직 고용시장의 상황은 더욱 심각합니다.
이번 달 투입된 산단 내일용직 노동자들은 지난해 대비 1/5수준에 불과합니다.
신규 설비 증설은 커녕 공장 유지 보수 일감마저 줄어서입니다.
[강태검/용접노동자 : "인력사무소 같은데 의뢰도 많이 하고 주변 분들한테도 하루하루 전화를 해서 '혹시라도 자리가 있다고 하면 객지든, 해외든 가리지 않고 가겠다' 이렇게 연락해 놓은 상태인데 그 역시도 전화가 오지 않고..."]
산단 고용불안이 지역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상황.
고용유지지원금이나 실직자 지원을 위한 정부 차원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주종섭/전남도의원 : "조선업이 불황이었을 때는 몇 년간 위기 대응 지역으로 지정해서 정부에서 특별지원을 했던 적이 있었거든요. 여수국가산단의 위기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로) 파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거죠."]
여수산단 불황 극복을 위한 골든타임마저 놓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속에 산업통상자원부는 다음 달 여수를 방문해 기업들과 간담회를 갖고 현장 상황과 건의 사항 등을 청취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1/5로 줄어든 일자리…여수산단 고용 불안 확산
-
- 입력 2025-01-23 19:10:22
- 수정2025-01-23 20:20:28
![](/data/news/title_image/newsmp4/gwangju/news7/2025/01/23/40_8159562.jpg)
[앵커]
이처럼 석유화학 업계가 심각한 보릿고개를 지나면서 여수산단의 고용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 대기업마저 근로자들이 일터를 옮긴데다 일용직 시장은 5분의 1로 줄어 일감 구하기조차 만만치 않다고 합니다.
손준수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일부 공정 가동이 중단된 롯데케미칼 여수 2공장입니다.
이 공장에서 일하던 원하청 직원 백여명이 다른 공장으로 전환 배치됐습니다.
특히 하청 소속의 직원 15명 가운데 8명은 퇴사했습니다.
갑작스런 전환 배치에 새로운 업무 적응이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차원/롯데케미칼 사내하청 여수지회장 : "(한 달이라는) 짧은 기간 만에 공정을 없애버린 거죠. 하시던 일들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기다 보니까 결국에는 나갈 수밖에 없는, 내가 이 회사에서 10년 넘는 시간동안 일을 했지만 퇴사할 수밖에 없는..."]
여수산단의 공장 가동률이 크게 낮아지면서 협력업체들은 물론 일용직 고용시장의 상황은 더욱 심각합니다.
이번 달 투입된 산단 내일용직 노동자들은 지난해 대비 1/5수준에 불과합니다.
신규 설비 증설은 커녕 공장 유지 보수 일감마저 줄어서입니다.
[강태검/용접노동자 : "인력사무소 같은데 의뢰도 많이 하고 주변 분들한테도 하루하루 전화를 해서 '혹시라도 자리가 있다고 하면 객지든, 해외든 가리지 않고 가겠다' 이렇게 연락해 놓은 상태인데 그 역시도 전화가 오지 않고..."]
산단 고용불안이 지역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상황.
고용유지지원금이나 실직자 지원을 위한 정부 차원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주종섭/전남도의원 : "조선업이 불황이었을 때는 몇 년간 위기 대응 지역으로 지정해서 정부에서 특별지원을 했던 적이 있었거든요. 여수국가산단의 위기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로) 파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거죠."]
여수산단 불황 극복을 위한 골든타임마저 놓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속에 산업통상자원부는 다음 달 여수를 방문해 기업들과 간담회를 갖고 현장 상황과 건의 사항 등을 청취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이처럼 석유화학 업계가 심각한 보릿고개를 지나면서 여수산단의 고용 불안도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 대기업마저 근로자들이 일터를 옮긴데다 일용직 시장은 5분의 1로 줄어 일감 구하기조차 만만치 않다고 합니다.
손준수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일부 공정 가동이 중단된 롯데케미칼 여수 2공장입니다.
이 공장에서 일하던 원하청 직원 백여명이 다른 공장으로 전환 배치됐습니다.
특히 하청 소속의 직원 15명 가운데 8명은 퇴사했습니다.
갑작스런 전환 배치에 새로운 업무 적응이 쉽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차원/롯데케미칼 사내하청 여수지회장 : "(한 달이라는) 짧은 기간 만에 공정을 없애버린 거죠. 하시던 일들을 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기다 보니까 결국에는 나갈 수밖에 없는, 내가 이 회사에서 10년 넘는 시간동안 일을 했지만 퇴사할 수밖에 없는..."]
여수산단의 공장 가동률이 크게 낮아지면서 협력업체들은 물론 일용직 고용시장의 상황은 더욱 심각합니다.
이번 달 투입된 산단 내일용직 노동자들은 지난해 대비 1/5수준에 불과합니다.
신규 설비 증설은 커녕 공장 유지 보수 일감마저 줄어서입니다.
[강태검/용접노동자 : "인력사무소 같은데 의뢰도 많이 하고 주변 분들한테도 하루하루 전화를 해서 '혹시라도 자리가 있다고 하면 객지든, 해외든 가리지 않고 가겠다' 이렇게 연락해 놓은 상태인데 그 역시도 전화가 오지 않고..."]
산단 고용불안이 지역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상황.
고용유지지원금이나 실직자 지원을 위한 정부 차원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주종섭/전남도의원 : "조선업이 불황이었을 때는 몇 년간 위기 대응 지역으로 지정해서 정부에서 특별지원을 했던 적이 있었거든요. 여수국가산단의 위기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로) 파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거죠."]
여수산단 불황 극복을 위한 골든타임마저 놓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속에 산업통상자원부는 다음 달 여수를 방문해 기업들과 간담회를 갖고 현장 상황과 건의 사항 등을 청취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김선오
-
-
손준수 기자 handsome@kbs.co.kr
손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