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민간개발 초음속 여객기 시제품 시험비행 성공

입력 2025.01.29 (13:03) 수정 2025.01.29 (13:3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의 항공기 개발업체 '붐 슈퍼소닉'이 만든 초음속 여객기 시제품 'XB-1'이 현지 시각 28일 소리의 속도보다 더 빠른 '초음속' 비행에 성공했다고 미국 언론매체들이 보도했습니다. 민간 기업이 개발한 초음속 여객기 시제품이 초음속 비행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세계 최초입니다.

이번 XB-1의 초음속 시험비행을 맡은 수석 조종사 트리스탄 브란덴부르크(코드명 '제페토')는 이륙 약 12분만에 3만 5,290 피트(약 10.7km) 고도에서 가속해 음속(마하1)보다 빠른 마하 1.122의 속도를 냈습니다. 약 20분간 비행하면서 브란덴부르크는 2차례 더 음속의 벽을 넘어섰습니다.

붐 슈퍼소닉은 연방항공국(FAA)의 특별 허가를 받아 이번 첫 초음속 비행 경로를 캘리포니아의 모하비 사막으로 골랐습니다. 이 경로를 고른 것은 1947년 전설적인 미국 공군 에이스 척 예거(1923∼2020) 대위(나중에 준장까지 진급)가 항공 역사상 최초로 수평 비행으로 초음속 비행에 성공한 곳이기 때문입니다.

XB-1은 지난해 3월부터 이번까지 12번의 시험비행을 무사히 마쳤으며, 이달 10일에는 음속에 근접한 마하 0.95까지 가속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붐 슈퍼소닉은 XB-1 시험비행에서 얻은 데이터를 토대로 실제 초음속 여객기로 쓰일 '오버추어' 기종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오버추어는 64명에서 80명을 태울 수 있는 여객용 제트기로, 최대 속력은 마하 1.7이 될 것이라고 붐 슈퍼소닉 측은 밝혔습니다.

지난해 6월 붐 슈퍼소닉은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에 오버추어 생산 공장을 완공했으며, 생산 능력을 연간 66대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초음속 여객기로는 영국·프랑스 정부와 공기업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콩코드' 기종이 있었습니다. 콩코드는 1969년 첫 초음속 시험비행에 성공했고 1976년 일반 여객을 태우는 상업운항에 투입됐으나, 콩코드 투입 노선은 비싼 운임 등 이유로 승객이 적어 만성 적자를 냈습니다.

콩코드 운항 항공편은 2000년 프랑스에서 대형 인명사고가 나기도 했으며, 2003년을 끝으로 운행이 중단됐습니다. 제작 대수는 1965년부터 1979년까지 총 20대였으며 이 중 상업용 여객기는 14대였습니다.

미국 보잉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정부 지원을 받아 초음속 여객기를 개발하려고 했으나, 환경 파괴 우려 등 반대로 예산 지원이 중단되자 계획을 포기했습니다.

붐 슈퍼소닉은 콩코드의 실패 사례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오버추어를 통한 초음속 여행의 가격을 낮추고 친환경적으로 운행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 회사의 블레이크 숄 최고경영자(CEO)는 2021년 5월 미국 CNN 방송 인터뷰에서 "언젠가는 세계 어느 곳이든 100달러(14만원)만 내면 4시간만에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자신의 꿈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숄 CEO는 지난해 3월 CNN 인터뷰에서는 600개 노선에 오버추어가 투입되도록 하겠다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붐 슈퍼소닉 홈페이지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첫 민간개발 초음속 여객기 시제품 시험비행 성공
    • 입력 2025-01-29 13:03:26
    • 수정2025-01-29 13:33:27
    국제
미국의 항공기 개발업체 '붐 슈퍼소닉'이 만든 초음속 여객기 시제품 'XB-1'이 현지 시각 28일 소리의 속도보다 더 빠른 '초음속' 비행에 성공했다고 미국 언론매체들이 보도했습니다. 민간 기업이 개발한 초음속 여객기 시제품이 초음속 비행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세계 최초입니다.

이번 XB-1의 초음속 시험비행을 맡은 수석 조종사 트리스탄 브란덴부르크(코드명 '제페토')는 이륙 약 12분만에 3만 5,290 피트(약 10.7km) 고도에서 가속해 음속(마하1)보다 빠른 마하 1.122의 속도를 냈습니다. 약 20분간 비행하면서 브란덴부르크는 2차례 더 음속의 벽을 넘어섰습니다.

붐 슈퍼소닉은 연방항공국(FAA)의 특별 허가를 받아 이번 첫 초음속 비행 경로를 캘리포니아의 모하비 사막으로 골랐습니다. 이 경로를 고른 것은 1947년 전설적인 미국 공군 에이스 척 예거(1923∼2020) 대위(나중에 준장까지 진급)가 항공 역사상 최초로 수평 비행으로 초음속 비행에 성공한 곳이기 때문입니다.

XB-1은 지난해 3월부터 이번까지 12번의 시험비행을 무사히 마쳤으며, 이달 10일에는 음속에 근접한 마하 0.95까지 가속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붐 슈퍼소닉은 XB-1 시험비행에서 얻은 데이터를 토대로 실제 초음속 여객기로 쓰일 '오버추어' 기종을 개발할 계획입니다.

오버추어는 64명에서 80명을 태울 수 있는 여객용 제트기로, 최대 속력은 마하 1.7이 될 것이라고 붐 슈퍼소닉 측은 밝혔습니다.

지난해 6월 붐 슈퍼소닉은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에 오버추어 생산 공장을 완공했으며, 생산 능력을 연간 66대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초음속 여객기로는 영국·프랑스 정부와 공기업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콩코드' 기종이 있었습니다. 콩코드는 1969년 첫 초음속 시험비행에 성공했고 1976년 일반 여객을 태우는 상업운항에 투입됐으나, 콩코드 투입 노선은 비싼 운임 등 이유로 승객이 적어 만성 적자를 냈습니다.

콩코드 운항 항공편은 2000년 프랑스에서 대형 인명사고가 나기도 했으며, 2003년을 끝으로 운행이 중단됐습니다. 제작 대수는 1965년부터 1979년까지 총 20대였으며 이 중 상업용 여객기는 14대였습니다.

미국 보잉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정부 지원을 받아 초음속 여객기를 개발하려고 했으나, 환경 파괴 우려 등 반대로 예산 지원이 중단되자 계획을 포기했습니다.

붐 슈퍼소닉은 콩코드의 실패 사례를 되풀이하지 않도록 오버추어를 통한 초음속 여행의 가격을 낮추고 친환경적으로 운행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 회사의 블레이크 숄 최고경영자(CEO)는 2021년 5월 미국 CNN 방송 인터뷰에서 "언젠가는 세계 어느 곳이든 100달러(14만원)만 내면 4시간만에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자신의 꿈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숄 CEO는 지난해 3월 CNN 인터뷰에서는 600개 노선에 오버추어가 투입되도록 하겠다는 구상을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붐 슈퍼소닉 홈페이지 캡처]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