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관영매체 “딥시크 겨냥 사이버공격, 모두 미국서 시작”
입력 2025.01.31 (10:38)
수정 2025.01.31 (10: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 관영매체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를 겨냥한 사이버공격이 미국에서 시작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중앙TV(CCTV)의 모회사 중앙방송총국은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玉淵譚天)을 통해 중국 사이버 보안회사 QAX(奇安信)의 보고서를 인용하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QAX의 보안 전문가인 왕후이는 위위안탄톈과의 인터뷰에서 “(딥시크를 겨냥한) 모든 공격 IP가 미국 것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딥시크에 대한 사이버공격이 지난 3일 시작됐고 27일과 28일부터 공격 횟수가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업체는 공격이 늘면서 방식도 바뀌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초기에는 딥시크의 서버와 대역폭을 압도해 정상 서비스를 방해하려는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위주였다가 최근에는 특정 암호를 풀기 위해 가능한 모든 값을 넣는 ‘무차별 대입 공격’(brute-force attack)이 주를 이룬다는 것입니다.
앞서 딥시크는 지난 27일 미국과 유럽 등의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 다운로드 앱 1위에 오르며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직후 “대규모 악의적 공격”을 받아 신규 이용자 등록을 제한한다고 밝혔습니다.
딥시크는 이후 28일 “문제를 파악해 해결했으며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중”이나 신규 이용자 등록 등 일부 서비스는 일시적으로 제한한다고 공지했습니다.
딥시크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 속에도 최근 압도적으로 저렴한 학습 비용에 미국 빅테크의 AI 모델에 필적하는 추론 성능을 보인 모델들을 잇달아 출시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중국중앙TV(CCTV)의 모회사 중앙방송총국은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玉淵譚天)을 통해 중국 사이버 보안회사 QAX(奇安信)의 보고서를 인용하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QAX의 보안 전문가인 왕후이는 위위안탄톈과의 인터뷰에서 “(딥시크를 겨냥한) 모든 공격 IP가 미국 것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딥시크에 대한 사이버공격이 지난 3일 시작됐고 27일과 28일부터 공격 횟수가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업체는 공격이 늘면서 방식도 바뀌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초기에는 딥시크의 서버와 대역폭을 압도해 정상 서비스를 방해하려는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위주였다가 최근에는 특정 암호를 풀기 위해 가능한 모든 값을 넣는 ‘무차별 대입 공격’(brute-force attack)이 주를 이룬다는 것입니다.
앞서 딥시크는 지난 27일 미국과 유럽 등의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 다운로드 앱 1위에 오르며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직후 “대규모 악의적 공격”을 받아 신규 이용자 등록을 제한한다고 밝혔습니다.
딥시크는 이후 28일 “문제를 파악해 해결했으며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중”이나 신규 이용자 등록 등 일부 서비스는 일시적으로 제한한다고 공지했습니다.
딥시크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 속에도 최근 압도적으로 저렴한 학습 비용에 미국 빅테크의 AI 모델에 필적하는 추론 성능을 보인 모델들을 잇달아 출시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관영매체 “딥시크 겨냥 사이버공격, 모두 미국서 시작”
-
- 입력 2025-01-31 10:38:24
- 수정2025-01-31 10:44:36
중국 관영매체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를 겨냥한 사이버공격이 미국에서 시작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중앙TV(CCTV)의 모회사 중앙방송총국은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玉淵譚天)을 통해 중국 사이버 보안회사 QAX(奇安信)의 보고서를 인용하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QAX의 보안 전문가인 왕후이는 위위안탄톈과의 인터뷰에서 “(딥시크를 겨냥한) 모든 공격 IP가 미국 것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딥시크에 대한 사이버공격이 지난 3일 시작됐고 27일과 28일부터 공격 횟수가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업체는 공격이 늘면서 방식도 바뀌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초기에는 딥시크의 서버와 대역폭을 압도해 정상 서비스를 방해하려는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위주였다가 최근에는 특정 암호를 풀기 위해 가능한 모든 값을 넣는 ‘무차별 대입 공격’(brute-force attack)이 주를 이룬다는 것입니다.
앞서 딥시크는 지난 27일 미국과 유럽 등의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 다운로드 앱 1위에 오르며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직후 “대규모 악의적 공격”을 받아 신규 이용자 등록을 제한한다고 밝혔습니다.
딥시크는 이후 28일 “문제를 파악해 해결했으며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중”이나 신규 이용자 등록 등 일부 서비스는 일시적으로 제한한다고 공지했습니다.
딥시크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 속에도 최근 압도적으로 저렴한 학습 비용에 미국 빅테크의 AI 모델에 필적하는 추론 성능을 보인 모델들을 잇달아 출시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중국중앙TV(CCTV)의 모회사 중앙방송총국은 소셜미디어 계정 위위안탄톈(玉淵譚天)을 통해 중국 사이버 보안회사 QAX(奇安信)의 보고서를 인용하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QAX의 보안 전문가인 왕후이는 위위안탄톈과의 인터뷰에서 “(딥시크를 겨냥한) 모든 공격 IP가 미국 것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딥시크에 대한 사이버공격이 지난 3일 시작됐고 27일과 28일부터 공격 횟수가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업체는 공격이 늘면서 방식도 바뀌었다고 분석했습니다. 초기에는 딥시크의 서버와 대역폭을 압도해 정상 서비스를 방해하려는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위주였다가 최근에는 특정 암호를 풀기 위해 가능한 모든 값을 넣는 ‘무차별 대입 공격’(brute-force attack)이 주를 이룬다는 것입니다.
앞서 딥시크는 지난 27일 미국과 유럽 등의 애플 앱스토어에서 무료 다운로드 앱 1위에 오르며 세계적으로 주목받은 직후 “대규모 악의적 공격”을 받아 신규 이용자 등록을 제한한다고 밝혔습니다.
딥시크는 이후 28일 “문제를 파악해 해결했으며 결과를 모니터링하는 중”이나 신규 이용자 등록 등 일부 서비스는 일시적으로 제한한다고 공지했습니다.
딥시크는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 속에도 최근 압도적으로 저렴한 학습 비용에 미국 빅테크의 AI 모델에 필적하는 추론 성능을 보인 모델들을 잇달아 출시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
김양순 기자 ysooni@kbs.co.kr
김양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