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대미 협상 카드로 ‘290조대’ 무역합의 복원 준비”

입력 2025.02.03 (17:49) 수정 2025.02.03 (17: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관세 인상과 기술 통제를 막기 위한 협상 카드로 2020년 체결한 약 290조 원 규모의 ‘1단계 무역합의’ 복원 등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JS)은 현지시각 2일 미중 양국 관계자들을 인용해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협상에 대비해 2020년 초 체결했지만 이행하지 못했던 ‘1단계 무역합의’를 복원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집권 1기 시절 서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을 벌였던 미중 양국은 2020년 1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철회하고, 중국은 2020년부터 2년동안 미국에서 2천억 달러, 약 293조 원 규모의 상품과 서비스를 추가 구매하는 조건으로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대유행하면서 중국은 합의사항을 이행하지 못했습니다.

워싱턴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연구소(PIIE)는 중국이 구매 목표의 58%를 달성하는 데 그쳤다고 추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취임식 직후,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관세 부과 등 적절한 조치를 권고하라고 지시한 바 있습니다.

관계자들은 중국이 이번에도 미국산 농산물과 에너지, 공산품을 추가 구매하겠다는 제안을 할 계획이며, 중국이 미국 역시 반도체 등에 대한 대중 수출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의 대미 협상 계획에는 위안화 평가절하를 하지 않고, 전기차 배터리 같은 부문에서 미국에 더 많은 투자를 하며, 펜타닐 전구체 수출을 줄이겠다는 약속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미국과의 긍정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자국 기업의 동영상 공유 서비스 ‘틱톡’ 이슈를 “상업적인 문제”로 취급할 계획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가 틱톡 매각에 개입하지 않고,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의 투자자들이 틱톡 지분에 관심이 있는 미국 입찰자들과 협상하도록 내버려 둘 계획이라는 뜻이라고 관계자들은 전했습니다.

중국의 이같은 시도는 중국 경제에 대한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을 협상 분위기로 끌어오려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관심을 반영한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대미 협상 카드로 ‘290조대’ 무역합의 복원 준비”
    • 입력 2025-02-03 17:49:32
    • 수정2025-02-03 17:59:36
    국제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관세 인상과 기술 통제를 막기 위한 협상 카드로 2020년 체결한 약 290조 원 규모의 ‘1단계 무역합의’ 복원 등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JS)은 현지시각 2일 미중 양국 관계자들을 인용해 중국이 미국과의 무역협상에 대비해 2020년 초 체결했지만 이행하지 못했던 ‘1단계 무역합의’를 복원하는 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집권 1기 시절 서로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무역전쟁을 벌였던 미중 양국은 2020년 1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를 철회하고, 중국은 2020년부터 2년동안 미국에서 2천억 달러, 약 293조 원 규모의 상품과 서비스를 추가 구매하는 조건으로 1단계 무역합의에 서명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대유행하면서 중국은 합의사항을 이행하지 못했습니다.

워싱턴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연구소(PIIE)는 중국이 구매 목표의 58%를 달성하는 데 그쳤다고 추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0일 취임식 직후, 중국이 1단계 무역합의를 제대로 이행하고 있는지 평가하고, 관세 부과 등 적절한 조치를 권고하라고 지시한 바 있습니다.

관계자들은 중국이 이번에도 미국산 농산물과 에너지, 공산품을 추가 구매하겠다는 제안을 할 계획이며, 중국이 미국 역시 반도체 등에 대한 대중 수출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입장을 표명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중국의 대미 협상 계획에는 위안화 평가절하를 하지 않고, 전기차 배터리 같은 부문에서 미국에 더 많은 투자를 하며, 펜타닐 전구체 수출을 줄이겠다는 약속도 포함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미국과의 긍정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자국 기업의 동영상 공유 서비스 ‘틱톡’ 이슈를 “상업적인 문제”로 취급할 계획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가 틱톡 매각에 개입하지 않고,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의 투자자들이 틱톡 지분에 관심이 있는 미국 입찰자들과 협상하도록 내버려 둘 계획이라는 뜻이라고 관계자들은 전했습니다.

중국의 이같은 시도는 중국 경제에 대한 압박이 커지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을 협상 분위기로 끌어오려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관심을 반영한다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분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