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외원조기구 USAID 인원 대폭 축소·국무부로 통합 추진

입력 2025.02.04 (05:1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집권 2기 출범 후 ‘청산 대상’으로 지목된 대외 원조 전담 기구 국제개발처(USAID)가 국무부 산하 조직으로 대폭 축소될 전망입니다.

중남미를 순방중인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현지시간 3일 엘살바도르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신이 USAID의 처장 대행을 겸임하면서, 실무 담당자에게 당분간 USAID의 일상적 운용을 맡길 것이라고 밝혔다고 AFP와 블룸버그 통신 등이 보도했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USAID에 대해 “전적으로 비협조적이며 국익에서 자유롭다는 식의 태도”라면서 “많은 경우 USAID는 우리가 우리의 국가 전략에 따라 하는 일에 반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USAID는 독립적 비정부기구(NGO)가 아니다. 미국의 국익에 따라 행동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USAID의 프로그램을 끝내는 것은 아니”라면서 USAID는 국무부로부터 지시를 받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의 취재에 응한 백악관 당국자는 “효율성을 위해 USAID 직원 규모를 중대하게 줄이고, 대통령 국정 의제에 부합하는 지출을 하도록 만들기 위해 USAID를 국무부로 통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머스크(정부효울부 수장)에게 USAID의 효율성을 감독하라고 맡겼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USAID 본부(워싱턴 DC소재) 직원 대부분은 DC의 USAID 본부 직원들은 이날 본부로 출근하지 말라는 통보를 이메일로 받았습니다.

또 제복을 입은 국토안보부 관계자들이 USAID 본부 로비를 지키는 가운데, ‘인가받은 사람만 입장 가능’이라는 문구가 적힌 출입통제용 노란색 띠가 건물 로비에 설치됐습니다.

이는 신설 자문기구인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USAID 폐쇄에 트럼프 대통령도 동의했다고 밝힌 이후 이뤄진 조처입니다.

머스크는 자신의 SNS에 USAID 관료들이 DOGE의 시스템 접근을 물리적으로 막으려다 정직 처분을 당했다는 내용이 담긴 게시물을 공유하며 “USAID는 범죄 조직. 이제 죽어야 할 때”라고 썼습니다.

머스크는 조니 언스트 상원의원(공화·아이오와) 등과의 라이브 대담에서 USAID를 폐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도 폐쇄에 동의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따라 USAID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처음 간판을 내리는 정부 조직이 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이에 앞서 USAID 홈페이지(www.usaid.gov)는 예고나 설명 없이 1일에 갑자기 폐쇄됐습니다.

USAID는 주로 비정부기구, 외국 정부와 국제기구, 다른 미국 기관에 자금을 주는 형식으로 다른 국가에 인도주의적 및 개발 원조를 제공하면서 미국의 국제 원조를 주관해왔습니다.

직원이 1만여명이고 연간 예산이 428억 달러(62조4천억원)로, 1961년 존 F. 케네디 행정부 당시 ‘외국원조법’에 따라 별도의 독립 부처로 설립됐습니다.

2023 회계연도 기준으로 400억 달러(약 58조 6천억원)가 넘는 예산을 책정해 세계 130개국에 지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대외원조기구 USAID 인원 대폭 축소·국무부로 통합 추진
    • 입력 2025-02-04 05:11:24
    국제
미국 도널드 트럼프 집권 2기 출범 후 ‘청산 대상’으로 지목된 대외 원조 전담 기구 국제개발처(USAID)가 국무부 산하 조직으로 대폭 축소될 전망입니다.

중남미를 순방중인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현지시간 3일 엘살바도르에서 기자들과 만나, 자신이 USAID의 처장 대행을 겸임하면서, 실무 담당자에게 당분간 USAID의 일상적 운용을 맡길 것이라고 밝혔다고 AFP와 블룸버그 통신 등이 보도했습니다.

루비오 장관은 USAID에 대해 “전적으로 비협조적이며 국익에서 자유롭다는 식의 태도”라면서 “많은 경우 USAID는 우리가 우리의 국가 전략에 따라 하는 일에 반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USAID는 독립적 비정부기구(NGO)가 아니다. 미국의 국익에 따라 행동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USAID의 프로그램을 끝내는 것은 아니”라면서 USAID는 국무부로부터 지시를 받게 된다고 말했습니다.

로이터 통신의 취재에 응한 백악관 당국자는 “효율성을 위해 USAID 직원 규모를 중대하게 줄이고, 대통령 국정 의제에 부합하는 지출을 하도록 만들기 위해 USAID를 국무부로 통합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머스크(정부효울부 수장)에게 USAID의 효율성을 감독하라고 맡겼다”고 전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USAID 본부(워싱턴 DC소재) 직원 대부분은 DC의 USAID 본부 직원들은 이날 본부로 출근하지 말라는 통보를 이메일로 받았습니다.

또 제복을 입은 국토안보부 관계자들이 USAID 본부 로비를 지키는 가운데, ‘인가받은 사람만 입장 가능’이라는 문구가 적힌 출입통제용 노란색 띠가 건물 로비에 설치됐습니다.

이는 신설 자문기구인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고 있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USAID 폐쇄에 트럼프 대통령도 동의했다고 밝힌 이후 이뤄진 조처입니다.

머스크는 자신의 SNS에 USAID 관료들이 DOGE의 시스템 접근을 물리적으로 막으려다 정직 처분을 당했다는 내용이 담긴 게시물을 공유하며 “USAID는 범죄 조직. 이제 죽어야 할 때”라고 썼습니다.

머스크는 조니 언스트 상원의원(공화·아이오와) 등과의 라이브 대담에서 USAID를 폐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도 폐쇄에 동의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따라 USAID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처음 간판을 내리는 정부 조직이 될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이에 앞서 USAID 홈페이지(www.usaid.gov)는 예고나 설명 없이 1일에 갑자기 폐쇄됐습니다.

USAID는 주로 비정부기구, 외국 정부와 국제기구, 다른 미국 기관에 자금을 주는 형식으로 다른 국가에 인도주의적 및 개발 원조를 제공하면서 미국의 국제 원조를 주관해왔습니다.

직원이 1만여명이고 연간 예산이 428억 달러(62조4천억원)로, 1961년 존 F. 케네디 행정부 당시 ‘외국원조법’에 따라 별도의 독립 부처로 설립됐습니다.

2023 회계연도 기준으로 400억 달러(약 58조 6천억원)가 넘는 예산을 책정해 세계 130개국에 지원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