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사용 지역 도내 전역 확대

입력 2025.02.04 (10:51) 수정 2025.02.04 (10: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는 올 하반기부터 청년기본소득 사용 지역을 거주지 시군에서 도내 전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청년기본소득은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경기도에 연속 3년 이상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한 24세 청년에게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사업으로 2019년부터 시행했습니다.

올해부터는 25만 원씩 분기별 신청·지급에서 1회 신청·100만 원 일시금 지급으로 변경해 편의성도 높입니다.

다만 작년 신규 신청 대상자였던 2000년생은 종전 방식이 적용되므로 분기별로 신청해야 합니다.

사용 항목의 경우 사업 목적에 맞게 제한해 대학등록금, 어학연수비, 학원수강료, 응시료, 면접 준비금, 창업 임대료, 통신요금, 주거비(월세), 문화·예술·스포츠 활동비 등 9개 분야에만 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인용 경기도 청년기회과장은 “청년기본소득의 당사자인 청년들과 각계 의견을 담아 기존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개선하고자 노력했다”면서 “앞으로도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이 될 수 있게 지속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사용 지역 도내 전역 확대
    • 입력 2025-02-04 10:51:45
    • 수정2025-02-04 10:53:06
    사회
경기도는 올 하반기부터 청년기본소득 사용 지역을 거주지 시군에서 도내 전역으로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청년기본소득은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경기도에 연속 3년 이상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한 24세 청년에게 10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사업으로 2019년부터 시행했습니다.

올해부터는 25만 원씩 분기별 신청·지급에서 1회 신청·100만 원 일시금 지급으로 변경해 편의성도 높입니다.

다만 작년 신규 신청 대상자였던 2000년생은 종전 방식이 적용되므로 분기별로 신청해야 합니다.

사용 항목의 경우 사업 목적에 맞게 제한해 대학등록금, 어학연수비, 학원수강료, 응시료, 면접 준비금, 창업 임대료, 통신요금, 주거비(월세), 문화·예술·스포츠 활동비 등 9개 분야에만 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인용 경기도 청년기회과장은 “청년기본소득의 당사자인 청년들과 각계 의견을 담아 기존의 장점을 살리면서 단점을 개선하고자 노력했다”면서 “앞으로도 청년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정책이 될 수 있게 지속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