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특별법 급물살’ 반응은?…권성동은 ‘중국 9.9.6 문화’ 언급도 [지금뉴스]
입력 2025.02.04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등이 요구해 온 반도체 특별법의 핵심은 일정 소득 이상의 연구개발 노동자들을 주52시간 근로제에서 예외로 인정해 달라는 겁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어제 토론회에서 처음으로 공감한다는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1억 몇천 정도, 월 1천만 원 이상 이 정도 되는 고도의 전문적 연구자들에 대해서만 그리고 본인이 동의하는 조건에서 총 노동시간을 늘리는 게 아니라 특정 시기에 집중하는 정도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냐, 저도 많이 공감이 돼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한발 더 나아갔습니다.
오늘 중국의 AI 딥시크를 언급하며 반도체특별법을 빨리 통과시키자고 했습니다.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
"중국 탱크업계의 연구개발직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 6일 근무를 뜻하는 '996 문화'가 일반적이며 법정 근로시간이 있지만 노사 합의로 탄력적인 연장이 가능합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노동계는 반도체특별법 논의를 중단하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를 향해서도 특별법 처리 여부가 대선 행보의 척도가 될 거라며 견제했습니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어제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연구개발 직군 응답자 904명 가운데 90%는 반도체특별법 도입에 반대했습니다.
노조에 따르면 한 응답자는 "현재 조직문화에선 고과를 받고자 시간만 채우는 인력이 늘 것이고, 이는 회사 성과와 전혀 관련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3년 연속 상위 고과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다른 응답자는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려면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는데, 52시간 초과근무로 혁신하겠다는 건 업무 성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익명 직장인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는 반대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찬성 의견도 일부 있습니다.
더 일하고 더 벌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일이 몰리거나 잘 풀릴 때 퇴근하는 경우가 있어 특별법 추진에 동의한다는 내용입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달 안에 국회에서 반도체특별법을 결론 내자는 입장을 오늘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어제 토론회에서 처음으로 공감한다는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1억 몇천 정도, 월 1천만 원 이상 이 정도 되는 고도의 전문적 연구자들에 대해서만 그리고 본인이 동의하는 조건에서 총 노동시간을 늘리는 게 아니라 특정 시기에 집중하는 정도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냐, 저도 많이 공감이 돼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한발 더 나아갔습니다.
오늘 중국의 AI 딥시크를 언급하며 반도체특별법을 빨리 통과시키자고 했습니다.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
"중국 탱크업계의 연구개발직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 6일 근무를 뜻하는 '996 문화'가 일반적이며 법정 근로시간이 있지만 노사 합의로 탄력적인 연장이 가능합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노동계는 반도체특별법 논의를 중단하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를 향해서도 특별법 처리 여부가 대선 행보의 척도가 될 거라며 견제했습니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어제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연구개발 직군 응답자 904명 가운데 90%는 반도체특별법 도입에 반대했습니다.
노조에 따르면 한 응답자는 "현재 조직문화에선 고과를 받고자 시간만 채우는 인력이 늘 것이고, 이는 회사 성과와 전혀 관련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3년 연속 상위 고과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다른 응답자는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려면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는데, 52시간 초과근무로 혁신하겠다는 건 업무 성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익명 직장인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는 반대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찬성 의견도 일부 있습니다.
더 일하고 더 벌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일이 몰리거나 잘 풀릴 때 퇴근하는 경우가 있어 특별법 추진에 동의한다는 내용입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달 안에 국회에서 반도체특별법을 결론 내자는 입장을 오늘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반도체특별법 급물살’ 반응은?…권성동은 ‘중국 9.9.6 문화’ 언급도 [지금뉴스]
-
- 입력 2025-02-04 15:00:57
삼성전자 등이 요구해 온 반도체 특별법의 핵심은 일정 소득 이상의 연구개발 노동자들을 주52시간 근로제에서 예외로 인정해 달라는 겁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어제 토론회에서 처음으로 공감한다는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1억 몇천 정도, 월 1천만 원 이상 이 정도 되는 고도의 전문적 연구자들에 대해서만 그리고 본인이 동의하는 조건에서 총 노동시간을 늘리는 게 아니라 특정 시기에 집중하는 정도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냐, 저도 많이 공감이 돼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한발 더 나아갔습니다.
오늘 중국의 AI 딥시크를 언급하며 반도체특별법을 빨리 통과시키자고 했습니다.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
"중국 탱크업계의 연구개발직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 6일 근무를 뜻하는 '996 문화'가 일반적이며 법정 근로시간이 있지만 노사 합의로 탄력적인 연장이 가능합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노동계는 반도체특별법 논의를 중단하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를 향해서도 특별법 처리 여부가 대선 행보의 척도가 될 거라며 견제했습니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어제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연구개발 직군 응답자 904명 가운데 90%는 반도체특별법 도입에 반대했습니다.
노조에 따르면 한 응답자는 "현재 조직문화에선 고과를 받고자 시간만 채우는 인력이 늘 것이고, 이는 회사 성과와 전혀 관련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3년 연속 상위 고과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다른 응답자는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려면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는데, 52시간 초과근무로 혁신하겠다는 건 업무 성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익명 직장인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는 반대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찬성 의견도 일부 있습니다.
더 일하고 더 벌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일이 몰리거나 잘 풀릴 때 퇴근하는 경우가 있어 특별법 추진에 동의한다는 내용입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달 안에 국회에서 반도체특별법을 결론 내자는 입장을 오늘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어제 토론회에서 처음으로 공감한다는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1억 몇천 정도, 월 1천만 원 이상 이 정도 되는 고도의 전문적 연구자들에 대해서만 그리고 본인이 동의하는 조건에서 총 노동시간을 늘리는 게 아니라 특정 시기에 집중하는 정도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게 합리적이지 않냐, 저도 많이 공감이 돼요."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한발 더 나아갔습니다.
오늘 중국의 AI 딥시크를 언급하며 반도체특별법을 빨리 통과시키자고 했습니다.
[권성동/국민의힘 원내대표]
"중국 탱크업계의 연구개발직은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주 6일 근무를 뜻하는 '996 문화'가 일반적이며 법정 근로시간이 있지만 노사 합의로 탄력적인 연장이 가능합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노동계는 반도체특별법 논의를 중단하라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재명 대표를 향해서도 특별법 처리 여부가 대선 행보의 척도가 될 거라며 견제했습니다.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어제 공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연구개발 직군 응답자 904명 가운데 90%는 반도체특별법 도입에 반대했습니다.
노조에 따르면 한 응답자는 "현재 조직문화에선 고과를 받고자 시간만 채우는 인력이 늘 것이고, 이는 회사 성과와 전혀 관련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3년 연속 상위 고과를 받았다고 주장하는 다른 응답자는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려면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하는데, 52시간 초과근무로 혁신하겠다는 건 업무 성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구시대적 발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익명 직장인 커뮤니티인 블라인드에는 반대 의견이 우세한 가운데, 찬성 의견도 일부 있습니다.
더 일하고 더 벌고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일이 몰리거나 잘 풀릴 때 퇴근하는 경우가 있어 특별법 추진에 동의한다는 내용입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이달 안에 국회에서 반도체특별법을 결론 내자는 입장을 오늘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윤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