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미국 상품에 10~15% 관세”…미 추가 관세에 ‘맞불’

입력 2025.02.04 (15:22) 수정 2025.02.04 (15: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이 미국의 10% 추가 관세 부과에 맞서 미국산 상품에 보복 관세 부과를 발표했습니다.

중국 국무원 관세위원회는 오늘(4일) 미국산 일부 상품에 10%, 석탄과 LNG(액화천연가스)에는 15%의 추가 관세를 오는 10일부터 물린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의 이 같은 발표는 미 현지 시각 4일 0시, 중국 전체 상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가 미국에서 발효되자 곧바로 나왔습니다.

중국 관세위원회는 미국의 이 같은 관세 부과가 “세계무역기구의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다”면서 “중국과 미국의 정상적인 경제 및 무역 협력을 방해한다”고 했습니다.

이어 중국법과 국제법 기본 원칙에 따라 미국산 상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며, 이번 조치가 ‘보복 관세’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중국이 오는 10일부터 10%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한 미국산 상품은 원유와 농기계, 대형차, 픽업트럭 등이며, 석탄과 LNG에는 15% 부과가 예고됐습니다.

중국은 또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구글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고, 상무부는 텅스텐과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등의 수출통제 조치도 발표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이와 함께 타미힐피거와 캘빈클라인 등 유명 브랜드들을 산하에 둔 패션 기업 PVH 그룹과 생명공학 업체 일루미나 등 2개 미국 기업을 ‘신뢰할 수 없는 업체’ 명단에 올렸습니다.

미국의 10%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고도 밝혔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앞서 같은 날 추가 관세 발효를 예고했던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조치를 한 달간 유예한다고 밝히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도 24시간 내에 통화하겠다고 했지만, 실제 통화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중국이 ‘보복 관세’ 시행 시점을 오는 10일로 정한 만큼, 남은 기간 미중 정상 사이 타협이 이뤄질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미국 상품에 10~15% 관세”…미 추가 관세에 ‘맞불’
    • 입력 2025-02-04 15:22:43
    • 수정2025-02-04 15:23:56
    국제
중국이 미국의 10% 추가 관세 부과에 맞서 미국산 상품에 보복 관세 부과를 발표했습니다.

중국 국무원 관세위원회는 오늘(4일) 미국산 일부 상품에 10%, 석탄과 LNG(액화천연가스)에는 15%의 추가 관세를 오는 10일부터 물린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의 이 같은 발표는 미 현지 시각 4일 0시, 중국 전체 상품에 대한 10% 추가 관세가 미국에서 발효되자 곧바로 나왔습니다.

중국 관세위원회는 미국의 이 같은 관세 부과가 “세계무역기구의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다”면서 “중국과 미국의 정상적인 경제 및 무역 협력을 방해한다”고 했습니다.

이어 중국법과 국제법 기본 원칙에 따라 미국산 상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며, 이번 조치가 ‘보복 관세’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중국이 오는 10일부터 10% 추가 관세 부과를 예고한 미국산 상품은 원유와 농기계, 대형차, 픽업트럭 등이며, 석탄과 LNG에는 15% 부과가 예고됐습니다.

중국은 또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구글에 대한 조사를 개시했고, 상무부는 텅스텐과 텔루륨, 비스무트, 몰리브덴, 인듐 등의 수출통제 조치도 발표했습니다.

중국 상무부는 이와 함께 타미힐피거와 캘빈클라인 등 유명 브랜드들을 산하에 둔 패션 기업 PVH 그룹과 생명공학 업체 일루미나 등 2개 미국 기업을 ‘신뢰할 수 없는 업체’ 명단에 올렸습니다.

미국의 10% 추가 관세 부과 조치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했다고도 밝혔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앞서 같은 날 추가 관세 발효를 예고했던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관세 조치를 한 달간 유예한다고 밝히면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도 24시간 내에 통화하겠다고 했지만, 실제 통화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중국이 ‘보복 관세’ 시행 시점을 오는 10일로 정한 만큼, 남은 기간 미중 정상 사이 타협이 이뤄질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