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믿겠다 트럼프”…관세 유예에도 신뢰 회복은 물음표
입력 2025.02.04 (21:28)
수정 2025.02.04 (22:0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보신 것처럼 캐나다와 멕시코엔 관세 부과 조치가 미뤄지긴 했지만 긴장감은 여전합니다.
캐나다 현지 분위기는 어떤지 특파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박일중 특파원, 미국이 부과하겠다던 관세가 전격 유예됐습니다.
캐나다 현지 반응은 어떻습니까?
[리포트]
네, 제가 와 있는 곳은 캐나다 토론토입니다.
캐나다의 경제 수도로 그만큼 관세 문제에 더 민감한 곳입니다.
일단은 30일 시간을 번 만큼 안도하는 분위기도 있는데,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게 아니기 때문에 트럼프 정부에 대한 불신과 불만도 여전해 보입니다.
캐나다에선 미국 제품 불매 운동도 이미 시작된 상태인데요.
그 현장과 관세 부과가 미뤄진 이후 시민들의 반응을 들어봤습니다.
토론토 시내의 주류 판매점입니다.
이곳은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는 대로, 미국산 술은 아예 판매대에서 치울 계획이었습니다.
[주류 판매점 직원 : "저도 어제 그 얘기를 막 들었어요. 정확히 어떻게 돼가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시민들의 캐나다산 구매 운동은 이미 달아올랐습니다.
미국산 오렌지주스 대신 스페인산을 마시거나 오랜 생활 습관을 바꿔, 다른 과일주스를 찾겠다고 할 정도입니다.
[에밀리/토론토 시민 : "전 캐나다산 제품을 사는데, 모든 물건을 확인하지는 않았어요, 이젠 더 자세히 볼 겁니다."]
관세 부과가 미뤄지긴 했어도 변덕스러운 트럼프는 믿기 어렵다는 시민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벨린다/토론토 시민 : "트럼프는 비열한 사람이에요. 만일 트럼프가 지금 생각을 바꿨으면, 또 바꿀 겁니다. 믿으면 안 돼요."]
캐나다와 미국은 가장 가까운 동맹이 아니냐는 질문에 과거형으로 동맹'이었다'라는 시민들의 답도 있었습니다.
그만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캐나다 국민들의 생각을 근본부터 흔들어 놓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토론토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서대영/영상편집:김대범/자료조사:최유나 김시온
보신 것처럼 캐나다와 멕시코엔 관세 부과 조치가 미뤄지긴 했지만 긴장감은 여전합니다.
캐나다 현지 분위기는 어떤지 특파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박일중 특파원, 미국이 부과하겠다던 관세가 전격 유예됐습니다.
캐나다 현지 반응은 어떻습니까?
[리포트]
네, 제가 와 있는 곳은 캐나다 토론토입니다.
캐나다의 경제 수도로 그만큼 관세 문제에 더 민감한 곳입니다.
일단은 30일 시간을 번 만큼 안도하는 분위기도 있는데,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게 아니기 때문에 트럼프 정부에 대한 불신과 불만도 여전해 보입니다.
캐나다에선 미국 제품 불매 운동도 이미 시작된 상태인데요.
그 현장과 관세 부과가 미뤄진 이후 시민들의 반응을 들어봤습니다.
토론토 시내의 주류 판매점입니다.
이곳은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는 대로, 미국산 술은 아예 판매대에서 치울 계획이었습니다.
[주류 판매점 직원 : "저도 어제 그 얘기를 막 들었어요. 정확히 어떻게 돼가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시민들의 캐나다산 구매 운동은 이미 달아올랐습니다.
미국산 오렌지주스 대신 스페인산을 마시거나 오랜 생활 습관을 바꿔, 다른 과일주스를 찾겠다고 할 정도입니다.
[에밀리/토론토 시민 : "전 캐나다산 제품을 사는데, 모든 물건을 확인하지는 않았어요, 이젠 더 자세히 볼 겁니다."]
관세 부과가 미뤄지긴 했어도 변덕스러운 트럼프는 믿기 어렵다는 시민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벨린다/토론토 시민 : "트럼프는 비열한 사람이에요. 만일 트럼프가 지금 생각을 바꿨으면, 또 바꿀 겁니다. 믿으면 안 돼요."]
캐나다와 미국은 가장 가까운 동맹이 아니냐는 질문에 과거형으로 동맹'이었다'라는 시민들의 답도 있었습니다.
그만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캐나다 국민들의 생각을 근본부터 흔들어 놓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토론토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서대영/영상편집:김대범/자료조사:최유나 김시온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못 믿겠다 트럼프”…관세 유예에도 신뢰 회복은 물음표
-
- 입력 2025-02-04 21:28:21
- 수정2025-02-04 22:05:20
[앵커]
보신 것처럼 캐나다와 멕시코엔 관세 부과 조치가 미뤄지긴 했지만 긴장감은 여전합니다.
캐나다 현지 분위기는 어떤지 특파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박일중 특파원, 미국이 부과하겠다던 관세가 전격 유예됐습니다.
캐나다 현지 반응은 어떻습니까?
[리포트]
네, 제가 와 있는 곳은 캐나다 토론토입니다.
캐나다의 경제 수도로 그만큼 관세 문제에 더 민감한 곳입니다.
일단은 30일 시간을 번 만큼 안도하는 분위기도 있는데,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게 아니기 때문에 트럼프 정부에 대한 불신과 불만도 여전해 보입니다.
캐나다에선 미국 제품 불매 운동도 이미 시작된 상태인데요.
그 현장과 관세 부과가 미뤄진 이후 시민들의 반응을 들어봤습니다.
토론토 시내의 주류 판매점입니다.
이곳은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는 대로, 미국산 술은 아예 판매대에서 치울 계획이었습니다.
[주류 판매점 직원 : "저도 어제 그 얘기를 막 들었어요. 정확히 어떻게 돼가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시민들의 캐나다산 구매 운동은 이미 달아올랐습니다.
미국산 오렌지주스 대신 스페인산을 마시거나 오랜 생활 습관을 바꿔, 다른 과일주스를 찾겠다고 할 정도입니다.
[에밀리/토론토 시민 : "전 캐나다산 제품을 사는데, 모든 물건을 확인하지는 않았어요, 이젠 더 자세히 볼 겁니다."]
관세 부과가 미뤄지긴 했어도 변덕스러운 트럼프는 믿기 어렵다는 시민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벨린다/토론토 시민 : "트럼프는 비열한 사람이에요. 만일 트럼프가 지금 생각을 바꿨으면, 또 바꿀 겁니다. 믿으면 안 돼요."]
캐나다와 미국은 가장 가까운 동맹이 아니냐는 질문에 과거형으로 동맹'이었다'라는 시민들의 답도 있었습니다.
그만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캐나다 국민들의 생각을 근본부터 흔들어 놓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토론토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서대영/영상편집:김대범/자료조사:최유나 김시온
보신 것처럼 캐나다와 멕시코엔 관세 부과 조치가 미뤄지긴 했지만 긴장감은 여전합니다.
캐나다 현지 분위기는 어떤지 특파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박일중 특파원, 미국이 부과하겠다던 관세가 전격 유예됐습니다.
캐나다 현지 반응은 어떻습니까?
[리포트]
네, 제가 와 있는 곳은 캐나다 토론토입니다.
캐나다의 경제 수도로 그만큼 관세 문제에 더 민감한 곳입니다.
일단은 30일 시간을 번 만큼 안도하는 분위기도 있는데, 불씨가 완전히 꺼진 게 아니기 때문에 트럼프 정부에 대한 불신과 불만도 여전해 보입니다.
캐나다에선 미국 제품 불매 운동도 이미 시작된 상태인데요.
그 현장과 관세 부과가 미뤄진 이후 시민들의 반응을 들어봤습니다.
토론토 시내의 주류 판매점입니다.
이곳은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는 대로, 미국산 술은 아예 판매대에서 치울 계획이었습니다.
[주류 판매점 직원 : "저도 어제 그 얘기를 막 들었어요. 정확히 어떻게 돼가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시민들의 캐나다산 구매 운동은 이미 달아올랐습니다.
미국산 오렌지주스 대신 스페인산을 마시거나 오랜 생활 습관을 바꿔, 다른 과일주스를 찾겠다고 할 정도입니다.
[에밀리/토론토 시민 : "전 캐나다산 제품을 사는데, 모든 물건을 확인하지는 않았어요, 이젠 더 자세히 볼 겁니다."]
관세 부과가 미뤄지긴 했어도 변덕스러운 트럼프는 믿기 어렵다는 시민도 만날 수 있었습니다.
[벨린다/토론토 시민 : "트럼프는 비열한 사람이에요. 만일 트럼프가 지금 생각을 바꿨으면, 또 바꿀 겁니다. 믿으면 안 돼요."]
캐나다와 미국은 가장 가까운 동맹이 아니냐는 질문에 과거형으로 동맹'이었다'라는 시민들의 답도 있었습니다.
그만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압박이 캐나다 국민들의 생각을 근본부터 흔들어 놓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토론토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촬영:서대영/영상편집:김대범/자료조사:최유나 김시온
-
-
박일중 기자 baikal@kbs.co.kr
박일중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