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온난화로 무려 20도 상승…한반도 한파 원인
입력 2025.02.05 (15:49)
수정 2025.02.05 (15: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극 온난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돼 최근에는 북극의 기온이 예년 평균기온보다 20도 이상 높아지기도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극 온난화는 한반도를 괴롭히는 혹한의 원인으로도 지목됩니다.
현지 시각 4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유럽연합(EU)의 기후변화 감시 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연구소(C3S) 관측 결과 이달 2일 기준 북극 기온이 1991∼2020년 평균보다 20도 이상 높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북위 87도의 기온은 영하 1도까지 상승해 얼음이 녹는점인 0도에 가까워졌습니다.
핀란드 기상학자 미카 란타넨은 "매우 극단적인 겨울철 온난화 현상"이라며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극단적인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북극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중 가장 심각한 수준에 속한다"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기온이 아이슬란드 상공의 저기압과 만나 북극으로 따뜻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례적인 온난화 현상은 북극의 공기 흐름을 무너뜨려 찬 공기를 아래로 밀어 냈고, 이는 우리나라 한파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북극의 한기는 평소에는 '폴라 보텍스'(polar vortex)라는 거대한 소용돌이에 갇혀있습니다. 이 소용돌이의 회전력이 강할수록 찬 공기는 북극에 갇혀 한반도까지는 내려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북극의 기온이 오르면 폴라 보텍스를 잡아두던 제트기류가 힘을 잃으면서 냉기류가 남하해 한반도까지 혹한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문제는 북극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가디언에 따르면 화석 연료 연소 등으로 지구의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1.3도가량 높아졌지만, 햇빛을 반사하던 얼음이 녹으면서 극지방의 온난화는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북극은 1979년 이후 지구 평균보다 4배가량 빠르게 온난화 됐습니다.
함부르크 대학의 기후학자 더크 노츠는 빙점 이상으로 기온이 올라가면 얼음이 녹기 때문에 온난화가 더욱 우려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기온이 계속 상승하는 한 얼음이 점점 더 사라진다는 것은 자명하다"며 "북극해가 향후 20년 안에 처음으로 여름 해빙을 잃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현지 시각 4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유럽연합(EU)의 기후변화 감시 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연구소(C3S) 관측 결과 이달 2일 기준 북극 기온이 1991∼2020년 평균보다 20도 이상 높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북위 87도의 기온은 영하 1도까지 상승해 얼음이 녹는점인 0도에 가까워졌습니다.
핀란드 기상학자 미카 란타넨은 "매우 극단적인 겨울철 온난화 현상"이라며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극단적인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북극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중 가장 심각한 수준에 속한다"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기온이 아이슬란드 상공의 저기압과 만나 북극으로 따뜻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례적인 온난화 현상은 북극의 공기 흐름을 무너뜨려 찬 공기를 아래로 밀어 냈고, 이는 우리나라 한파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북극의 한기는 평소에는 '폴라 보텍스'(polar vortex)라는 거대한 소용돌이에 갇혀있습니다. 이 소용돌이의 회전력이 강할수록 찬 공기는 북극에 갇혀 한반도까지는 내려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북극의 기온이 오르면 폴라 보텍스를 잡아두던 제트기류가 힘을 잃으면서 냉기류가 남하해 한반도까지 혹한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문제는 북극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가디언에 따르면 화석 연료 연소 등으로 지구의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1.3도가량 높아졌지만, 햇빛을 반사하던 얼음이 녹으면서 극지방의 온난화는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북극은 1979년 이후 지구 평균보다 4배가량 빠르게 온난화 됐습니다.
함부르크 대학의 기후학자 더크 노츠는 빙점 이상으로 기온이 올라가면 얼음이 녹기 때문에 온난화가 더욱 우려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기온이 계속 상승하는 한 얼음이 점점 더 사라진다는 것은 자명하다"며 "북극해가 향후 20년 안에 처음으로 여름 해빙을 잃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북극 온난화로 무려 20도 상승…한반도 한파 원인
-
- 입력 2025-02-05 15:49:18
- 수정2025-02-05 15:58:31
북극 온난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진행돼 최근에는 북극의 기온이 예년 평균기온보다 20도 이상 높아지기도 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북극 온난화는 한반도를 괴롭히는 혹한의 원인으로도 지목됩니다.
현지 시각 4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유럽연합(EU)의 기후변화 감시 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연구소(C3S) 관측 결과 이달 2일 기준 북극 기온이 1991∼2020년 평균보다 20도 이상 높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북위 87도의 기온은 영하 1도까지 상승해 얼음이 녹는점인 0도에 가까워졌습니다.
핀란드 기상학자 미카 란타넨은 "매우 극단적인 겨울철 온난화 현상"이라며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극단적인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북극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중 가장 심각한 수준에 속한다"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기온이 아이슬란드 상공의 저기압과 만나 북극으로 따뜻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례적인 온난화 현상은 북극의 공기 흐름을 무너뜨려 찬 공기를 아래로 밀어 냈고, 이는 우리나라 한파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북극의 한기는 평소에는 '폴라 보텍스'(polar vortex)라는 거대한 소용돌이에 갇혀있습니다. 이 소용돌이의 회전력이 강할수록 찬 공기는 북극에 갇혀 한반도까지는 내려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북극의 기온이 오르면 폴라 보텍스를 잡아두던 제트기류가 힘을 잃으면서 냉기류가 남하해 한반도까지 혹한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문제는 북극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가디언에 따르면 화석 연료 연소 등으로 지구의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1.3도가량 높아졌지만, 햇빛을 반사하던 얼음이 녹으면서 극지방의 온난화는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북극은 1979년 이후 지구 평균보다 4배가량 빠르게 온난화 됐습니다.
함부르크 대학의 기후학자 더크 노츠는 빙점 이상으로 기온이 올라가면 얼음이 녹기 때문에 온난화가 더욱 우려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기온이 계속 상승하는 한 얼음이 점점 더 사라진다는 것은 자명하다"며 "북극해가 향후 20년 안에 처음으로 여름 해빙을 잃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현지 시각 4일 영국 일간 가디언은 유럽연합(EU)의 기후변화 감시 기구인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연구소(C3S) 관측 결과 이달 2일 기준 북극 기온이 1991∼2020년 평균보다 20도 이상 높았다고 보도했습니다. 북위 87도의 기온은 영하 1도까지 상승해 얼음이 녹는점인 0도에 가까워졌습니다.
핀란드 기상학자 미카 란타넨은 "매우 극단적인 겨울철 온난화 현상"이라며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극단적인 상황까지는 아니지만 북극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중 가장 심각한 수준에 속한다"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처럼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기온이 아이슬란드 상공의 저기압과 만나 북극으로 따뜻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례적인 온난화 현상은 북극의 공기 흐름을 무너뜨려 찬 공기를 아래로 밀어 냈고, 이는 우리나라 한파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북극의 한기는 평소에는 '폴라 보텍스'(polar vortex)라는 거대한 소용돌이에 갇혀있습니다. 이 소용돌이의 회전력이 강할수록 찬 공기는 북극에 갇혀 한반도까지는 내려오지 않습니다. 그러나 북극의 기온이 오르면 폴라 보텍스를 잡아두던 제트기류가 힘을 잃으면서 냉기류가 남하해 한반도까지 혹한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문제는 북극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가디언에 따르면 화석 연료 연소 등으로 지구의 온도는 산업화 이전보다 1.3도가량 높아졌지만, 햇빛을 반사하던 얼음이 녹으면서 극지방의 온난화는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북극은 1979년 이후 지구 평균보다 4배가량 빠르게 온난화 됐습니다.
함부르크 대학의 기후학자 더크 노츠는 빙점 이상으로 기온이 올라가면 얼음이 녹기 때문에 온난화가 더욱 우려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기온이 계속 상승하는 한 얼음이 점점 더 사라진다는 것은 자명하다"며 "북극해가 향후 20년 안에 처음으로 여름 해빙을 잃을 수 있다"고 짚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