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6G 통신 핵심 ‘스타링크’…미래기술 날개 달까?
입력 2025.02.05 (19:15)
수정 2025.02.05 (19:4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르면 올 상반기부터 국내에서도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통신망이 잘 깔려 있는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거란 관측인데요.
그럼에도 스타링크가 국내에 진출하려는 이유, 강나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 2, 1.."]
스페이스X의 로켓 팰컨9이 지구 낮은 궤도에 '스타링크' 인공위성을 올려놓습니다.
위성이 지구와 가깝고 위성끼리 레이저 통신을 활용해 정보를 주고 받기 때문에 더 빨리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사용도 쉽습니다.
스페이스X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스타링크 단말기입니다.
이 단말기를 야외에 설치한 뒤 이용 요금을 결제하면, 누구나 언제든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승인 절차가 3월쯤 끝나면 이르면 올해 2분기부터 스타링크를 쓸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용 통신망이 촘촘히 깔려 있는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전망입니다.
[이성엽/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 "단말기(가격)가 좀 부담이고 속도도 그렇고 해서 지금 지상망이 워낙 잘 발달해 있는 한국에서는 그렇게 파급 효과가 크지 않을 거다."]
이에 따라 스타링크의 국내 진출은 6G시장 선점을 위한 포석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6G통신은 초고속과 실시간 정보 전송이 특징인데, 이는 자율주행 상용화 등에 필요한 기반 기술입니다.
7천여 개의 저궤도 위성을 갖고 있는 스타링크가 6G 통신 대중화를 위한 핵심열쇠가 될 수 있단 뜻입니다.
[강충구/위성통신포럼 집행위원장 : "위성은 일부, 그냥 한 부분이라고 봤는데 이제 한 부분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구성으로 보는 거죠. 그러니까 위성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해진 거죠."]
2030년까지 저궤도 위성 2기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인 우리나라는 이제 걸음마 단계입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영상편집:박경상
이르면 올 상반기부터 국내에서도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통신망이 잘 깔려 있는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거란 관측인데요.
그럼에도 스타링크가 국내에 진출하려는 이유, 강나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 2, 1.."]
스페이스X의 로켓 팰컨9이 지구 낮은 궤도에 '스타링크' 인공위성을 올려놓습니다.
위성이 지구와 가깝고 위성끼리 레이저 통신을 활용해 정보를 주고 받기 때문에 더 빨리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사용도 쉽습니다.
스페이스X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스타링크 단말기입니다.
이 단말기를 야외에 설치한 뒤 이용 요금을 결제하면, 누구나 언제든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승인 절차가 3월쯤 끝나면 이르면 올해 2분기부터 스타링크를 쓸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용 통신망이 촘촘히 깔려 있는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전망입니다.
[이성엽/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 "단말기(가격)가 좀 부담이고 속도도 그렇고 해서 지금 지상망이 워낙 잘 발달해 있는 한국에서는 그렇게 파급 효과가 크지 않을 거다."]
이에 따라 스타링크의 국내 진출은 6G시장 선점을 위한 포석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6G통신은 초고속과 실시간 정보 전송이 특징인데, 이는 자율주행 상용화 등에 필요한 기반 기술입니다.
7천여 개의 저궤도 위성을 갖고 있는 스타링크가 6G 통신 대중화를 위한 핵심열쇠가 될 수 있단 뜻입니다.
[강충구/위성통신포럼 집행위원장 : "위성은 일부, 그냥 한 부분이라고 봤는데 이제 한 부분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구성으로 보는 거죠. 그러니까 위성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해진 거죠."]
2030년까지 저궤도 위성 2기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인 우리나라는 이제 걸음마 단계입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영상편집:박경상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차세대 6G 통신 핵심 ‘스타링크’…미래기술 날개 달까?
-
- 입력 2025-02-05 19:15:03
- 수정2025-02-05 19:45:49
![](/data/news/2025/02/05/20250205_j28uxb.jpg)
[앵커]
이르면 올 상반기부터 국내에서도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통신망이 잘 깔려 있는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거란 관측인데요.
그럼에도 스타링크가 국내에 진출하려는 이유, 강나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 2, 1.."]
스페이스X의 로켓 팰컨9이 지구 낮은 궤도에 '스타링크' 인공위성을 올려놓습니다.
위성이 지구와 가깝고 위성끼리 레이저 통신을 활용해 정보를 주고 받기 때문에 더 빨리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사용도 쉽습니다.
스페이스X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스타링크 단말기입니다.
이 단말기를 야외에 설치한 뒤 이용 요금을 결제하면, 누구나 언제든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승인 절차가 3월쯤 끝나면 이르면 올해 2분기부터 스타링크를 쓸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용 통신망이 촘촘히 깔려 있는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전망입니다.
[이성엽/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 "단말기(가격)가 좀 부담이고 속도도 그렇고 해서 지금 지상망이 워낙 잘 발달해 있는 한국에서는 그렇게 파급 효과가 크지 않을 거다."]
이에 따라 스타링크의 국내 진출은 6G시장 선점을 위한 포석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6G통신은 초고속과 실시간 정보 전송이 특징인데, 이는 자율주행 상용화 등에 필요한 기반 기술입니다.
7천여 개의 저궤도 위성을 갖고 있는 스타링크가 6G 통신 대중화를 위한 핵심열쇠가 될 수 있단 뜻입니다.
[강충구/위성통신포럼 집행위원장 : "위성은 일부, 그냥 한 부분이라고 봤는데 이제 한 부분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구성으로 보는 거죠. 그러니까 위성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해진 거죠."]
2030년까지 저궤도 위성 2기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인 우리나라는 이제 걸음마 단계입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영상편집:박경상
이르면 올 상반기부터 국내에서도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통신망이 잘 깔려 있는 우리나라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거란 관측인데요.
그럼에도 스타링크가 국내에 진출하려는 이유, 강나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 2, 1.."]
스페이스X의 로켓 팰컨9이 지구 낮은 궤도에 '스타링크' 인공위성을 올려놓습니다.
위성이 지구와 가깝고 위성끼리 레이저 통신을 활용해 정보를 주고 받기 때문에 더 빨리 데이터를 보낼 수 있습니다.
사용도 쉽습니다.
스페이스X의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스타링크 단말기입니다.
이 단말기를 야외에 설치한 뒤 이용 요금을 결제하면, 누구나 언제든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승인 절차가 3월쯤 끝나면 이르면 올해 2분기부터 스타링크를 쓸 수 있습니다.
다만, 개인용 통신망이 촘촘히 깔려 있는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전망입니다.
[이성엽/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 : "단말기(가격)가 좀 부담이고 속도도 그렇고 해서 지금 지상망이 워낙 잘 발달해 있는 한국에서는 그렇게 파급 효과가 크지 않을 거다."]
이에 따라 스타링크의 국내 진출은 6G시장 선점을 위한 포석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6G통신은 초고속과 실시간 정보 전송이 특징인데, 이는 자율주행 상용화 등에 필요한 기반 기술입니다.
7천여 개의 저궤도 위성을 갖고 있는 스타링크가 6G 통신 대중화를 위한 핵심열쇠가 될 수 있단 뜻입니다.
[강충구/위성통신포럼 집행위원장 : "위성은 일부, 그냥 한 부분이라고 봤는데 이제 한 부분이 아니라 하나의 통합된 구성으로 보는 거죠. 그러니까 위성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해진 거죠."]
2030년까지 저궤도 위성 2기를 확보하는 것이 목표인 우리나라는 이제 걸음마 단계입니다.
KBS 뉴스 강나루입니다.
촬영기자:김상하/영상편집:박경상
-
-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강나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