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안 대신 ‘유대와 사마리아’로 부르자”…미 공화당 법안 발의
입력 2025.02.05 (21:46)
수정 2025.02.05 (21: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친이스라엘 행보를 이어가는 가운데 공화당에서 요르단강 서안을 이스라엘식 표현인 ‘유대와 사마리아’로 바꿔 부르자는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일부 공화당 의원들이 정부 문서에 ‘요르단강 서안’이라는 명칭 사용을 금지하고 ‘유대와 사마리아’라는 표현으로 대체하자는 법안을 발의했다고 현지 시각 어제(4일) 보도했습니다.
톰 코튼 상원의원은 “유대와 사마리아에 대한 유대인의 법적, 역사적 권리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며 “미국이 정치적 의도가 담긴 ‘서안’이라는 용어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클라우디아 테니 하원의원도 “이스라엘의 영토에 대한 정당한 주장을 재확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요르단강 서안은 국제법상으로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행정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정착민을 보내고 있습니다.
특히 극우세력을 중심으로는 서안에 성경적, 역사적 권리가 있다며 이스라엘 영토에 병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으로 워싱턴의 역학관계가 변하면서 이스라엘과 미국 우파의 이런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팽창주의 정책을 지지하고 있으며, 첫 번째 임기 당시 서안의 유대인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을 인정하는 내용의 중동 평화 구상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그는 지난 3일에는 이스라엘의 서안지구 합병을 지지하느냐는 질문에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겠다”면서도 “이스라엘의 영토는 매우 작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일부 공화당 의원들이 정부 문서에 ‘요르단강 서안’이라는 명칭 사용을 금지하고 ‘유대와 사마리아’라는 표현으로 대체하자는 법안을 발의했다고 현지 시각 어제(4일) 보도했습니다.
톰 코튼 상원의원은 “유대와 사마리아에 대한 유대인의 법적, 역사적 권리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며 “미국이 정치적 의도가 담긴 ‘서안’이라는 용어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클라우디아 테니 하원의원도 “이스라엘의 영토에 대한 정당한 주장을 재확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요르단강 서안은 국제법상으로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행정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정착민을 보내고 있습니다.
특히 극우세력을 중심으로는 서안에 성경적, 역사적 권리가 있다며 이스라엘 영토에 병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으로 워싱턴의 역학관계가 변하면서 이스라엘과 미국 우파의 이런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팽창주의 정책을 지지하고 있으며, 첫 번째 임기 당시 서안의 유대인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을 인정하는 내용의 중동 평화 구상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그는 지난 3일에는 이스라엘의 서안지구 합병을 지지하느냐는 질문에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겠다”면서도 “이스라엘의 영토는 매우 작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서안 대신 ‘유대와 사마리아’로 부르자”…미 공화당 법안 발의
-
- 입력 2025-02-05 21:46:47
- 수정2025-02-05 21:47:56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친이스라엘 행보를 이어가는 가운데 공화당에서 요르단강 서안을 이스라엘식 표현인 ‘유대와 사마리아’로 바꿔 부르자는 법안이 발의됐습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일부 공화당 의원들이 정부 문서에 ‘요르단강 서안’이라는 명칭 사용을 금지하고 ‘유대와 사마리아’라는 표현으로 대체하자는 법안을 발의했다고 현지 시각 어제(4일) 보도했습니다.
톰 코튼 상원의원은 “유대와 사마리아에 대한 유대인의 법적, 역사적 권리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며 “미국이 정치적 의도가 담긴 ‘서안’이라는 용어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클라우디아 테니 하원의원도 “이스라엘의 영토에 대한 정당한 주장을 재확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요르단강 서안은 국제법상으로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행정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정착민을 보내고 있습니다.
특히 극우세력을 중심으로는 서안에 성경적, 역사적 권리가 있다며 이스라엘 영토에 병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으로 워싱턴의 역학관계가 변하면서 이스라엘과 미국 우파의 이런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팽창주의 정책을 지지하고 있으며, 첫 번째 임기 당시 서안의 유대인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을 인정하는 내용의 중동 평화 구상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그는 지난 3일에는 이스라엘의 서안지구 합병을 지지하느냐는 질문에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겠다”면서도 “이스라엘의 영토는 매우 작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일부 공화당 의원들이 정부 문서에 ‘요르단강 서안’이라는 명칭 사용을 금지하고 ‘유대와 사마리아’라는 표현으로 대체하자는 법안을 발의했다고 현지 시각 어제(4일) 보도했습니다.
톰 코튼 상원의원은 “유대와 사마리아에 대한 유대인의 법적, 역사적 권리는 수천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며 “미국이 정치적 의도가 담긴 ‘서안’이라는 용어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클라우디아 테니 하원의원도 “이스라엘의 영토에 대한 정당한 주장을 재확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요르단강 서안은 국제법상으로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가 행정권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에 군대를 주둔시키고 정착민을 보내고 있습니다.
특히 극우세력을 중심으로는 서안에 성경적, 역사적 권리가 있다며 이스라엘 영토에 병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습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으로 워싱턴의 역학관계가 변하면서 이스라엘과 미국 우파의 이런 주장도 힘을 얻고 있다고 짚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의 팽창주의 정책을 지지하고 있으며, 첫 번째 임기 당시 서안의 유대인 정착촌에 대한 이스라엘 주권을 인정하는 내용의 중동 평화 구상을 내놓은 바 있습니다.
그는 지난 3일에는 이스라엘의 서안지구 합병을 지지하느냐는 질문에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겠다”면서도 “이스라엘의 영토는 매우 작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유호윤 기자 live@kbs.co.kr
유호윤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