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발 ‘출생시민권 제한’, 미 법원 또 제동 “250년 역사에 위배”
입력 2025.02.06 (10:57)
수정 2025.02.06 (10:5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출생시민권 제한’ 행정명령에 대해 연방법원이 또다시 제동을 걸었습니다.
현지시각 5일 영국 BBC에 따르면 데버러 보드먼 메릴랜드주 지방법원 판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출생시민권 제한에 대한 행정명령이 “250년에 걸친 우리의 출생시민권 역사에 위배된다”고 판결했습니다.
보드먼 판사는 사실상 미국 땅에서 태어난 모든 아기는 미국 시민이라면서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의 법과 전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대법원도 수정헌법 제14조의 시민권 조항에 대한 대통령의 해석을 단호히 거부했다면서 실제로 미국의 어느 법원도 대통령의 해석을 지지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판결이 기존 14일간의 효력 정지 기간 만료를 하루 앞두고 나오면서, 법적 절차 종료 시까지 해당 행정명령에 대한 효력 정지가 이어지고 이는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판결에 대해 항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앞서 시애틀 연방법원의 존 코에너 판사는 지난달 23일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명백히 위헌적”(blatantly unconstitutional)이라며 해당 행정명령의 효력을 14일간 정지한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취임 즉시 서명한 출생시민권 제한 행정명령은 어머니가 미국에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지 않으며 아버지가 미국 시민이 아니거나 합법 영주권자가 아닌 사람은 미국에서 태어나도 자동으로 시민권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어머니가 합법체류자더라도 일시 체류자 신분이거나, 아버지가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닌 경우도 포함되며 오는 19일 발효될 예정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UPI=연합뉴스]
현지시각 5일 영국 BBC에 따르면 데버러 보드먼 메릴랜드주 지방법원 판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출생시민권 제한에 대한 행정명령이 “250년에 걸친 우리의 출생시민권 역사에 위배된다”고 판결했습니다.
보드먼 판사는 사실상 미국 땅에서 태어난 모든 아기는 미국 시민이라면서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의 법과 전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대법원도 수정헌법 제14조의 시민권 조항에 대한 대통령의 해석을 단호히 거부했다면서 실제로 미국의 어느 법원도 대통령의 해석을 지지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판결이 기존 14일간의 효력 정지 기간 만료를 하루 앞두고 나오면서, 법적 절차 종료 시까지 해당 행정명령에 대한 효력 정지가 이어지고 이는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판결에 대해 항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앞서 시애틀 연방법원의 존 코에너 판사는 지난달 23일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명백히 위헌적”(blatantly unconstitutional)이라며 해당 행정명령의 효력을 14일간 정지한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취임 즉시 서명한 출생시민권 제한 행정명령은 어머니가 미국에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지 않으며 아버지가 미국 시민이 아니거나 합법 영주권자가 아닌 사람은 미국에서 태어나도 자동으로 시민권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어머니가 합법체류자더라도 일시 체류자 신분이거나, 아버지가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닌 경우도 포함되며 오는 19일 발효될 예정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UPI=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트럼프발 ‘출생시민권 제한’, 미 법원 또 제동 “250년 역사에 위배”
-
- 입력 2025-02-06 10:57:46
- 수정2025-02-06 10:58:5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출생시민권 제한’ 행정명령에 대해 연방법원이 또다시 제동을 걸었습니다.
현지시각 5일 영국 BBC에 따르면 데버러 보드먼 메릴랜드주 지방법원 판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출생시민권 제한에 대한 행정명령이 “250년에 걸친 우리의 출생시민권 역사에 위배된다”고 판결했습니다.
보드먼 판사는 사실상 미국 땅에서 태어난 모든 아기는 미국 시민이라면서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의 법과 전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대법원도 수정헌법 제14조의 시민권 조항에 대한 대통령의 해석을 단호히 거부했다면서 실제로 미국의 어느 법원도 대통령의 해석을 지지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판결이 기존 14일간의 효력 정지 기간 만료를 하루 앞두고 나오면서, 법적 절차 종료 시까지 해당 행정명령에 대한 효력 정지가 이어지고 이는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판결에 대해 항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앞서 시애틀 연방법원의 존 코에너 판사는 지난달 23일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명백히 위헌적”(blatantly unconstitutional)이라며 해당 행정명령의 효력을 14일간 정지한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취임 즉시 서명한 출생시민권 제한 행정명령은 어머니가 미국에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지 않으며 아버지가 미국 시민이 아니거나 합법 영주권자가 아닌 사람은 미국에서 태어나도 자동으로 시민권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어머니가 합법체류자더라도 일시 체류자 신분이거나, 아버지가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닌 경우도 포함되며 오는 19일 발효될 예정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UPI=연합뉴스]
현지시각 5일 영국 BBC에 따르면 데버러 보드먼 메릴랜드주 지방법원 판사는 트럼프 대통령의 출생시민권 제한에 대한 행정명령이 “250년에 걸친 우리의 출생시민권 역사에 위배된다”고 판결했습니다.
보드먼 판사는 사실상 미국 땅에서 태어난 모든 아기는 미국 시민이라면서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의 법과 전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대법원도 수정헌법 제14조의 시민권 조항에 대한 대통령의 해석을 단호히 거부했다면서 실제로 미국의 어느 법원도 대통령의 해석을 지지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판결이 기존 14일간의 효력 정지 기간 만료를 하루 앞두고 나오면서, 법적 절차 종료 시까지 해당 행정명령에 대한 효력 정지가 이어지고 이는 수개월 또는 수년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이번 판결에 대해 항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앞서 시애틀 연방법원의 존 코에너 판사는 지난달 23일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이 “명백히 위헌적”(blatantly unconstitutional)이라며 해당 행정명령의 효력을 14일간 정지한다고 결정한 바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20일 취임 즉시 서명한 출생시민권 제한 행정명령은 어머니가 미국에 합법적으로 체류하고 있지 않으며 아버지가 미국 시민이 아니거나 합법 영주권자가 아닌 사람은 미국에서 태어나도 자동으로 시민권을 주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어머니가 합법체류자더라도 일시 체류자 신분이거나, 아버지가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닌 경우도 포함되며 오는 19일 발효될 예정이었습니다.
[사진 출처 : UPI=연합뉴스]
-
-
양민효 기자 gonggam@kbs.co.kr
양민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