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이어 휴머노이드도…미국 패권 도전하는 중국 ‘기술굴기’
입력 2025.02.06 (16:41)
수정 2025.02.06 (16:4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딥시크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뿐만 아니라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도 미국 기술 패권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6일 보도했습니다.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중국 기업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로봇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나서고 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주 중국중앙TV(CCTV)의 춘제 갈라쇼 ‘춘완’(春晩)에서는 중국 로봇업체 유니트리로보틱스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H1’ 16대가 인간 무용수 16명과 함께 꾸민 무대가 가장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전통의상을 걸친 로봇과 무용수들은 호흡을 맞춰 중국 북부 지역 전통무용 ‘뉴양거’(扭秧歌)를 선보였는데, 특히 로봇들이 손수건 던졌다가 받기 등 어려운 동작을 소화해내자 관객 박수갈채가 이어졌습니다.
지난달 상하이에서는 중국의 첫 휴머노이드 로봇 훈련기지도 처음 공개됐습니다. 10개 회사의 로봇 102대가 걷기와 설거지, 볼트 조이기, 용접 등 다양한 동작을 선보여 인간과 로봇이 공존할 미래를 엿볼 수 있게 했습니다.
미중 양국은 로봇 패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각자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야는 다르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공급망 저변이 넓은 중국은 규모와 속도에 대한 투자에 역량을 기울이는 반면에, 미국은 테슬라 또는 오픈AI 같은 업계 판도를 바꾸는 거대 기업 중심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저장 휴머노이드로봇 혁신센터 쉬쉐청 수석 과학자는 SCMP에 “미국은 알려지지 않은 기술적 과제를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중국은 기존 기술을 통합해 실용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더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내 부품 생산, 시제품 설계 등 로봇 공급망 관련 기업은 수만 개에 달합니다. 딥시크가 오픈AI의 챗GPT 개발비 약 5%에 불과한 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AI 모델을 개발한 것처럼 중국산 휴머노이드 로봇의 강점 또한 가성비입니다.
전 세계 로봇 개의 70%를 생산하는 유니트리는 자사 양산형 모델 G1 가격을 9만 9,000위안(약 2,000만 원)으로 책정했습니다. 경쟁사 제품 가격은 보통 50만 위안(약 1억 원)이나 됩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2035년 휴머노이드 로봇 총 시장 규모가 380억 달러, 출하량은 14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전 예상보다 각각 6배와 4배 늘어난 수치입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040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이 지구 인구보다 많은 100억 대에 달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중국증권보는 이날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올해 중국 안팎 휴머노이드 로봇 선도 기업들이 AI 로봇 분야에 잇달아 진출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상업화 양산 원년을 맞이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지난해 7월 중국 상하이 세계인공지능대회에서 발표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시장 규모는 올해 53억 위안(약 1조 원)으로 지난해의 두 배 가까이 상승한 뒤 2029년 750억 위안(약 15조 원)으로 급증, 세계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 정부는 다른 첨단사업들처럼 보조금과 세금 인센티브, 민관 연구 협력, 산업 클러스터 개발 촉진 등을 통해 휴머노이드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올해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강력한 혁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대량 생산을 달성하며, 로봇을 제조 및 공공 서비스 분야와 통합한다는 목표를 2023년 제시했습니다.
지방에서는 저장성이 AI 및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중심지로 급부상했으며, 상하이시와 장쑤성 등도 각각 지역 이점을 활용해 자체 발전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시는 오는 4월 세계 첫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 대회를 개최합니다.
특히 2023년 말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2억 1,000만 명(전체 중국 인구의 15%)을 넘어 빠르게 고령화하는 중국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은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상관신문 캡처]
보도에 따르면 지난주 중국중앙TV(CCTV)의 춘제 갈라쇼 ‘춘완’(春晩)에서는 중국 로봇업체 유니트리로보틱스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H1’ 16대가 인간 무용수 16명과 함께 꾸민 무대가 가장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전통의상을 걸친 로봇과 무용수들은 호흡을 맞춰 중국 북부 지역 전통무용 ‘뉴양거’(扭秧歌)를 선보였는데, 특히 로봇들이 손수건 던졌다가 받기 등 어려운 동작을 소화해내자 관객 박수갈채가 이어졌습니다.
지난달 상하이에서는 중국의 첫 휴머노이드 로봇 훈련기지도 처음 공개됐습니다. 10개 회사의 로봇 102대가 걷기와 설거지, 볼트 조이기, 용접 등 다양한 동작을 선보여 인간과 로봇이 공존할 미래를 엿볼 수 있게 했습니다.
미중 양국은 로봇 패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각자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야는 다르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공급망 저변이 넓은 중국은 규모와 속도에 대한 투자에 역량을 기울이는 반면에, 미국은 테슬라 또는 오픈AI 같은 업계 판도를 바꾸는 거대 기업 중심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저장 휴머노이드로봇 혁신센터 쉬쉐청 수석 과학자는 SCMP에 “미국은 알려지지 않은 기술적 과제를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중국은 기존 기술을 통합해 실용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더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내 부품 생산, 시제품 설계 등 로봇 공급망 관련 기업은 수만 개에 달합니다. 딥시크가 오픈AI의 챗GPT 개발비 약 5%에 불과한 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AI 모델을 개발한 것처럼 중국산 휴머노이드 로봇의 강점 또한 가성비입니다.
전 세계 로봇 개의 70%를 생산하는 유니트리는 자사 양산형 모델 G1 가격을 9만 9,000위안(약 2,000만 원)으로 책정했습니다. 경쟁사 제품 가격은 보통 50만 위안(약 1억 원)이나 됩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2035년 휴머노이드 로봇 총 시장 규모가 380억 달러, 출하량은 14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전 예상보다 각각 6배와 4배 늘어난 수치입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040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이 지구 인구보다 많은 100억 대에 달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중국증권보는 이날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올해 중국 안팎 휴머노이드 로봇 선도 기업들이 AI 로봇 분야에 잇달아 진출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상업화 양산 원년을 맞이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지난해 7월 중국 상하이 세계인공지능대회에서 발표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시장 규모는 올해 53억 위안(약 1조 원)으로 지난해의 두 배 가까이 상승한 뒤 2029년 750억 위안(약 15조 원)으로 급증, 세계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 정부는 다른 첨단사업들처럼 보조금과 세금 인센티브, 민관 연구 협력, 산업 클러스터 개발 촉진 등을 통해 휴머노이드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올해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강력한 혁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대량 생산을 달성하며, 로봇을 제조 및 공공 서비스 분야와 통합한다는 목표를 2023년 제시했습니다.
지방에서는 저장성이 AI 및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중심지로 급부상했으며, 상하이시와 장쑤성 등도 각각 지역 이점을 활용해 자체 발전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시는 오는 4월 세계 첫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 대회를 개최합니다.
특히 2023년 말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2억 1,000만 명(전체 중국 인구의 15%)을 넘어 빠르게 고령화하는 중국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은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상관신문 캡처]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딥시크 이어 휴머노이드도…미국 패권 도전하는 중국 ‘기술굴기’
-
- 입력 2025-02-06 16:41:28
- 수정2025-02-06 16:44:20
딥시크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뿐만 아니라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도 미국 기술 패권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6일 보도했습니다.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중국 기업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로봇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나서고 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주 중국중앙TV(CCTV)의 춘제 갈라쇼 ‘춘완’(春晩)에서는 중국 로봇업체 유니트리로보틱스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H1’ 16대가 인간 무용수 16명과 함께 꾸민 무대가 가장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전통의상을 걸친 로봇과 무용수들은 호흡을 맞춰 중국 북부 지역 전통무용 ‘뉴양거’(扭秧歌)를 선보였는데, 특히 로봇들이 손수건 던졌다가 받기 등 어려운 동작을 소화해내자 관객 박수갈채가 이어졌습니다.
지난달 상하이에서는 중국의 첫 휴머노이드 로봇 훈련기지도 처음 공개됐습니다. 10개 회사의 로봇 102대가 걷기와 설거지, 볼트 조이기, 용접 등 다양한 동작을 선보여 인간과 로봇이 공존할 미래를 엿볼 수 있게 했습니다.
미중 양국은 로봇 패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각자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야는 다르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공급망 저변이 넓은 중국은 규모와 속도에 대한 투자에 역량을 기울이는 반면에, 미국은 테슬라 또는 오픈AI 같은 업계 판도를 바꾸는 거대 기업 중심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저장 휴머노이드로봇 혁신센터 쉬쉐청 수석 과학자는 SCMP에 “미국은 알려지지 않은 기술적 과제를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중국은 기존 기술을 통합해 실용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더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내 부품 생산, 시제품 설계 등 로봇 공급망 관련 기업은 수만 개에 달합니다. 딥시크가 오픈AI의 챗GPT 개발비 약 5%에 불과한 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AI 모델을 개발한 것처럼 중국산 휴머노이드 로봇의 강점 또한 가성비입니다.
전 세계 로봇 개의 70%를 생산하는 유니트리는 자사 양산형 모델 G1 가격을 9만 9,000위안(약 2,000만 원)으로 책정했습니다. 경쟁사 제품 가격은 보통 50만 위안(약 1억 원)이나 됩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2035년 휴머노이드 로봇 총 시장 규모가 380억 달러, 출하량은 14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전 예상보다 각각 6배와 4배 늘어난 수치입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040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이 지구 인구보다 많은 100억 대에 달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중국증권보는 이날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올해 중국 안팎 휴머노이드 로봇 선도 기업들이 AI 로봇 분야에 잇달아 진출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상업화 양산 원년을 맞이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지난해 7월 중국 상하이 세계인공지능대회에서 발표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시장 규모는 올해 53억 위안(약 1조 원)으로 지난해의 두 배 가까이 상승한 뒤 2029년 750억 위안(약 15조 원)으로 급증, 세계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 정부는 다른 첨단사업들처럼 보조금과 세금 인센티브, 민관 연구 협력, 산업 클러스터 개발 촉진 등을 통해 휴머노이드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올해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강력한 혁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대량 생산을 달성하며, 로봇을 제조 및 공공 서비스 분야와 통합한다는 목표를 2023년 제시했습니다.
지방에서는 저장성이 AI 및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중심지로 급부상했으며, 상하이시와 장쑤성 등도 각각 지역 이점을 활용해 자체 발전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시는 오는 4월 세계 첫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 대회를 개최합니다.
특히 2023년 말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2억 1,000만 명(전체 중국 인구의 15%)을 넘어 빠르게 고령화하는 중국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은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상관신문 캡처]
보도에 따르면 지난주 중국중앙TV(CCTV)의 춘제 갈라쇼 ‘춘완’(春晩)에서는 중국 로봇업체 유니트리로보틱스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H1’ 16대가 인간 무용수 16명과 함께 꾸민 무대가 가장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전통의상을 걸친 로봇과 무용수들은 호흡을 맞춰 중국 북부 지역 전통무용 ‘뉴양거’(扭秧歌)를 선보였는데, 특히 로봇들이 손수건 던졌다가 받기 등 어려운 동작을 소화해내자 관객 박수갈채가 이어졌습니다.
지난달 상하이에서는 중국의 첫 휴머노이드 로봇 훈련기지도 처음 공개됐습니다. 10개 회사의 로봇 102대가 걷기와 설거지, 볼트 조이기, 용접 등 다양한 동작을 선보여 인간과 로봇이 공존할 미래를 엿볼 수 있게 했습니다.
미중 양국은 로봇 패권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지만, 각자 우위를 점하고 있는 분야는 다르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공급망 저변이 넓은 중국은 규모와 속도에 대한 투자에 역량을 기울이는 반면에, 미국은 테슬라 또는 오픈AI 같은 업계 판도를 바꾸는 거대 기업 중심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저장 휴머노이드로봇 혁신센터 쉬쉐청 수석 과학자는 SCMP에 “미국은 알려지지 않은 기술적 과제를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고, 중국은 기존 기술을 통합해 실용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더 주력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내 부품 생산, 시제품 설계 등 로봇 공급망 관련 기업은 수만 개에 달합니다. 딥시크가 오픈AI의 챗GPT 개발비 약 5%에 불과한 비용으로 챗GPT에 맞먹는 AI 모델을 개발한 것처럼 중국산 휴머노이드 로봇의 강점 또한 가성비입니다.
전 세계 로봇 개의 70%를 생산하는 유니트리는 자사 양산형 모델 G1 가격을 9만 9,000위안(약 2,000만 원)으로 책정했습니다. 경쟁사 제품 가격은 보통 50만 위안(약 1억 원)이나 됩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해 보고서에서 2035년 휴머노이드 로봇 총 시장 규모가 380억 달러, 출하량은 140만 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이전 예상보다 각각 6배와 4배 늘어난 수치입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040년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이 지구 인구보다 많은 100억 대에 달할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중국증권보는 이날 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올해 중국 안팎 휴머노이드 로봇 선도 기업들이 AI 로봇 분야에 잇달아 진출해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이 상업화 양산 원년을 맞이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지난해 7월 중국 상하이 세계인공지능대회에서 발표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시장 규모는 올해 53억 위안(약 1조 원)으로 지난해의 두 배 가까이 상승한 뒤 2029년 750억 위안(약 15조 원)으로 급증, 세계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 정부는 다른 첨단사업들처럼 보조금과 세금 인센티브, 민관 연구 협력, 산업 클러스터 개발 촉진 등을 통해 휴머노이드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올해까지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강력한 혁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대량 생산을 달성하며, 로봇을 제조 및 공공 서비스 분야와 통합한다는 목표를 2023년 제시했습니다.
지방에서는 저장성이 AI 및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중심지로 급부상했으며, 상하이시와 장쑤성 등도 각각 지역 이점을 활용해 자체 발전 전략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베이징시는 오는 4월 세계 첫 휴머노이드 로봇 하프 마라톤 대회를 개최합니다.
특히 2023년 말 기준 65세 이상 인구가 2억 1,000만 명(전체 중국 인구의 15%)을 넘어 빠르게 고령화하는 중국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은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중국 상관신문 캡처]
-
-
김귀수 기자 seowoo10@kbs.co.kr
김귀수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