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 한파’…양식장·화훼농가 비상
입력 2025.02.06 (19:20)
수정 2025.02.06 (20: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을 지났지만 강추위의 기세는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7년 만에 맞은 '입춘 한파'에 전국이 꽁꽁 얼어붙은 가운데 양식장도, 화훼농가도 한파 피해 막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김효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통영 앞바다, 참돔 10만 마리를 키우는 양식장입니다.
저수온 폐사를 막기 위해 사료 공급을 중단하고, 물고기 활동 공간도 넓혔습니다.
난류성 어종인 참돔이 견딜 수 있는 가장 낮은 수온은 7도.
현재 수온이 8.5도 안팎이지만 여유를 가질 수 없습니다.
지난 설 연휴 수온이 한 때 7도까지 떨어졌던 터라 어민들은 저수온 피해가 걱정입니다.
[이경식/양식어민 : "음력 설 지나고 나면은, 입춘 되고 좀 따뜻한 게 있는데, 올해 유별스레 자꾸 한파가 (있어서), 혹시 이제 한계 수온 이하로 내려갈까 봐 노심초사 하고 있습니다."]
꽃 재배 농가가 밀집한 김해 대동 화훼단지 농민들도 이어지는 추위가 걱정입니다.
한겨울에 꽃을 피우기 위해, 영하권 온도를 영상 18도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전기 난방기 26대를 하루 종일 돌려야 합니다.
지난해 이맘때 한 달 전기세가 250만 원 정도였는데 올겨울은 2배입니다.
[정윤제/화훼 농민 : "입춘 (액)땜 하는지 (기온이) 영하 9도씩 일주일씩 가버리니까 난방기든 뭐 전기든 지금 완전 잔뜩 가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남 창원을 기준으로 지난해 입춘 보다 평균 기온은 4.4도 낮습니다.
사흘째 한파로 경남 일부 지역은 영하 12도 안팎까지 떨어지며 양식장도, 화훼농가도 한파 피해 방지에 온 힘을 쏟고 있습니다.
주말까지 강추위가 예보되면서 남은 사흘이 이번 겨울 한파 피해를 막기 위한 마지막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을 지났지만 강추위의 기세는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7년 만에 맞은 '입춘 한파'에 전국이 꽁꽁 얼어붙은 가운데 양식장도, 화훼농가도 한파 피해 막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김효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통영 앞바다, 참돔 10만 마리를 키우는 양식장입니다.
저수온 폐사를 막기 위해 사료 공급을 중단하고, 물고기 활동 공간도 넓혔습니다.
난류성 어종인 참돔이 견딜 수 있는 가장 낮은 수온은 7도.
현재 수온이 8.5도 안팎이지만 여유를 가질 수 없습니다.
지난 설 연휴 수온이 한 때 7도까지 떨어졌던 터라 어민들은 저수온 피해가 걱정입니다.
[이경식/양식어민 : "음력 설 지나고 나면은, 입춘 되고 좀 따뜻한 게 있는데, 올해 유별스레 자꾸 한파가 (있어서), 혹시 이제 한계 수온 이하로 내려갈까 봐 노심초사 하고 있습니다."]
꽃 재배 농가가 밀집한 김해 대동 화훼단지 농민들도 이어지는 추위가 걱정입니다.
한겨울에 꽃을 피우기 위해, 영하권 온도를 영상 18도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전기 난방기 26대를 하루 종일 돌려야 합니다.
지난해 이맘때 한 달 전기세가 250만 원 정도였는데 올겨울은 2배입니다.
[정윤제/화훼 농민 : "입춘 (액)땜 하는지 (기온이) 영하 9도씩 일주일씩 가버리니까 난방기든 뭐 전기든 지금 완전 잔뜩 가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남 창원을 기준으로 지난해 입춘 보다 평균 기온은 4.4도 낮습니다.
사흘째 한파로 경남 일부 지역은 영하 12도 안팎까지 떨어지며 양식장도, 화훼농가도 한파 피해 방지에 온 힘을 쏟고 있습니다.
주말까지 강추위가 예보되면서 남은 사흘이 이번 겨울 한파 피해를 막기 위한 마지막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입춘 한파’…양식장·화훼농가 비상
-
- 입력 2025-02-06 19:20:44
- 수정2025-02-06 20:07:43

[앵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을 지났지만 강추위의 기세는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7년 만에 맞은 '입춘 한파'에 전국이 꽁꽁 얼어붙은 가운데 양식장도, 화훼농가도 한파 피해 막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김효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통영 앞바다, 참돔 10만 마리를 키우는 양식장입니다.
저수온 폐사를 막기 위해 사료 공급을 중단하고, 물고기 활동 공간도 넓혔습니다.
난류성 어종인 참돔이 견딜 수 있는 가장 낮은 수온은 7도.
현재 수온이 8.5도 안팎이지만 여유를 가질 수 없습니다.
지난 설 연휴 수온이 한 때 7도까지 떨어졌던 터라 어민들은 저수온 피해가 걱정입니다.
[이경식/양식어민 : "음력 설 지나고 나면은, 입춘 되고 좀 따뜻한 게 있는데, 올해 유별스레 자꾸 한파가 (있어서), 혹시 이제 한계 수온 이하로 내려갈까 봐 노심초사 하고 있습니다."]
꽃 재배 농가가 밀집한 김해 대동 화훼단지 농민들도 이어지는 추위가 걱정입니다.
한겨울에 꽃을 피우기 위해, 영하권 온도를 영상 18도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전기 난방기 26대를 하루 종일 돌려야 합니다.
지난해 이맘때 한 달 전기세가 250만 원 정도였는데 올겨울은 2배입니다.
[정윤제/화훼 농민 : "입춘 (액)땜 하는지 (기온이) 영하 9도씩 일주일씩 가버리니까 난방기든 뭐 전기든 지금 완전 잔뜩 가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남 창원을 기준으로 지난해 입춘 보다 평균 기온은 4.4도 낮습니다.
사흘째 한파로 경남 일부 지역은 영하 12도 안팎까지 떨어지며 양식장도, 화훼농가도 한파 피해 방지에 온 힘을 쏟고 있습니다.
주말까지 강추위가 예보되면서 남은 사흘이 이번 겨울 한파 피해를 막기 위한 마지막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봄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을 지났지만 강추위의 기세는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7년 만에 맞은 '입춘 한파'에 전국이 꽁꽁 얼어붙은 가운데 양식장도, 화훼농가도 한파 피해 막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김효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경남 통영 앞바다, 참돔 10만 마리를 키우는 양식장입니다.
저수온 폐사를 막기 위해 사료 공급을 중단하고, 물고기 활동 공간도 넓혔습니다.
난류성 어종인 참돔이 견딜 수 있는 가장 낮은 수온은 7도.
현재 수온이 8.5도 안팎이지만 여유를 가질 수 없습니다.
지난 설 연휴 수온이 한 때 7도까지 떨어졌던 터라 어민들은 저수온 피해가 걱정입니다.
[이경식/양식어민 : "음력 설 지나고 나면은, 입춘 되고 좀 따뜻한 게 있는데, 올해 유별스레 자꾸 한파가 (있어서), 혹시 이제 한계 수온 이하로 내려갈까 봐 노심초사 하고 있습니다."]
꽃 재배 농가가 밀집한 김해 대동 화훼단지 농민들도 이어지는 추위가 걱정입니다.
한겨울에 꽃을 피우기 위해, 영하권 온도를 영상 18도 수준으로 끌어올리려면 전기 난방기 26대를 하루 종일 돌려야 합니다.
지난해 이맘때 한 달 전기세가 250만 원 정도였는데 올겨울은 2배입니다.
[정윤제/화훼 농민 : "입춘 (액)땜 하는지 (기온이) 영하 9도씩 일주일씩 가버리니까 난방기든 뭐 전기든 지금 완전 잔뜩 가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경남 창원을 기준으로 지난해 입춘 보다 평균 기온은 4.4도 낮습니다.
사흘째 한파로 경남 일부 지역은 영하 12도 안팎까지 떨어지며 양식장도, 화훼농가도 한파 피해 방지에 온 힘을 쏟고 있습니다.
주말까지 강추위가 예보되면서 남은 사흘이 이번 겨울 한파 피해를 막기 위한 마지막 고비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KBS 뉴스 김효경입니다.
촬영기자:김대현
-
-
김효경 기자 tellme@kbs.co.kr
김효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