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무역대표 후보 “미국은 생산국 돼야”…‘보호무역’ 속도전도 예고

입력 2025.02.07 (02:20) 수정 2025.02.07 (02:2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지명자는 6일(현지시각) "미국은 '생산자의 나라'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신념"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리어 지명자는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상원 재무위원회의 인사청문회 모두 발언을 통해 "미국인은 국내와 해외 시장에서 팔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해내는 좋은 급여의 일자리를 가질 기회를 얻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는 세계화의 시기에 미국 밖으로 나간 제조업 기반을 관세 등을 무기 삼아 미국 안으로 되돌려 놓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리어 지명자는 이어 "공급망의 회복 탄력성은 우리의 경제와 국가 안보에 매우 중요하다"며 "전략적 상품과 서비스, 농업 및 식량 공급망과 기술에서 회복 탄력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외국의 적들이 다른 나라를 침공하고 핵 무기고를 건설하며 미국의 기술 우위를 따라잡으려 하면서 우리는 글로벌 변동성과 불안, 갈등의 시대를 살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강한 제조업 기반과 혁신 경제를 가지지 않는다면 충돌을 억지하고 미국인을 보호할 '하드파워'를 거의 갖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어 지명자는 또 "무역 정책은 강력한 국가 안보로 귀결되는 경제적 안보를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우리가 미국의 이익에 더 부합하도록 국제무역 시스템을 재구성할 수 있는 비교적 짧은 시간을 갖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두 번째 임기를 최근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의 3선이 헌법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트럼프 2기 4년 동안 관세로 대표되는 '미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에 입각해 국제 무역 질서를 재편하는 데 속도전을 벌이겠다는 의지를 확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 무역대표부는 한국의 통상교섭본부와 유사한 성격이나 정부 직제상 대통령 직속 기관으로 국제 통상 교섭, 무역 정책의 수립과 집행, 불공정 무역 조사와 대응 등을 총괄하는 기관입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 무역대표 후보 “미국은 생산국 돼야”…‘보호무역’ 속도전도 예고
    • 입력 2025-02-07 02:20:36
    • 수정2025-02-07 02:22:18
    국제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지명자는 6일(현지시각) "미국은 '생산자의 나라'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신념"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리어 지명자는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상원 재무위원회의 인사청문회 모두 발언을 통해 "미국인은 국내와 해외 시장에서 팔 수 있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해내는 좋은 급여의 일자리를 가질 기회를 얻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는 세계화의 시기에 미국 밖으로 나간 제조업 기반을 관세 등을 무기 삼아 미국 안으로 되돌려 놓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리어 지명자는 이어 "공급망의 회복 탄력성은 우리의 경제와 국가 안보에 매우 중요하다"며 "전략적 상품과 서비스, 농업 및 식량 공급망과 기술에서 회복 탄력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외국의 적들이 다른 나라를 침공하고 핵 무기고를 건설하며 미국의 기술 우위를 따라잡으려 하면서 우리는 글로벌 변동성과 불안, 갈등의 시대를 살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강한 제조업 기반과 혁신 경제를 가지지 않는다면 충돌을 억지하고 미국인을 보호할 '하드파워'를 거의 갖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어 지명자는 또 "무역 정책은 강력한 국가 안보로 귀결되는 경제적 안보를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우리가 미국의 이익에 더 부합하도록 국제무역 시스템을 재구성할 수 있는 비교적 짧은 시간을 갖고 있다고 믿는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두 번째 임기를 최근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의 3선이 헌법상 불가능한 상황에서 트럼프 2기 4년 동안 관세로 대표되는 '미국 우선주의' 무역 정책에 입각해 국제 무역 질서를 재편하는 데 속도전을 벌이겠다는 의지를 확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미 무역대표부는 한국의 통상교섭본부와 유사한 성격이나 정부 직제상 대통령 직속 기관으로 국제 통상 교섭, 무역 정책의 수립과 집행, 불공정 무역 조사와 대응 등을 총괄하는 기관입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