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목 대행 “자본시장 밸류업 법안 2월 국회서 신속 논의돼야”
입력 2025.02.07 (15:38)
수정 2025.02.07 (15: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5/02/07/20250207_qIUA1z.jpg)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밸류업 지원 법안’(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2월 임시국회에서 신속히 논의될 수 있도록 국회와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 대행은 오늘(7일) 오전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주주환원 확대 기업’ 법인세 세액공제,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의 세제 조치를 거론하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대행은 “우리 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긴박한 만큼 첨단전략산업 지원을 위한 기금 신설 방안도 3월 중 국회에 제출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준비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국내외 금융·외환시장은 미국 신정부의 신규 관세부과, 딥시크 충격 등 글로벌 공통 요인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이 크다”며, “각 기관이 미국 등 주요국 정책과 국내 금융·외환시장 및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24시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라고도 강조했습니다.
오늘 간담회에는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도 참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최 대행은 오늘(7일) 오전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주주환원 확대 기업’ 법인세 세액공제,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의 세제 조치를 거론하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대행은 “우리 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긴박한 만큼 첨단전략산업 지원을 위한 기금 신설 방안도 3월 중 국회에 제출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준비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국내외 금융·외환시장은 미국 신정부의 신규 관세부과, 딥시크 충격 등 글로벌 공통 요인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이 크다”며, “각 기관이 미국 등 주요국 정책과 국내 금융·외환시장 및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24시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라고도 강조했습니다.
오늘 간담회에는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도 참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최상목 대행 “자본시장 밸류업 법안 2월 국회서 신속 논의돼야”
-
- 입력 2025-02-07 15:38:59
- 수정2025-02-07 15:39:43
![](/data/news/2025/02/07/20250207_qIUA1z.jpg)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해 ‘밸류업 지원 법안’(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2월 임시국회에서 신속히 논의될 수 있도록 국회와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최 대행은 오늘(7일) 오전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주주환원 확대 기업’ 법인세 세액공제,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의 세제 조치를 거론하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대행은 “우리 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긴박한 만큼 첨단전략산업 지원을 위한 기금 신설 방안도 3월 중 국회에 제출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준비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국내외 금융·외환시장은 미국 신정부의 신규 관세부과, 딥시크 충격 등 글로벌 공통 요인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이 크다”며, “각 기관이 미국 등 주요국 정책과 국내 금융·외환시장 및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24시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라고도 강조했습니다.
오늘 간담회에는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도 참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최 대행은 오늘(7일) 오전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에서 ‘주주환원 확대 기업’ 법인세 세액공제, 배당소득 분리과세 등의 세제 조치를 거론하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최 대행은 “우리 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긴박한 만큼 첨단전략산업 지원을 위한 기금 신설 방안도 3월 중 국회에 제출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준비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그러면서 “최근 국내외 금융·외환시장은 미국 신정부의 신규 관세부과, 딥시크 충격 등 글로벌 공통 요인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이 크다”며, “각 기관이 미국 등 주요국 정책과 국내 금융·외환시장 및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24시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라고도 강조했습니다.
오늘 간담회에는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유상대 한국은행 부총재도 참석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현예슬 기자 yesyes@kbs.co.kr
현예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