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지난해 북한 노동자 수천 명 러시아 건설 현장 불법 파견”
입력 2025.02.09 (09:38)
수정 2025.02.09 (09:3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5/02/09/20250209_k9fJwB.jpg)
북한이 지난해 러시아에 병력뿐만 아니라 노동자도 대거 불법 파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해 러시아 각지의 건설 현장에 파견한 노동자가 수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북한의 해외 노동자 파견은 북한 노동자를 대상으로 고용 허가 부여를 금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제2375호) 위반이며, 기존 북한 노동자도 2019년 12월 말까지 송환하도록 돼 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국제 사회의 눈을 피해 노동자를 파견하기 위해 학생 비자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의심받고 있습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최근 지난해 러시아에 입국한 북한 주민이 13,221명으로 2023년에 비해 12배로 급증했다고 러시아 연방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 가운데 입국 목적을 ‘교육’으로 밝힌 인원이 7,887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RFA는 이는 최근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교육 목적으로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인의 급증이 실제로는 불법 노동자 파견 때문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해 러시아 각지의 건설 현장에 파견한 노동자가 수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북한의 해외 노동자 파견은 북한 노동자를 대상으로 고용 허가 부여를 금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제2375호) 위반이며, 기존 북한 노동자도 2019년 12월 말까지 송환하도록 돼 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국제 사회의 눈을 피해 노동자를 파견하기 위해 학생 비자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의심받고 있습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최근 지난해 러시아에 입국한 북한 주민이 13,221명으로 2023년에 비해 12배로 급증했다고 러시아 연방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 가운데 입국 목적을 ‘교육’으로 밝힌 인원이 7,887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RFA는 이는 최근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교육 목적으로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인의 급증이 실제로는 불법 노동자 파견 때문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정원 “지난해 북한 노동자 수천 명 러시아 건설 현장 불법 파견”
-
- 입력 2025-02-09 09:38:46
- 수정2025-02-09 09:39:52
![](/data/news/2025/02/09/20250209_k9fJwB.jpg)
북한이 지난해 러시아에 병력뿐만 아니라 노동자도 대거 불법 파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해 러시아 각지의 건설 현장에 파견한 노동자가 수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북한의 해외 노동자 파견은 북한 노동자를 대상으로 고용 허가 부여를 금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제2375호) 위반이며, 기존 북한 노동자도 2019년 12월 말까지 송환하도록 돼 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국제 사회의 눈을 피해 노동자를 파견하기 위해 학생 비자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의심받고 있습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최근 지난해 러시아에 입국한 북한 주민이 13,221명으로 2023년에 비해 12배로 급증했다고 러시아 연방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 가운데 입국 목적을 ‘교육’으로 밝힌 인원이 7,887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RFA는 이는 최근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교육 목적으로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인의 급증이 실제로는 불법 노동자 파견 때문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북한이 지난해 러시아 각지의 건설 현장에 파견한 노동자가 수천 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북한의 해외 노동자 파견은 북한 노동자를 대상으로 고용 허가 부여를 금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제2375호) 위반이며, 기존 북한 노동자도 2019년 12월 말까지 송환하도록 돼 있습니다.
북한과 러시아는 국제 사회의 눈을 피해 노동자를 파견하기 위해 학생 비자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의심받고 있습니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최근 지난해 러시아에 입국한 북한 주민이 13,221명으로 2023년에 비해 12배로 급증했다고 러시아 연방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 가운데 입국 목적을 ‘교육’으로 밝힌 인원이 7,887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RFA는 이는 최근 북한과 러시아의 협력이 강화되는 가운데, 교육 목적으로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인의 급증이 실제로는 불법 노동자 파견 때문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
송금한 기자 email@kbs.co.kr
송금한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