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탐사선 ‘다누리’ 임무기간 2년 더 추가 연장
입력 2025.02.10 (18:28)
수정 2025.02.10 (18:2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5/02/10/20250210_JjgZ6h.jpg)
한국형 달 탐사선 ‘다누리’의 임무 기간이 당초 2025년에서 2027년 말까지로 2년 더 늘어납니다.
우주항공청은 오늘(10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달 탐사 관련 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다누리의 임무 기간을 2년 추가 연장해 2027년까지 탐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022년 발사된 다누리는 연료를 많이 아껴 당초 임무 기간이었던 2023년 말에서 2025년 말까지 수명을 연장했는데, 이번 결정을 통해 수명이 한 차례 더 늘어난 겁니다.
우주청은 다누리의 잔여 연료량과 상태 등을 분석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및 다누리 탑재체 운영기관과 참여 과학자 의견 등을 들어 이번 결정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누리는 우선 추가 연장 기간 초기 7개월 동안 고도를 100㎞에서 60㎞로 낮춰 운영합니다. 달에 가까이 접근해 관측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이후 별도의 궤도 조정 없이 장기간 궤도 운영이 가능한 최소 고도 60㎞, 최대 고도 200㎞의 ‘달 동결 궤도(Frozen Orbit)’로 진입해 2027년 말까지 운영됩니다.
동결 궤도는 달의 중력 분포를 이용해 자연적으로 궤도를 유지할 수 있어 연료를 거의 소모하지 않지만, 고도가 일정하지 않아 데이터 질이 떨어집니다.
이후 달착륙과 비슷한 고도까지 낮춰 달 착륙에 필요한 기술을 시험하고, 2028년 3월에 달 표면에 충돌해 임무를 마무리합니다.
우주청은 다누리가 달 고도 60㎞ 저궤도에서는 표면 근접을 통해 세밀한 과학적 관측을 진행하고, 동결 궤도에서는 장기간 데이터 획득과, 달 극 지역 영구음영 지대 내부의 변화 등을 관측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정통부 제공]
우주항공청은 오늘(10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달 탐사 관련 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다누리의 임무 기간을 2년 추가 연장해 2027년까지 탐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022년 발사된 다누리는 연료를 많이 아껴 당초 임무 기간이었던 2023년 말에서 2025년 말까지 수명을 연장했는데, 이번 결정을 통해 수명이 한 차례 더 늘어난 겁니다.
우주청은 다누리의 잔여 연료량과 상태 등을 분석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및 다누리 탑재체 운영기관과 참여 과학자 의견 등을 들어 이번 결정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누리는 우선 추가 연장 기간 초기 7개월 동안 고도를 100㎞에서 60㎞로 낮춰 운영합니다. 달에 가까이 접근해 관측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이후 별도의 궤도 조정 없이 장기간 궤도 운영이 가능한 최소 고도 60㎞, 최대 고도 200㎞의 ‘달 동결 궤도(Frozen Orbit)’로 진입해 2027년 말까지 운영됩니다.
동결 궤도는 달의 중력 분포를 이용해 자연적으로 궤도를 유지할 수 있어 연료를 거의 소모하지 않지만, 고도가 일정하지 않아 데이터 질이 떨어집니다.
이후 달착륙과 비슷한 고도까지 낮춰 달 착륙에 필요한 기술을 시험하고, 2028년 3월에 달 표면에 충돌해 임무를 마무리합니다.
우주청은 다누리가 달 고도 60㎞ 저궤도에서는 표면 근접을 통해 세밀한 과학적 관측을 진행하고, 동결 궤도에서는 장기간 데이터 획득과, 달 극 지역 영구음영 지대 내부의 변화 등을 관측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정통부 제공]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달탐사선 ‘다누리’ 임무기간 2년 더 추가 연장
-
- 입력 2025-02-10 18:28:52
- 수정2025-02-10 18:29:53
![](/data/news/2025/02/10/20250210_JjgZ6h.jpg)
한국형 달 탐사선 ‘다누리’의 임무 기간이 당초 2025년에서 2027년 말까지로 2년 더 늘어납니다.
우주항공청은 오늘(10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달 탐사 관련 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다누리의 임무 기간을 2년 추가 연장해 2027년까지 탐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022년 발사된 다누리는 연료를 많이 아껴 당초 임무 기간이었던 2023년 말에서 2025년 말까지 수명을 연장했는데, 이번 결정을 통해 수명이 한 차례 더 늘어난 겁니다.
우주청은 다누리의 잔여 연료량과 상태 등을 분석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및 다누리 탑재체 운영기관과 참여 과학자 의견 등을 들어 이번 결정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누리는 우선 추가 연장 기간 초기 7개월 동안 고도를 100㎞에서 60㎞로 낮춰 운영합니다. 달에 가까이 접근해 관측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이후 별도의 궤도 조정 없이 장기간 궤도 운영이 가능한 최소 고도 60㎞, 최대 고도 200㎞의 ‘달 동결 궤도(Frozen Orbit)’로 진입해 2027년 말까지 운영됩니다.
동결 궤도는 달의 중력 분포를 이용해 자연적으로 궤도를 유지할 수 있어 연료를 거의 소모하지 않지만, 고도가 일정하지 않아 데이터 질이 떨어집니다.
이후 달착륙과 비슷한 고도까지 낮춰 달 착륙에 필요한 기술을 시험하고, 2028년 3월에 달 표면에 충돌해 임무를 마무리합니다.
우주청은 다누리가 달 고도 60㎞ 저궤도에서는 표면 근접을 통해 세밀한 과학적 관측을 진행하고, 동결 궤도에서는 장기간 데이터 획득과, 달 극 지역 영구음영 지대 내부의 변화 등을 관측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정통부 제공]
우주항공청은 오늘(10일)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달 탐사 관련 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다누리의 임무 기간을 2년 추가 연장해 2027년까지 탐사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022년 발사된 다누리는 연료를 많이 아껴 당초 임무 기간이었던 2023년 말에서 2025년 말까지 수명을 연장했는데, 이번 결정을 통해 수명이 한 차례 더 늘어난 겁니다.
우주청은 다누리의 잔여 연료량과 상태 등을 분석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및 다누리 탑재체 운영기관과 참여 과학자 의견 등을 들어 이번 결정이 이뤄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누리는 우선 추가 연장 기간 초기 7개월 동안 고도를 100㎞에서 60㎞로 낮춰 운영합니다. 달에 가까이 접근해 관측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이후 별도의 궤도 조정 없이 장기간 궤도 운영이 가능한 최소 고도 60㎞, 최대 고도 200㎞의 ‘달 동결 궤도(Frozen Orbit)’로 진입해 2027년 말까지 운영됩니다.
동결 궤도는 달의 중력 분포를 이용해 자연적으로 궤도를 유지할 수 있어 연료를 거의 소모하지 않지만, 고도가 일정하지 않아 데이터 질이 떨어집니다.
이후 달착륙과 비슷한 고도까지 낮춰 달 착륙에 필요한 기술을 시험하고, 2028년 3월에 달 표면에 충돌해 임무를 마무리합니다.
우주청은 다누리가 달 고도 60㎞ 저궤도에서는 표면 근접을 통해 세밀한 과학적 관측을 진행하고, 동결 궤도에서는 장기간 데이터 획득과, 달 극 지역 영구음영 지대 내부의 변화 등을 관측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과기정통부 제공]
-
-
강나루 기자 naru@kbs.co.kr
강나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