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증권범죄 상습 전력자 명단 관리하겠다”
입력 2025.02.10 (18:42)
수정 2025.02.10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5/02/10/20250210_y8gJQK.jpg)
시세조종이나 미공개중요정보이용 등을 통해 상습적으로 사익을 챙기는 증권범죄 전력자에 대해 금융당국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관리를 강화합니다.
금융감독원 이복현 원장은 오늘(10일) 대강당에서 열린 2025년 업무계획 발표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 이 같은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 원장은 “만약 검찰이 보이스피싱에 자주 사용되는 계좌 등을 관리하지 않는다면 그게 오히려 이상하지 않겠느냐”면서 “(자본시장법상) 불공정행위와 관련해서도 전력자나 그 수법 또는 이용된 주요 법인 등에 대해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가급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내부적으로 불공정거래 시스템을 운영 중인데, 이 시스템에 대한 고도화 작업을 통해 상습 전력자에 대한 관리를 보다 체계화하고 조사 및 수사 과정에서 활용을 확대하겠단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 원장은 이어, “예를 들어 30억 원을 조달해서 사고가 안 나면 그다음에는 ‘300억 원을 조달해야지’ 이런 생각이 자본시장에 만연하기 때문에 금감원이 눈여겨 보고 있다”면서 “계속 문제를 일으켰던 사람들이 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금융위원회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금감원에 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KBS <시사기획 창> ‘코스닥 개미귀신2-무한 환생 CEO들’ 취재진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각종 불공정행위 등이 불거져 상장 폐지된 코스닥 상장사 119곳과 무자본 M&A가 의심되는 상장사 104곳의 임원진 5300여 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141명이 두 곳 이상의 문제 기업 임원으로 재직한 전력이 있었으며, 30명은 3곳, 6명은 4곳의 문제 기업에 임원으로 재직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금융감독원 이복현 원장은 오늘(10일) 대강당에서 열린 2025년 업무계획 발표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 이 같은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 원장은 “만약 검찰이 보이스피싱에 자주 사용되는 계좌 등을 관리하지 않는다면 그게 오히려 이상하지 않겠느냐”면서 “(자본시장법상) 불공정행위와 관련해서도 전력자나 그 수법 또는 이용된 주요 법인 등에 대해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가급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내부적으로 불공정거래 시스템을 운영 중인데, 이 시스템에 대한 고도화 작업을 통해 상습 전력자에 대한 관리를 보다 체계화하고 조사 및 수사 과정에서 활용을 확대하겠단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 원장은 이어, “예를 들어 30억 원을 조달해서 사고가 안 나면 그다음에는 ‘300억 원을 조달해야지’ 이런 생각이 자본시장에 만연하기 때문에 금감원이 눈여겨 보고 있다”면서 “계속 문제를 일으켰던 사람들이 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금융위원회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금감원에 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KBS <시사기획 창> ‘코스닥 개미귀신2-무한 환생 CEO들’ 취재진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각종 불공정행위 등이 불거져 상장 폐지된 코스닥 상장사 119곳과 무자본 M&A가 의심되는 상장사 104곳의 임원진 5300여 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141명이 두 곳 이상의 문제 기업 임원으로 재직한 전력이 있었으며, 30명은 3곳, 6명은 4곳의 문제 기업에 임원으로 재직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금감원 “증권범죄 상습 전력자 명단 관리하겠다”
-
- 입력 2025-02-10 18:42:44
- 수정2025-02-10 19:51:24
![](/data/news/2025/02/10/20250210_y8gJQK.jpg)
시세조종이나 미공개중요정보이용 등을 통해 상습적으로 사익을 챙기는 증권범죄 전력자에 대해 금융당국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관리를 강화합니다.
금융감독원 이복현 원장은 오늘(10일) 대강당에서 열린 2025년 업무계획 발표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 이 같은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 원장은 “만약 검찰이 보이스피싱에 자주 사용되는 계좌 등을 관리하지 않는다면 그게 오히려 이상하지 않겠느냐”면서 “(자본시장법상) 불공정행위와 관련해서도 전력자나 그 수법 또는 이용된 주요 법인 등에 대해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가급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내부적으로 불공정거래 시스템을 운영 중인데, 이 시스템에 대한 고도화 작업을 통해 상습 전력자에 대한 관리를 보다 체계화하고 조사 및 수사 과정에서 활용을 확대하겠단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 원장은 이어, “예를 들어 30억 원을 조달해서 사고가 안 나면 그다음에는 ‘300억 원을 조달해야지’ 이런 생각이 자본시장에 만연하기 때문에 금감원이 눈여겨 보고 있다”면서 “계속 문제를 일으켰던 사람들이 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금융위원회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금감원에 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KBS <시사기획 창> ‘코스닥 개미귀신2-무한 환생 CEO들’ 취재진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각종 불공정행위 등이 불거져 상장 폐지된 코스닥 상장사 119곳과 무자본 M&A가 의심되는 상장사 104곳의 임원진 5300여 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141명이 두 곳 이상의 문제 기업 임원으로 재직한 전력이 있었으며, 30명은 3곳, 6명은 4곳의 문제 기업에 임원으로 재직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금융감독원 이복현 원장은 오늘(10일) 대강당에서 열린 2025년 업무계획 발표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 이 같은 방침을 밝혔습니다.
이 원장은 “만약 검찰이 보이스피싱에 자주 사용되는 계좌 등을 관리하지 않는다면 그게 오히려 이상하지 않겠느냐”면서 “(자본시장법상) 불공정행위와 관련해서도 전력자나 그 수법 또는 이용된 주요 법인 등에 대해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가급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려고 노력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금감원은 내부적으로 불공정거래 시스템을 운영 중인데, 이 시스템에 대한 고도화 작업을 통해 상습 전력자에 대한 관리를 보다 체계화하고 조사 및 수사 과정에서 활용을 확대하겠단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 원장은 이어, “예를 들어 30억 원을 조달해서 사고가 안 나면 그다음에는 ‘300억 원을 조달해야지’ 이런 생각이 자본시장에 만연하기 때문에 금감원이 눈여겨 보고 있다”면서 “계속 문제를 일으켰던 사람들이 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고, 금융위원회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금감원에 요구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KBS <시사기획 창> ‘코스닥 개미귀신2-무한 환생 CEO들’ 취재진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각종 불공정행위 등이 불거져 상장 폐지된 코스닥 상장사 119곳과 무자본 M&A가 의심되는 상장사 104곳의 임원진 5300여 명을 전수조사한 결과, 141명이 두 곳 이상의 문제 기업 임원으로 재직한 전력이 있었으며, 30명은 3곳, 6명은 4곳의 문제 기업에 임원으로 재직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