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취재] 충남 떠나는 2030 여성
입력 2025.02.10 (19:43)
수정 2025.02.11 (08:5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서 보신 충남의 지방소멸과 관련해 이연경 기자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 기자, 앞선 리포트에서 설명했지만, 2030세대 남성은 충남으로 이사를 왔는데, 여성은 오히려 나갔다는 거잖아요?
[기자]
네, 충남은 산업 구조가 반도체, 석유화학 등 제조업 중심이거든요.
충남은 제조업 비중이 54%인데, 전국 평균 28%의 2배입니다.
한마디로 남성 일자리가 많은 거죠.
실제로 충남지역의 유입되는 2030 인구의 43%는 인구 유입 사유로 직업을 꼽았습니다.
일 때문에 이사 왔다는 건데요.
반면에 여성 일자리가 많은 서비스업 비중은 충남의 경우 전국이나 대전, 세종, 수도권과 비교해도 절반 수준입니다.
여성 취업을 돕는 충남의 한 일자리센터 담당자와도 통화를 해봤는데요.
경력단절 이후에 다시 일하고 싶어서 재교육까지 받았는데, 고학력, 고경력을 살릴 수 있는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해 구직을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앵커]
일자리 외에 지역 인프라 부족도 여성 인구 유출을 부추기는 요인이라고요?
[기자]
네, 맞습니다.
여성의 경우 직업을 선택할 때 남성보다 임금 이외의 만족감이나 근무 여건을 더 많이 고려하는데요.
고임금 일자리가 있더라도 지역 내 인프라가 부족하다면 여성의 선호도가 낮다는 거죠.
[앵커]
여성 인구의 유출은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건가요?
[기자]
2030세대 여성 인구 유출은 단기적인 현상에 그치는 게 아니라 가임기 여성 인구 감소에 따른 출생아수 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지역 사회의 인구구조를 변화시키고, 노동력 부족과 소비 위축을 초래해서 지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데요.
이는 다시 수도권 등으로 인구 유출을 부추기고 장기적으로 지역경제 기반을 약화시켜서 지방소멸을 가속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여성 인구 유출은 특히 충남 내에서도 비교적 인구가 많은 북부권에서 두드러지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만 합니다.
[앵커]
방금 충남 북부권 말씀 하셨는데, 충남 남부권과 북부권은 지방소멸 양상이 조금 다르지 않습니까?
[기자]
충남에서도 북부권은 대기업 생산공장이 있는데다 수도권과 가깝고 교통망이 발달해서 지속적인 인구 순유입이 이뤄지고 있는 곳입니다.
충남 북부권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 규모는 6천7백여만 원으로 전국 평균인 4천만 원과 비교하면 상당히 소득 수준이 높은데요.
충남 남부권의 지역내총생산이 전국 평균과 비슷하거든요.
그만큼 충남 내에서도 소득 차이가 크게 나는 거죠.
충남 남부권을 떠난 젊은층이 그러면 어디로 갔느냐, 이걸 분석해보면요.
수도권과 대전 등 대도시를 제외하면 충남 북부권으로 순이동하는 인구가 많았습니다.
충남 안에서도 북부권이 남부권의 인구 소멸에 일부 기여하고 있는 거죠.
[앵커]
그러면 앞으로 지방소멸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합니까?
해법이 있을까요?
[기자]
보고서에서는 지역 서비스업과의 동반 성장을 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조언하는데요.
서비스업 성장은 여성 인구에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 할 뿐 아니라 정주 여건 개선으로 인구 유입을 유도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겁니다.
또, 유연근무제와 맞춤형 일자리 등 고용 접근성을 높여주는 제도들을 기업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안내가 필요하고요.
가족들이 함께 이주해 정착하고 싶은 여건과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의료, 문화 등 인프라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인프라 개선은 다시 일자리로 연결되고요.
특히 충남 남부권은 의료와 도로 등 인프라 개선과 함께 지역 특화산업을 육성해 경제적 기반과 문화적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앵커]
네, 이 기자,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앞서 보신 충남의 지방소멸과 관련해 이연경 기자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 기자, 앞선 리포트에서 설명했지만, 2030세대 남성은 충남으로 이사를 왔는데, 여성은 오히려 나갔다는 거잖아요?
[기자]
네, 충남은 산업 구조가 반도체, 석유화학 등 제조업 중심이거든요.
충남은 제조업 비중이 54%인데, 전국 평균 28%의 2배입니다.
한마디로 남성 일자리가 많은 거죠.
실제로 충남지역의 유입되는 2030 인구의 43%는 인구 유입 사유로 직업을 꼽았습니다.
일 때문에 이사 왔다는 건데요.
반면에 여성 일자리가 많은 서비스업 비중은 충남의 경우 전국이나 대전, 세종, 수도권과 비교해도 절반 수준입니다.
여성 취업을 돕는 충남의 한 일자리센터 담당자와도 통화를 해봤는데요.
경력단절 이후에 다시 일하고 싶어서 재교육까지 받았는데, 고학력, 고경력을 살릴 수 있는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해 구직을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앵커]
일자리 외에 지역 인프라 부족도 여성 인구 유출을 부추기는 요인이라고요?
[기자]
네, 맞습니다.
여성의 경우 직업을 선택할 때 남성보다 임금 이외의 만족감이나 근무 여건을 더 많이 고려하는데요.
고임금 일자리가 있더라도 지역 내 인프라가 부족하다면 여성의 선호도가 낮다는 거죠.
[앵커]
여성 인구의 유출은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건가요?
[기자]
2030세대 여성 인구 유출은 단기적인 현상에 그치는 게 아니라 가임기 여성 인구 감소에 따른 출생아수 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지역 사회의 인구구조를 변화시키고, 노동력 부족과 소비 위축을 초래해서 지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데요.
이는 다시 수도권 등으로 인구 유출을 부추기고 장기적으로 지역경제 기반을 약화시켜서 지방소멸을 가속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여성 인구 유출은 특히 충남 내에서도 비교적 인구가 많은 북부권에서 두드러지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만 합니다.
[앵커]
방금 충남 북부권 말씀 하셨는데, 충남 남부권과 북부권은 지방소멸 양상이 조금 다르지 않습니까?
[기자]
충남에서도 북부권은 대기업 생산공장이 있는데다 수도권과 가깝고 교통망이 발달해서 지속적인 인구 순유입이 이뤄지고 있는 곳입니다.
충남 북부권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 규모는 6천7백여만 원으로 전국 평균인 4천만 원과 비교하면 상당히 소득 수준이 높은데요.
충남 남부권의 지역내총생산이 전국 평균과 비슷하거든요.
그만큼 충남 내에서도 소득 차이가 크게 나는 거죠.
충남 남부권을 떠난 젊은층이 그러면 어디로 갔느냐, 이걸 분석해보면요.
수도권과 대전 등 대도시를 제외하면 충남 북부권으로 순이동하는 인구가 많았습니다.
충남 안에서도 북부권이 남부권의 인구 소멸에 일부 기여하고 있는 거죠.
[앵커]
그러면 앞으로 지방소멸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합니까?
해법이 있을까요?
[기자]
보고서에서는 지역 서비스업과의 동반 성장을 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조언하는데요.
서비스업 성장은 여성 인구에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 할 뿐 아니라 정주 여건 개선으로 인구 유입을 유도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겁니다.
또, 유연근무제와 맞춤형 일자리 등 고용 접근성을 높여주는 제도들을 기업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안내가 필요하고요.
가족들이 함께 이주해 정착하고 싶은 여건과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의료, 문화 등 인프라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인프라 개선은 다시 일자리로 연결되고요.
특히 충남 남부권은 의료와 도로 등 인프라 개선과 함께 지역 특화산업을 육성해 경제적 기반과 문화적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앵커]
네, 이 기자,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취재] 충남 떠나는 2030 여성
-
- 입력 2025-02-10 19:43:37
- 수정2025-02-11 08:55:34
![](/data/news/title_image/newsmp4/daejeon/news7/2025/02/10/130_8172075.jpg)
[앵커]
앞서 보신 충남의 지방소멸과 관련해 이연경 기자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 기자, 앞선 리포트에서 설명했지만, 2030세대 남성은 충남으로 이사를 왔는데, 여성은 오히려 나갔다는 거잖아요?
[기자]
네, 충남은 산업 구조가 반도체, 석유화학 등 제조업 중심이거든요.
충남은 제조업 비중이 54%인데, 전국 평균 28%의 2배입니다.
한마디로 남성 일자리가 많은 거죠.
실제로 충남지역의 유입되는 2030 인구의 43%는 인구 유입 사유로 직업을 꼽았습니다.
일 때문에 이사 왔다는 건데요.
반면에 여성 일자리가 많은 서비스업 비중은 충남의 경우 전국이나 대전, 세종, 수도권과 비교해도 절반 수준입니다.
여성 취업을 돕는 충남의 한 일자리센터 담당자와도 통화를 해봤는데요.
경력단절 이후에 다시 일하고 싶어서 재교육까지 받았는데, 고학력, 고경력을 살릴 수 있는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해 구직을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앵커]
일자리 외에 지역 인프라 부족도 여성 인구 유출을 부추기는 요인이라고요?
[기자]
네, 맞습니다.
여성의 경우 직업을 선택할 때 남성보다 임금 이외의 만족감이나 근무 여건을 더 많이 고려하는데요.
고임금 일자리가 있더라도 지역 내 인프라가 부족하다면 여성의 선호도가 낮다는 거죠.
[앵커]
여성 인구의 유출은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건가요?
[기자]
2030세대 여성 인구 유출은 단기적인 현상에 그치는 게 아니라 가임기 여성 인구 감소에 따른 출생아수 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지역 사회의 인구구조를 변화시키고, 노동력 부족과 소비 위축을 초래해서 지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데요.
이는 다시 수도권 등으로 인구 유출을 부추기고 장기적으로 지역경제 기반을 약화시켜서 지방소멸을 가속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여성 인구 유출은 특히 충남 내에서도 비교적 인구가 많은 북부권에서 두드러지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만 합니다.
[앵커]
방금 충남 북부권 말씀 하셨는데, 충남 남부권과 북부권은 지방소멸 양상이 조금 다르지 않습니까?
[기자]
충남에서도 북부권은 대기업 생산공장이 있는데다 수도권과 가깝고 교통망이 발달해서 지속적인 인구 순유입이 이뤄지고 있는 곳입니다.
충남 북부권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 규모는 6천7백여만 원으로 전국 평균인 4천만 원과 비교하면 상당히 소득 수준이 높은데요.
충남 남부권의 지역내총생산이 전국 평균과 비슷하거든요.
그만큼 충남 내에서도 소득 차이가 크게 나는 거죠.
충남 남부권을 떠난 젊은층이 그러면 어디로 갔느냐, 이걸 분석해보면요.
수도권과 대전 등 대도시를 제외하면 충남 북부권으로 순이동하는 인구가 많았습니다.
충남 안에서도 북부권이 남부권의 인구 소멸에 일부 기여하고 있는 거죠.
[앵커]
그러면 앞으로 지방소멸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합니까?
해법이 있을까요?
[기자]
보고서에서는 지역 서비스업과의 동반 성장을 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조언하는데요.
서비스업 성장은 여성 인구에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 할 뿐 아니라 정주 여건 개선으로 인구 유입을 유도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겁니다.
또, 유연근무제와 맞춤형 일자리 등 고용 접근성을 높여주는 제도들을 기업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안내가 필요하고요.
가족들이 함께 이주해 정착하고 싶은 여건과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의료, 문화 등 인프라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인프라 개선은 다시 일자리로 연결되고요.
특히 충남 남부권은 의료와 도로 등 인프라 개선과 함께 지역 특화산업을 육성해 경제적 기반과 문화적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앵커]
네, 이 기자,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앞서 보신 충남의 지방소멸과 관련해 이연경 기자와 더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이 기자, 앞선 리포트에서 설명했지만, 2030세대 남성은 충남으로 이사를 왔는데, 여성은 오히려 나갔다는 거잖아요?
[기자]
네, 충남은 산업 구조가 반도체, 석유화학 등 제조업 중심이거든요.
충남은 제조업 비중이 54%인데, 전국 평균 28%의 2배입니다.
한마디로 남성 일자리가 많은 거죠.
실제로 충남지역의 유입되는 2030 인구의 43%는 인구 유입 사유로 직업을 꼽았습니다.
일 때문에 이사 왔다는 건데요.
반면에 여성 일자리가 많은 서비스업 비중은 충남의 경우 전국이나 대전, 세종, 수도권과 비교해도 절반 수준입니다.
여성 취업을 돕는 충남의 한 일자리센터 담당자와도 통화를 해봤는데요.
경력단절 이후에 다시 일하고 싶어서 재교육까지 받았는데, 고학력, 고경력을 살릴 수 있는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해 구직을 포기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앵커]
일자리 외에 지역 인프라 부족도 여성 인구 유출을 부추기는 요인이라고요?
[기자]
네, 맞습니다.
여성의 경우 직업을 선택할 때 남성보다 임금 이외의 만족감이나 근무 여건을 더 많이 고려하는데요.
고임금 일자리가 있더라도 지역 내 인프라가 부족하다면 여성의 선호도가 낮다는 거죠.
[앵커]
여성 인구의 유출은 지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는 건가요?
[기자]
2030세대 여성 인구 유출은 단기적인 현상에 그치는 게 아니라 가임기 여성 인구 감소에 따른 출생아수 감소로 이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지역 사회의 인구구조를 변화시키고, 노동력 부족과 소비 위축을 초래해서 지역 경제의 활력을 떨어뜨리는데요.
이는 다시 수도권 등으로 인구 유출을 부추기고 장기적으로 지역경제 기반을 약화시켜서 지방소멸을 가속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여성 인구 유출은 특히 충남 내에서도 비교적 인구가 많은 북부권에서 두드러지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만 합니다.
[앵커]
방금 충남 북부권 말씀 하셨는데, 충남 남부권과 북부권은 지방소멸 양상이 조금 다르지 않습니까?
[기자]
충남에서도 북부권은 대기업 생산공장이 있는데다 수도권과 가깝고 교통망이 발달해서 지속적인 인구 순유입이 이뤄지고 있는 곳입니다.
충남 북부권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 규모는 6천7백여만 원으로 전국 평균인 4천만 원과 비교하면 상당히 소득 수준이 높은데요.
충남 남부권의 지역내총생산이 전국 평균과 비슷하거든요.
그만큼 충남 내에서도 소득 차이가 크게 나는 거죠.
충남 남부권을 떠난 젊은층이 그러면 어디로 갔느냐, 이걸 분석해보면요.
수도권과 대전 등 대도시를 제외하면 충남 북부권으로 순이동하는 인구가 많았습니다.
충남 안에서도 북부권이 남부권의 인구 소멸에 일부 기여하고 있는 거죠.
[앵커]
그러면 앞으로 지방소멸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합니까?
해법이 있을까요?
[기자]
보고서에서는 지역 서비스업과의 동반 성장을 꾀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조언하는데요.
서비스업 성장은 여성 인구에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 할 뿐 아니라 정주 여건 개선으로 인구 유입을 유도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는 겁니다.
또, 유연근무제와 맞춤형 일자리 등 고용 접근성을 높여주는 제도들을 기업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안내가 필요하고요.
가족들이 함께 이주해 정착하고 싶은 여건과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의료, 문화 등 인프라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합니다.
인프라 개선은 다시 일자리로 연결되고요.
특히 충남 남부권은 의료와 도로 등 인프라 개선과 함께 지역 특화산업을 육성해 경제적 기반과 문화적 정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겠습니다.
[앵커]
네, 이 기자,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
-
이연경 기자 yglee@kbs.co.kr
이연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