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추가관세에 상호관세까지…우리나라 수출 영향은?
입력 2025.02.10 (23:19)
수정 2025.02.10 (23: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스튜디오에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나와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대로 개별 품목에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철강과 알루미늄이 첫 대상인 이유는 뭡니까?
[앵커]
철강의 경우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나라는 어딥니까?
[앵커]
우리나라는 2018년 트럼프 1기때도 이 두 개 품목에 관세 압박이 있었는데 어떻게 해결했습니까?
[앵커]
우리는 앞서 보신것처럼 대미 수출 4위이지만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이미 2018년부터 '쿼터제'에 묶여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앵커]
현대제철과 포스코 등 국내 기업은 미국에서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 이게 미국이 원하는 거죠?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도 예고했습니다.
앞서 하누리 기자 보도 보셨지만 미국이 FTA 재협상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까?
[앵커]
품목별 관세, 상호관세에 이어 보편관세까지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확전되는 분위깁니다.
업계측은 정부에게 협상에 나서달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합니까?
[앵커]
오늘 말씀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스튜디오에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나와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대로 개별 품목에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철강과 알루미늄이 첫 대상인 이유는 뭡니까?
[앵커]
철강의 경우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나라는 어딥니까?
[앵커]
우리나라는 2018년 트럼프 1기때도 이 두 개 품목에 관세 압박이 있었는데 어떻게 해결했습니까?
[앵커]
우리는 앞서 보신것처럼 대미 수출 4위이지만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이미 2018년부터 '쿼터제'에 묶여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앵커]
현대제철과 포스코 등 국내 기업은 미국에서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 이게 미국이 원하는 거죠?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도 예고했습니다.
앞서 하누리 기자 보도 보셨지만 미국이 FTA 재협상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까?
[앵커]
품목별 관세, 상호관세에 이어 보편관세까지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확전되는 분위깁니다.
업계측은 정부에게 협상에 나서달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합니까?
[앵커]
오늘 말씀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철강 추가관세에 상호관세까지…우리나라 수출 영향은?
-
- 입력 2025-02-10 23:19:41
- 수정2025-02-10 23:27:55
![](/data/news/title_image/newsmp4/newsline/2025/02/10/50_8172324.jpg)
[앵커]
스튜디오에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나와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대로 개별 품목에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철강과 알루미늄이 첫 대상인 이유는 뭡니까?
[앵커]
철강의 경우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나라는 어딥니까?
[앵커]
우리나라는 2018년 트럼프 1기때도 이 두 개 품목에 관세 압박이 있었는데 어떻게 해결했습니까?
[앵커]
우리는 앞서 보신것처럼 대미 수출 4위이지만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이미 2018년부터 '쿼터제'에 묶여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앵커]
현대제철과 포스코 등 국내 기업은 미국에서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 이게 미국이 원하는 거죠?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도 예고했습니다.
앞서 하누리 기자 보도 보셨지만 미국이 FTA 재협상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까?
[앵커]
품목별 관세, 상호관세에 이어 보편관세까지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확전되는 분위깁니다.
업계측은 정부에게 협상에 나서달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합니까?
[앵커]
오늘 말씀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스튜디오에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나와 있습니다.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대로 개별 품목에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철강과 알루미늄이 첫 대상인 이유는 뭡니까?
[앵커]
철강의 경우 이번 조치로 가장 큰 피해를 보는 나라는 어딥니까?
[앵커]
우리나라는 2018년 트럼프 1기때도 이 두 개 품목에 관세 압박이 있었는데 어떻게 해결했습니까?
[앵커]
우리는 앞서 보신것처럼 대미 수출 4위이지만 앞서 말씀 드린 것처럼 이미 2018년부터 '쿼터제'에 묶여 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앵커]
현대제철과 포스코 등 국내 기업은 미국에서 생산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데, 이게 미국이 원하는 거죠?
[앵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도 예고했습니다.
앞서 하누리 기자 보도 보셨지만 미국이 FTA 재협상을 요구할 수도 있습니까?
[앵커]
품목별 관세, 상호관세에 이어 보편관세까지 트럼프발 관세전쟁이 확전되는 분위깁니다.
업계측은 정부에게 협상에 나서달라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합니까?
[앵커]
오늘 말씀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