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투자 일본 기업, 앞다퉈 현지 생산 확대…트럼프 ‘관세’ 효과?

입력 2025.02.11 (15:25) 수정 2025.02.11 (15: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자동차 기업을 비롯한 제조업체들이 미국에서 현지 생산을 늘리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1일 보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 강화를 추진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대미 투자 확대를 공언한 상황 속에 일본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해 생산 설비를 확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도요타자동차는 노스캐롤라이나주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 중으로, 올해 4월부터 제품을 출하할 계획입니다. 도요타 투자액은 2030년까지 140억 달러(약 2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올해 하반기 미국에서 전기차 생산을 시작하는 혼다도 오하이오주 공장에 10억 달러(약 1조 4,500억 원)를 투입해 생산 라인을 추가할 방침입니다. 트럭 등을 생산하는 이스즈는 약 3억 달러(약 4,360억 원)를 투자해 트럭 조립 공장을 짓고 2027년 이후 연간 5만 대를 생산할 예정입니다.

일본 식품업체들도 미국 내 생산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닛신식품 홀딩스는 47년 만에 미국에서 즉석 면 공장을 가동하고, 야쿠르트는 유산균 음료 공장을 신설합니다.

특히 소프트뱅크는 오픈AI, 오라클과 함께 미국 내 데이터 센터 등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최소 5,000억 달러(약 727조 원)를 투자해 새로운 AI 기업인 ‘스타게이트’를 설립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스미토모화학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요한 세정액을 생산하는 공장을 텍사스주에 세워 내년 3월 이전에 양산 체제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일본은 2023년까지 5년 연속 대미 투자액이 가장 많은 나라였습니다. 닛케이는 이시바 총리가 미일 정상회담에서 대미 투자를 1조 달러(약 1,453조 원)로 늘리기로 했다면서 “2023년 시점에 대미 투자액은 7,833억 달러(약 1,139조원)였는데, 트럼프 1기 행정부 초기였던 2017년과 비교하면 3,000억 달러 정도 늘어난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닛케이는 일본 기업이 미국에서 엔저(엔화 가치 하락)와 노동력 부족이라는 역풍을 피해 채산성을 얼마나 확보할 수 있을 것인지가 과제라고 짚었습니다. 이어 “관세를 거래 재료로 사용하는 트럼프 정권의 통상정책에 따라 기업 공급망을 둘러싼 불투명함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 투자 일본 기업, 앞다퉈 현지 생산 확대…트럼프 ‘관세’ 효과?
    • 입력 2025-02-11 15:25:34
    • 수정2025-02-11 15:26:11
    국제
일본 자동차 기업을 비롯한 제조업체들이 미국에서 현지 생산을 늘리고 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11일 보도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 정책 강화를 추진하고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가 대미 투자 확대를 공언한 상황 속에 일본 기업들이 미국에 투자해 생산 설비를 확충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도요타자동차는 노스캐롤라이나주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 중으로, 올해 4월부터 제품을 출하할 계획입니다. 도요타 투자액은 2030년까지 140억 달러(약 2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올해 하반기 미국에서 전기차 생산을 시작하는 혼다도 오하이오주 공장에 10억 달러(약 1조 4,500억 원)를 투입해 생산 라인을 추가할 방침입니다. 트럭 등을 생산하는 이스즈는 약 3억 달러(약 4,360억 원)를 투자해 트럭 조립 공장을 짓고 2027년 이후 연간 5만 대를 생산할 예정입니다.

일본 식품업체들도 미국 내 생산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닛신식품 홀딩스는 47년 만에 미국에서 즉석 면 공장을 가동하고, 야쿠르트는 유산균 음료 공장을 신설합니다.

특히 소프트뱅크는 오픈AI, 오라클과 함께 미국 내 데이터 센터 등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최소 5,000억 달러(약 727조 원)를 투자해 새로운 AI 기업인 ‘스타게이트’를 설립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스미토모화학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 필요한 세정액을 생산하는 공장을 텍사스주에 세워 내년 3월 이전에 양산 체제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일본은 2023년까지 5년 연속 대미 투자액이 가장 많은 나라였습니다. 닛케이는 이시바 총리가 미일 정상회담에서 대미 투자를 1조 달러(약 1,453조 원)로 늘리기로 했다면서 “2023년 시점에 대미 투자액은 7,833억 달러(약 1,139조원)였는데, 트럼프 1기 행정부 초기였던 2017년과 비교하면 3,000억 달러 정도 늘어난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닛케이는 일본 기업이 미국에서 엔저(엔화 가치 하락)와 노동력 부족이라는 역풍을 피해 채산성을 얼마나 확보할 수 있을 것인지가 과제라고 짚었습니다. 이어 “관세를 거래 재료로 사용하는 트럼프 정권의 통상정책에 따라 기업 공급망을 둘러싼 불투명함이 더욱 심해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 출처 : 로이터=연합뉴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