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보] 신원식·백종욱·김용빈 증인신문…이 시각 헌법재판소
입력 2025.02.11 (17:01)
수정 2025.02.11 (17:3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이 오늘 오전부터 헌법재판소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오전에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오후엔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해 오늘 하루 모두 네 명에 대한 증인신문이 이뤄지고 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김지숙 기자, 지금까지 어떤 증인들에 대해 증인신문이 이뤄졌습니까?
핵심 내용 전해주시죠.
[기자]
네, 조금 전까지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을 상대로 국회 탄핵소추단과 윤 대통령 측이 번갈아가며 증인 신문을 했습니다.
신 실장은 지난해 3월 말, 이른바 삼청동 안가 만찬에 김용현 전 장관 등과 함께 참석했던 인물입니다.
따라서 당시 만찬에서 나눈 이야기도 신문 과정에서 언급됐는데요.
신 실장은 삼청동 안가 만찬 당시 윤 대통령이 '비상한 조치', 그리고 군의 개입을 언급하자,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습니다.
계엄 당일에도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신문 과정에서 윤 대통령 측은 신 실장에게 '한국에 대한 중국의 선거 개입 가능성'에 대해 물어봤는데요.
신 실장은 "외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과 김용빈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에 대한 신문이 이어집니다.
이들은 각각 윤 대통령 측과 국회 측이 신청한 증인입니다.
백 전 차장은 안보 전문가로 알려져 있고, 김 사무총장은 지난해 12월 국회에 나와 부정선거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고 말한 만큼..
이어지는 신문에선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의 배경으로 언급해왔던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 선거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신문이 이뤄질 거로 보입니다.
[앵커]
오전엔 주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신문이 있었죠?
어떤 내용 언급됐는지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 참석자 가운데 한 명이죠.
따라서 증인신문도 당시 회의 상황, 논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뤄졌습니다.
특히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후 윤 대통령으로부터 언론사 단전 단수를 지시받은 적이 없다, 다만 대통령 집무실에서 관련 내용이 적힌 쪽지 몇 개를 멀리서 봤다고 말했습니다.
비상계엄과 관련한 문건은 받은 적도 없다고 말해, 윤 대통령 검찰 공소장에 적시된 주요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국무회의 당시 윤 대통령이 심사숙고해서 내린 결정이라고 했다며, 이를 온몸으로 막는 건 난센스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막아야 하는 건 무차별 탄핵을 남발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고 국회를 겨냥하기도 했는데요.
한편 국무회의 성립 요건과 관련해서 이 전 장관은 참석자 모두 회의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김형두 재판관은 최상목 권한대행이나 오영주 중기부 장관 등 참석자들의 진술 등을 제시하거나, 평소 국무회의에서 서명을 어떻게 해왔는지 등을 물어보면서 국무회의 성립 요건, 그리고 당시 상황과 관련한 이 전 장관의 증언을 교차 확인하기도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일 국무회의에 대해 한덕수 총리가 '간담회 형식'이라고 언급한데 대해선, "계엄을 '내란' 프레임으로 물어보니 일부 국무위원이 그런 식으로 답변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또 국무회의록 서명은 보안을 위해 사후에 받을 수 있다는 취지로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권준용/영상편집:이소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이 오늘 오전부터 헌법재판소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오전에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오후엔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해 오늘 하루 모두 네 명에 대한 증인신문이 이뤄지고 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김지숙 기자, 지금까지 어떤 증인들에 대해 증인신문이 이뤄졌습니까?
핵심 내용 전해주시죠.
[기자]
네, 조금 전까지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을 상대로 국회 탄핵소추단과 윤 대통령 측이 번갈아가며 증인 신문을 했습니다.
신 실장은 지난해 3월 말, 이른바 삼청동 안가 만찬에 김용현 전 장관 등과 함께 참석했던 인물입니다.
따라서 당시 만찬에서 나눈 이야기도 신문 과정에서 언급됐는데요.
신 실장은 삼청동 안가 만찬 당시 윤 대통령이 '비상한 조치', 그리고 군의 개입을 언급하자,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습니다.
계엄 당일에도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신문 과정에서 윤 대통령 측은 신 실장에게 '한국에 대한 중국의 선거 개입 가능성'에 대해 물어봤는데요.
신 실장은 "외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과 김용빈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에 대한 신문이 이어집니다.
이들은 각각 윤 대통령 측과 국회 측이 신청한 증인입니다.
백 전 차장은 안보 전문가로 알려져 있고, 김 사무총장은 지난해 12월 국회에 나와 부정선거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고 말한 만큼..
이어지는 신문에선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의 배경으로 언급해왔던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 선거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신문이 이뤄질 거로 보입니다.
[앵커]
오전엔 주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신문이 있었죠?
어떤 내용 언급됐는지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 참석자 가운데 한 명이죠.
따라서 증인신문도 당시 회의 상황, 논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뤄졌습니다.
특히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후 윤 대통령으로부터 언론사 단전 단수를 지시받은 적이 없다, 다만 대통령 집무실에서 관련 내용이 적힌 쪽지 몇 개를 멀리서 봤다고 말했습니다.
비상계엄과 관련한 문건은 받은 적도 없다고 말해, 윤 대통령 검찰 공소장에 적시된 주요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국무회의 당시 윤 대통령이 심사숙고해서 내린 결정이라고 했다며, 이를 온몸으로 막는 건 난센스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막아야 하는 건 무차별 탄핵을 남발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고 국회를 겨냥하기도 했는데요.
한편 국무회의 성립 요건과 관련해서 이 전 장관은 참석자 모두 회의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김형두 재판관은 최상목 권한대행이나 오영주 중기부 장관 등 참석자들의 진술 등을 제시하거나, 평소 국무회의에서 서명을 어떻게 해왔는지 등을 물어보면서 국무회의 성립 요건, 그리고 당시 상황과 관련한 이 전 장관의 증언을 교차 확인하기도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일 국무회의에 대해 한덕수 총리가 '간담회 형식'이라고 언급한데 대해선, "계엄을 '내란' 프레임으로 물어보니 일부 국무위원이 그런 식으로 답변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또 국무회의록 서명은 보안을 위해 사후에 받을 수 있다는 취지로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권준용/영상편집:이소현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특보] 신원식·백종욱·김용빈 증인신문…이 시각 헌법재판소
-
- 입력 2025-02-11 17:01:27
- 수정2025-02-11 17:35:09
![](/data/news/2025/02/11/20250211_SvCAQB.jpg)
[앵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이 오늘 오전부터 헌법재판소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오전에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오후엔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해 오늘 하루 모두 네 명에 대한 증인신문이 이뤄지고 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김지숙 기자, 지금까지 어떤 증인들에 대해 증인신문이 이뤄졌습니까?
핵심 내용 전해주시죠.
[기자]
네, 조금 전까지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을 상대로 국회 탄핵소추단과 윤 대통령 측이 번갈아가며 증인 신문을 했습니다.
신 실장은 지난해 3월 말, 이른바 삼청동 안가 만찬에 김용현 전 장관 등과 함께 참석했던 인물입니다.
따라서 당시 만찬에서 나눈 이야기도 신문 과정에서 언급됐는데요.
신 실장은 삼청동 안가 만찬 당시 윤 대통령이 '비상한 조치', 그리고 군의 개입을 언급하자,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습니다.
계엄 당일에도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신문 과정에서 윤 대통령 측은 신 실장에게 '한국에 대한 중국의 선거 개입 가능성'에 대해 물어봤는데요.
신 실장은 "외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과 김용빈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에 대한 신문이 이어집니다.
이들은 각각 윤 대통령 측과 국회 측이 신청한 증인입니다.
백 전 차장은 안보 전문가로 알려져 있고, 김 사무총장은 지난해 12월 국회에 나와 부정선거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고 말한 만큼..
이어지는 신문에선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의 배경으로 언급해왔던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 선거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신문이 이뤄질 거로 보입니다.
[앵커]
오전엔 주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신문이 있었죠?
어떤 내용 언급됐는지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 참석자 가운데 한 명이죠.
따라서 증인신문도 당시 회의 상황, 논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뤄졌습니다.
특히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후 윤 대통령으로부터 언론사 단전 단수를 지시받은 적이 없다, 다만 대통령 집무실에서 관련 내용이 적힌 쪽지 몇 개를 멀리서 봤다고 말했습니다.
비상계엄과 관련한 문건은 받은 적도 없다고 말해, 윤 대통령 검찰 공소장에 적시된 주요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국무회의 당시 윤 대통령이 심사숙고해서 내린 결정이라고 했다며, 이를 온몸으로 막는 건 난센스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막아야 하는 건 무차별 탄핵을 남발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고 국회를 겨냥하기도 했는데요.
한편 국무회의 성립 요건과 관련해서 이 전 장관은 참석자 모두 회의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김형두 재판관은 최상목 권한대행이나 오영주 중기부 장관 등 참석자들의 진술 등을 제시하거나, 평소 국무회의에서 서명을 어떻게 해왔는지 등을 물어보면서 국무회의 성립 요건, 그리고 당시 상황과 관련한 이 전 장관의 증언을 교차 확인하기도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일 국무회의에 대해 한덕수 총리가 '간담회 형식'이라고 언급한데 대해선, "계엄을 '내란' 프레임으로 물어보니 일부 국무위원이 그런 식으로 답변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또 국무회의록 서명은 보안을 위해 사후에 받을 수 있다는 취지로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권준용/영상편집:이소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7차 변론이 오늘 오전부터 헌법재판소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오전에는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오후엔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해 오늘 하루 모두 네 명에 대한 증인신문이 이뤄지고 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김지숙 기자, 지금까지 어떤 증인들에 대해 증인신문이 이뤄졌습니까?
핵심 내용 전해주시죠.
[기자]
네, 조금 전까지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을 상대로 국회 탄핵소추단과 윤 대통령 측이 번갈아가며 증인 신문을 했습니다.
신 실장은 지난해 3월 말, 이른바 삼청동 안가 만찬에 김용현 전 장관 등과 함께 참석했던 인물입니다.
따라서 당시 만찬에서 나눈 이야기도 신문 과정에서 언급됐는데요.
신 실장은 삼청동 안가 만찬 당시 윤 대통령이 '비상한 조치', 그리고 군의 개입을 언급하자,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을 전달했다고 말했습니다.
계엄 당일에도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신문 과정에서 윤 대통령 측은 신 실장에게 '한국에 대한 중국의 선거 개입 가능성'에 대해 물어봤는데요.
신 실장은 "외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이제는 백종욱 전 국정원 3차장과 김용빈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에 대한 신문이 이어집니다.
이들은 각각 윤 대통령 측과 국회 측이 신청한 증인입니다.
백 전 차장은 안보 전문가로 알려져 있고, 김 사무총장은 지난해 12월 국회에 나와 부정선거 흔적을 찾을 수 없었다고 말한 만큼..
이어지는 신문에선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의 배경으로 언급해왔던 부정선거 의혹과 관련해 선거관리 시스템 등에 대한 신문이 이뤄질 거로 보입니다.
[앵커]
오전엔 주로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에 대한 신문이 있었죠?
어떤 내용 언급됐는지 전해주시죠.
[기자]
네, 이 전 장관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전 열린 국무회의 참석자 가운데 한 명이죠.
따라서 증인신문도 당시 회의 상황, 논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뤄졌습니다.
특히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선포 전후 윤 대통령으로부터 언론사 단전 단수를 지시받은 적이 없다, 다만 대통령 집무실에서 관련 내용이 적힌 쪽지 몇 개를 멀리서 봤다고 말했습니다.
비상계엄과 관련한 문건은 받은 적도 없다고 말해, 윤 대통령 검찰 공소장에 적시된 주요 내용을 부인했습니다.
이 전 장관은 비상계엄 국무회의 당시 윤 대통령이 심사숙고해서 내린 결정이라고 했다며, 이를 온몸으로 막는 건 난센스라고 생각한다, 그렇게 막아야 하는 건 무차별 탄핵을 남발하는 사람들이라고 생각한다고 국회를 겨냥하기도 했는데요.
한편 국무회의 성립 요건과 관련해서 이 전 장관은 참석자 모두 회의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김형두 재판관은 최상목 권한대행이나 오영주 중기부 장관 등 참석자들의 진술 등을 제시하거나, 평소 국무회의에서 서명을 어떻게 해왔는지 등을 물어보면서 국무회의 성립 요건, 그리고 당시 상황과 관련한 이 전 장관의 증언을 교차 확인하기도 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계엄 당일 국무회의에 대해 한덕수 총리가 '간담회 형식'이라고 언급한데 대해선, "계엄을 '내란' 프레임으로 물어보니 일부 국무위원이 그런 식으로 답변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또 국무회의록 서명은 보안을 위해 사후에 받을 수 있다는 취지로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헌법재판소에서 KBS 뉴스 김지숙입니다.
촬영기자:권준용/영상편집:이소현
-
-
김지숙 기자 vox@kbs.co.kr
김지숙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슈
윤석열 대통령 구속기소…헌정 최초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