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미 철강관세 정당치 않아…우리가 미국산 더 많이 수입”
입력 2025.02.12 (02:16)
수정 2025.02.12 (02: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5/02/12/20250212_JUBZ60.jpg)
멕시코 정부는 현지시각으로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결정에 “비논리적이며 말이 안 되는 생각”이라며 정면 반박했습니다.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이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의 정례 아침 기자회견에 배석해 “우리는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을 수입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멕시코 경제부 설명에 따르면 멕시코는 미국에서 제조된 철강과 알루미늄의 주요 수입국입니다.
2023년 기준 철강·알루미늄 관련 품목의 경우 미국의 대멕시코 흑자 규모는 68억9천700만 달러, 우리돈 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멕시코 경제부는 집계했습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2022년 이래 ‘미국산 수입 증가·미국으로의 수출 감소’ 실태를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정부 데이터를 인용하면서 “자국 제품을 더 많이 수출하는 국가에 관세를 매기는 건 매우 이례적이면서도 정당치 않다”고 꼬집었습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가끔 상식에 대해 언급하는데, 우리는 그 말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려 한다”며 “그(트럼프)는 상식적으로, 지난 40년 가까이 양국이 함께 쌓아온 교역(질서)을 스스로 망가뜨리거나 파괴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멕시코 당국은 이르면 다음 주 중 미국 상무부 및 무역대표부와 접촉해 자국 의견을 전달할 예정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이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의 정례 아침 기자회견에 배석해 “우리는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을 수입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멕시코 경제부 설명에 따르면 멕시코는 미국에서 제조된 철강과 알루미늄의 주요 수입국입니다.
2023년 기준 철강·알루미늄 관련 품목의 경우 미국의 대멕시코 흑자 규모는 68억9천700만 달러, 우리돈 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멕시코 경제부는 집계했습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2022년 이래 ‘미국산 수입 증가·미국으로의 수출 감소’ 실태를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정부 데이터를 인용하면서 “자국 제품을 더 많이 수출하는 국가에 관세를 매기는 건 매우 이례적이면서도 정당치 않다”고 꼬집었습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가끔 상식에 대해 언급하는데, 우리는 그 말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려 한다”며 “그(트럼프)는 상식적으로, 지난 40년 가까이 양국이 함께 쌓아온 교역(질서)을 스스로 망가뜨리거나 파괴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멕시코 당국은 이르면 다음 주 중 미국 상무부 및 무역대표부와 접촉해 자국 의견을 전달할 예정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멕시코 “미 철강관세 정당치 않아…우리가 미국산 더 많이 수입”
-
- 입력 2025-02-12 02:16:03
- 수정2025-02-12 02:17:41
![](/data/news/2025/02/12/20250212_JUBZ60.jpg)
멕시코 정부는 현지시각으로 11일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철강·알루미늄 25% 관세 부과 결정에 “비논리적이며 말이 안 되는 생각”이라며 정면 반박했습니다.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이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의 정례 아침 기자회견에 배석해 “우리는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을 수입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멕시코 경제부 설명에 따르면 멕시코는 미국에서 제조된 철강과 알루미늄의 주요 수입국입니다.
2023년 기준 철강·알루미늄 관련 품목의 경우 미국의 대멕시코 흑자 규모는 68억9천700만 달러, 우리돈 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멕시코 경제부는 집계했습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2022년 이래 ‘미국산 수입 증가·미국으로의 수출 감소’ 실태를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정부 데이터를 인용하면서 “자국 제품을 더 많이 수출하는 국가에 관세를 매기는 건 매우 이례적이면서도 정당치 않다”고 꼬집었습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가끔 상식에 대해 언급하는데, 우리는 그 말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려 한다”며 “그(트럼프)는 상식적으로, 지난 40년 가까이 양국이 함께 쌓아온 교역(질서)을 스스로 망가뜨리거나 파괴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멕시코 당국은 이르면 다음 주 중 미국 상무부 및 무역대표부와 접촉해 자국 의견을 전달할 예정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마르셀로 에브라르드 멕시코 경제부 장관은 이날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의 정례 아침 기자회견에 배석해 “우리는 미국으로부터 더 많은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을 수입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멕시코 경제부 설명에 따르면 멕시코는 미국에서 제조된 철강과 알루미늄의 주요 수입국입니다.
2023년 기준 철강·알루미늄 관련 품목의 경우 미국의 대멕시코 흑자 규모는 68억9천700만 달러, 우리돈 1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멕시코 경제부는 집계했습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2022년 이래 ‘미국산 수입 증가·미국으로의 수출 감소’ 실태를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정부 데이터를 인용하면서 “자국 제품을 더 많이 수출하는 국가에 관세를 매기는 건 매우 이례적이면서도 정당치 않다”고 꼬집었습니다.
에브라르드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은 가끔 상식에 대해 언급하는데, 우리는 그 말을 문자 그대로 받아들이려 한다”며 “그(트럼프)는 상식적으로, 지난 40년 가까이 양국이 함께 쌓아온 교역(질서)을 스스로 망가뜨리거나 파괴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습니다.
멕시코 당국은 이르면 다음 주 중 미국 상무부 및 무역대표부와 접촉해 자국 의견을 전달할 예정입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
이승준 기자 sailing@kbs.co.kr
이승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