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news/2025/02/13/20250213_vQoTgk.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13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백악관을 방문하기 전에 '상호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현지시간 12일 진행한 브리핑에서 상호 관세 발표 일정에 대해 "모디 총리가 내일(13일) (백악관을) 방문하기 전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모디 총리는 12일 이틀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하며 13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입니다.
상호 관세는 각국이 미국 상품에 적용하는 관세율만큼 미국도 상대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대부분 상품이 무관세이지만 미국이 비관세 장벽을 이유로 상호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관세 전쟁'을 본격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는 이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예외 및 면제 없이 25%의 관세를 내달 12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현지시간 12일 진행한 브리핑에서 상호 관세 발표 일정에 대해 "모디 총리가 내일(13일) (백악관을) 방문하기 전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모디 총리는 12일 이틀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하며 13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입니다.
상호 관세는 각국이 미국 상품에 적용하는 관세율만큼 미국도 상대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대부분 상품이 무관세이지만 미국이 비관세 장벽을 이유로 상호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관세 전쟁'을 본격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는 이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예외 및 면제 없이 25%의 관세를 내달 12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백악관 “13일 모디 총리 백악관 방문 전 상호관세 발표”
-
- 입력 2025-02-13 04:14:32
![](/data/news/2025/02/13/20250213_vQoTgk.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으로 13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백악관을 방문하기 전에 '상호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고 백악관이 밝혔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현지시간 12일 진행한 브리핑에서 상호 관세 발표 일정에 대해 "모디 총리가 내일(13일) (백악관을) 방문하기 전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모디 총리는 12일 이틀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하며 13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입니다.
상호 관세는 각국이 미국 상품에 적용하는 관세율만큼 미국도 상대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대부분 상품이 무관세이지만 미국이 비관세 장벽을 이유로 상호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관세 전쟁'을 본격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는 이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예외 및 면제 없이 25%의 관세를 내달 12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현지시간 12일 진행한 브리핑에서 상호 관세 발표 일정에 대해 "모디 총리가 내일(13일) (백악관을) 방문하기 전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모디 총리는 12일 이틀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하며 13일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입니다.
상호 관세는 각국이 미국 상품에 적용하는 관세율만큼 미국도 상대국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대부분 상품이 무관세이지만 미국이 비관세 장벽을 이유로 상호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관세 전쟁'을 본격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습니다.
트럼프는 이어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예외 및 면제 없이 25%의 관세를 내달 12일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사진 출처 : AFP=연합뉴스]
-
-
김민아 기자 kma@kbs.co.kr
김민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