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심위 “음란·성매매 정보 시정요구, 2023년보다 50% 증가”

입력 2025.02.14 (10:35) 수정 2025.02.14 (10:3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지난해 음란·성매매 정보에 대한 시정요구 건수가 지난 2023년과 비교해 약 50%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오늘(14일) 방심위에 따르면, 시정 요구건수는 지난해 총 8만1천755건으로, 약 50% 증가했습니다.

최근 5년간 음란·성매매 정보 시정요구 현황을 보면 2020년 4만9천52건에서 2021년 2만9천512건, 2022년 4만6천195건, 2023년 5만4천429건, 2024년 8만1천755건으로 증가세에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음란 정보에 대한 시정요구 건수는 지난 2023년과 비교해 약 60% 증가한 3만8천44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성매매 정보 역시 지난 2023년과 비교해 약 41% 증가한 4만3천711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웹하드나 해외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성행위를 노골적으로 묘사한 내용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시정요구한 결과라고 방심위는 설명했습니다.

방심위는 해외 글로벌 플랫폼과 랜덤채팅에서 성행위·대가성 문구를 제시하며 성매매를 유도하는 내용 등을 선제적으로 상시·중점 모니터링해 대응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방심위는 “해외 글로벌 플랫폼 이용 증가와 AI 기술의 발전으로 음란·성매매 정보가 광범위하게 유통될 우려가 있다”며 “향후에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악성 사이트 운영·유포자를 수사 의뢰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방심위 “음란·성매매 정보 시정요구, 2023년보다 50% 증가”
    • 입력 2025-02-14 10:35:01
    • 수정2025-02-14 10:37:41
    IT·과학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지난해 음란·성매매 정보에 대한 시정요구 건수가 지난 2023년과 비교해 약 50%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

오늘(14일) 방심위에 따르면, 시정 요구건수는 지난해 총 8만1천755건으로, 약 50% 증가했습니다.

최근 5년간 음란·성매매 정보 시정요구 현황을 보면 2020년 4만9천52건에서 2021년 2만9천512건, 2022년 4만6천195건, 2023년 5만4천429건, 2024년 8만1천755건으로 증가세에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음란 정보에 대한 시정요구 건수는 지난 2023년과 비교해 약 60% 증가한 3만8천44건으로 집계됐습니다.

성매매 정보 역시 지난 2023년과 비교해 약 41% 증가한 4만3천711건으로 나타났습니다.

웹하드나 해외에 서버를 두고 운영하는 사이트에서 성행위를 노골적으로 묘사한 내용 등에 대해 적극적으로 시정요구한 결과라고 방심위는 설명했습니다.

방심위는 해외 글로벌 플랫폼과 랜덤채팅에서 성행위·대가성 문구를 제시하며 성매매를 유도하는 내용 등을 선제적으로 상시·중점 모니터링해 대응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방심위는 “해외 글로벌 플랫폼 이용 증가와 AI 기술의 발전으로 음란·성매매 정보가 광범위하게 유통될 우려가 있다”며 “향후에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악성 사이트 운영·유포자를 수사 의뢰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