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알리바바·텐센트 등 테크 기업 수장 소집
입력 2025.02.14 (16:25)
수정 2025.02.14 (16:3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data/news/2025/02/14/20250214_4xOe5J.jpg)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알리바바와 텐센트, 샤오미 등 중국의 테크 분야 주요 기업 수장들을 소집해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14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민간 부문 활성화를 위해 이르면 오는 17일 심포지엄을 주재할 예정이며,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마윈을 비롯한 기업인들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마윈 외에도 거대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 창업자인 마화텅, 중국 스마트폰 1위 업체인 샤오미의 레이쥔 회장,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로 급부상한 유니트리의 왕싱싱 회장 등 주로 테크 기업 최고 경영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참석 대상 중국 기업은 미국 정보기술산업에서 지배적 지위인 아마존, 애플,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빅테크(Big Tech)의 경쟁기업이기도 합니다.
시 주석은 민간 부문에 관한 심포지엄을 거의 주재하지 않으며, 이번 소집은 미국과의 무역 긴장 고조와 중국 경기 침체 등이 이어지는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은 기업인들에게 국내외 사업 확장을 독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와 해당 기업들은 관련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민간 부문 활성화를 위해 이르면 오는 17일 심포지엄을 주재할 예정이며,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마윈을 비롯한 기업인들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마윈 외에도 거대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 창업자인 마화텅, 중국 스마트폰 1위 업체인 샤오미의 레이쥔 회장,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로 급부상한 유니트리의 왕싱싱 회장 등 주로 테크 기업 최고 경영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참석 대상 중국 기업은 미국 정보기술산업에서 지배적 지위인 아마존, 애플,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빅테크(Big Tech)의 경쟁기업이기도 합니다.
시 주석은 민간 부문에 관한 심포지엄을 거의 주재하지 않으며, 이번 소집은 미국과의 무역 긴장 고조와 중국 경기 침체 등이 이어지는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은 기업인들에게 국내외 사업 확장을 독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와 해당 기업들은 관련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시진핑, 알리바바·텐센트 등 테크 기업 수장 소집
-
- 입력 2025-02-14 16:25:38
- 수정2025-02-14 16:38:36
![](/data/news/2025/02/14/20250214_4xOe5J.jpg)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알리바바와 텐센트, 샤오미 등 중국의 테크 분야 주요 기업 수장들을 소집해 심포지엄을 개최할 예정이라고 로이터통신이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14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민간 부문 활성화를 위해 이르면 오는 17일 심포지엄을 주재할 예정이며,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마윈을 비롯한 기업인들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마윈 외에도 거대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 창업자인 마화텅, 중국 스마트폰 1위 업체인 샤오미의 레이쥔 회장,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로 급부상한 유니트리의 왕싱싱 회장 등 주로 테크 기업 최고 경영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참석 대상 중국 기업은 미국 정보기술산업에서 지배적 지위인 아마존, 애플,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빅테크(Big Tech)의 경쟁기업이기도 합니다.
시 주석은 민간 부문에 관한 심포지엄을 거의 주재하지 않으며, 이번 소집은 미국과의 무역 긴장 고조와 중국 경기 침체 등이 이어지는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은 기업인들에게 국내외 사업 확장을 독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와 해당 기업들은 관련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시 주석은 민간 부문 활성화를 위해 이르면 오는 17일 심포지엄을 주재할 예정이며,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알리바바의 창업자인 마윈을 비롯한 기업인들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마윈 외에도 거대 정보기술(IT) 기업 텐센트 창업자인 마화텅, 중국 스마트폰 1위 업체인 샤오미의 레이쥔 회장, 최근 휴머노이드 로봇 공개로 급부상한 유니트리의 왕싱싱 회장 등 주로 테크 기업 최고 경영자들이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참석 대상 중국 기업은 미국 정보기술산업에서 지배적 지위인 아마존, 애플, 구글,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등 빅테크(Big Tech)의 경쟁기업이기도 합니다.
시 주석은 민간 부문에 관한 심포지엄을 거의 주재하지 않으며, 이번 소집은 미국과의 무역 긴장 고조와 중국 경기 침체 등이 이어지는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고 로이터는 짚었습니다.
이 자리에서 시 주석은 기업인들에게 국내외 사업 확장을 독려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부와 해당 기업들은 관련 논평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신화=연합뉴스]
-
-
홍진아 기자 gina@kbs.co.kr
홍진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